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3 목요일
맑음
서울 5˚C
맑음
부산 8˚C
맑음
대구 7˚C
맑음
인천 6˚C
흐림
광주 8˚C
흐림
대전 7˚C
맑음
울산 5˚C
맑음
강릉 7˚C
흐림
제주 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공간지능 기술'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네이버, 세계 최고 권위 컴퓨터 비전 학회 'CVPR 2025' 논문 14편 게재 쾌거
[이코노믹데일리] 네이버의 기술 연구 조직인 팀네이버가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컴퓨터 비전 및 패턴 인식 분야 학회에서 뛰어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네이버는 네이버랩스, 네이버랩스 유럽, 네이버클라우드 등 팀네이버 소속 연구팀들이 발표한 논문 14편이 ‘컴퓨터비전 및 패턴 인식 컨퍼런스 학술대회(CVPR) 2025’에 게재 승인됐다고 25일 밝혔다. CVPR은 전기전자공학자협회(IEEE)와 컴퓨터비전협회(CVF)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국제 학술대회로 1983년 시작된 이래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학회 중 하나로 손꼽힌다. 특히 구글 스칼라의 학회·저널 순위에서 과학 분야 전체 2위, 컴퓨터 공학 분야 1위를 기록할 정도로 높은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이번 CVPR 2025에서 팀네이버는 지난해 네이버랩스 유럽이 공개해 주목받았던 3D 재구성 AI 도구 ‘더스터(DUSt3R)’의 후속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더스터’는 단 한두 장의 사진만으로 3차원 입체 모델을 손쉽게 만들 수 있는 AI 기술로 후속 연구에서는 여러 장의 이미지를 활용해 더욱 정밀한 3차원 공간을 재현하는 AI 모델 ‘머스터(MUSt3R)’와 다양한 카메라 및 장면 정보를 통합해 추론 능력을 향상시킨 ‘파워(Pow3R)’가 새롭게 공개된다. 이와 더불어 사전 학습 없이 물체의 위치와 방향을 정확하게 식별하는 네이버랩스의 공간지능 기술 관련 논문 등 다수의 공간지능 연구가 채택되며 네이버의 공간 AI 기술력을 입증했다. 최근 AI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떠오르고 있는 멀티모달 AI 관련 연구 성과도 주목할 만하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미지 학습 시 발생하는 훈련 불안정성 문제를 ‘마스킹’ 기법을 통해 해결하는 새로운 학습 방법론을 제시했다. 또한 네이버랩스 유럽은 시각언어모델을 활용, 추가 학습 과정 없이 이미지 속 새로운 사물을 정확하게 구별해내는 기술을 선보이며 멀티모달 AI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과시했다. 로봇 분야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 팀네이버는 시각 정보 입력부터 로봇의 행동 출력까지 전 과정을 학습하는 ‘엔드 투 엔드(End-to-End)’ 방식의 자율주행 시스템 연구를 통해 로봇이 복잡한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경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외에도 이미지 생성 AI 모델의 창의성을 높이는 연구 등 다양한 AI 연구 논문들이 CVPR 2025에 이름을 올렸다. 팀네이버는 컴퓨터 비전뿐만 아니라 자연어 처리, 음성 인식, 머신러닝 등 AI 전반에 걸쳐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제적인 AI 학회에 45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발표된 논문들의 총 피인용 횟수는 4만7000회를 넘어선다. 이는 네이버가 AI 기술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두 기업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주는 지표다. 한편 네이버는 앞으로도 연구 개발 투자를 확대하고 AI 선행 기술 확보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특히 네이버가 추진하고 있는 ‘온 서비스 AI(On-Service AI)’ 전략에 따라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와 공간지능 기술을 네이버의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하여 사용자들에게 혁신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2025-03-25 10:54:09
네이버랩스, 세계 최고 권위 컴퓨터 비전 학회서 '공간지능' 기술 1위 달성
[이코노믹데일리] 네이버랩스가 자체 개발한 '공간지능(Spatial Intelligence)' 기술이 세계 최고 권위의 컴퓨터 비전 학회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를 통해 네이버의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네이버는 연구개발(R&D) 자회사인 네이버랩스가 '2024 유럽컴퓨터비전학회(ECCV)'에서 두 개 부문 모두 1위를 차지했다고 8일 밝혔다. ECCV는 컴퓨터 비전 분야의 최신 인공지능(AI) 연구 성과를 발표하는 세계 최고 권위의 학회로 2년마다 개최된다. 네이버랩스는 'Map-free visual re-localization' 챌린지와 'BOP(Benchmark for 6D Object Pose Estimation)' 챌린지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Map-free visual re-localization' 챌린지는 정밀지도 없이도 얼마나 정확하게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대회다. 네이버랩스는 이 챌린지에 3D 이미지 재구성 AI 기술 도구인 '마스터(MASt3R)'를 선보였다. 마스터는 정밀지도가 없는 상황에서도 정확한 측위가 가능하다는 점을 인정받아 구글, 애플, 메타 등 12개 참가팀 중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BOP 챌린지에서는 이미지 속 물체의 3차원 회전과 위치를 얼마나 정확히 추정하는지 겨룬다. 네이버랩스가 제출한 기술 모델은 RGB 이미지만으로도 물체의 위치를 가장 정확하게 측위하고 가장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으며 지난해에 이어 1위를 차지했다.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공간지능은 네이버랩스 출범 이후 로봇과 자율주행 기술을 발전시켜 오며 꾸준히 준비해 온 분야이자 핵심 경쟁력"이라며 "로봇, 자율주행, 디지털 트윈은 물론 이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제2사옥 '1784'와 같은 핵심 테스트베드, 나아가 중동 등 새로운 글로벌 이정표로도 확장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에 더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네이버클라우드도 이번 ECCV에서 11편의 AI 연구 논문이 게재 승인되는 성과를 거뒀다. AI 모델 제작에 필요한 데이터 정제 방법과 이미지 인식 모델 성능 향상 방법 등을 발표해 주목받았다. 네이버는 이러한 비전 AI 기술을 바탕으로 생성형 AI 서비스 고도화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지난 8월 자체 개발한 초대규모 생성형 AI '하이퍼클로바X' 기반의 시각 정보 처리 기술을 대화형 AI 서비스 '클로바X'에 탑재한 바 있다.
2024-10-08 12:29:13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5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안서희의 제약바이오] 온코닉테라퓨틱스, 자큐보 중국 기술이전 마일스톤 150만 달러 청구 외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