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22 화요일
비
서울 18˚C
안개
부산 14˚C
비
대구 13˚C
비
인천 17˚C
비
광주 16˚C
비
대전 17˚C
비
울산 15˚C
비
강릉 17˚C
비
제주 1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광고 타겟팅'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메타 주가, 18일 연속 고공행진..."AI 솔루션 투자·親트럼프 행보 주효"
[이코노믹데일리] 메타의 주가가 2주 넘게 상승하며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메타 주가는 12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전날보다 0.78% 상승한 725.38 달러(105만4339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지난 달 17일 주가 상승 이후 18일 연속으로 오른 것이다. 이는 지난 1985년 1월 31일 나스닥 100 지수 산출 이후 최장 기록이다. 메타 주가는 지난 4일 역대 처음으로 종가 기준700 달러선을 넘어선 이후 고점을 꾸준히 갱신하고 있으며 시가총액 역시 1조8370억 달러를 기록하며 2조 달러에 근접했다. 주가는 연속 상승 기간동안 큰 폭의 변화는 없었으나 편차 없이 꾸준하게 올라갔고 이 기간 18.6%의 상승률을 보였다. 올해 들어서는 상승률을 23.8%로 끌어올렸다. 이는 대부분 하락세를 기록한 주요 대형 기술주들과 대비되는 부분이다. 전문가들은 메타 주가 상승이 타 경쟁사와 다르게 인공지능(AI)에 대한 막대한 투자 효과를 보이고 있는 게 주효했다고 분석한다. 마이크로소프트(MS)나 구글 등 AI에 수백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는 대기업들이 언제 수익을 낼 지에 대한 의구심이 투자자들 사이에서 커지고 있는 상황이지만 메타는 다르다는 것이다. 콘래드 반 티엔호벤 리버파크 캐피털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메타는 광고 타겟팅 등에 바로 영향을 미치는 AI 솔루션에 투자했다"며 "그 결과 경쟁사에 비해 빠른 성장과 사용자당 평균 수익 증가를 이뤄냈다"고 설명했다. 이어 "메타는 오랜 기간 엔비디아를 제외한 AI의 가장 큰 수혜자로 여겨졌고 더 많은 사람이 이를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첨언했다. 메타 주가는 지난 27일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가성비 AI 모델이 등장했을 당시에도 상승했다. 당시 하루만에 주가가 17% 떨어진 엔비디아 등 미국 테크업계는 충격을 크게 받은 바 있다. 메타는 올해 AI 대규모 신규 데이터센터 구축에 최대 650억 달러를 투자할 방침이다. 이는 지난해보다 30% 증가한 수치다. 아울러 한때 불편한 관계였던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환심을 사기 위해 적극적으로 다가간 점이 주가 상승에 주효했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주가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이 임박한 시점부터 상승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지난해 미 대선 이후 플로리다 마러라의 트럼프 대통령 사저에 두 차례 방문했다. 또한 데이나 화이트 UFC CEO를 메타 이사로 임명하고 공화당 출신 내부 임원을 사장으로 승진시키는 등 '친 트럼프' 인사를 글로벌 정책 책임자 자리에 배치했다. 이에 더해 지난 20일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 직접 참석하고 취임 축하 리셉션을 공화당 억만장자 기부자들과 함께 주최하기도 했다.
2025-02-13 08:41:0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은마 재건축 본궤도…49층·5962가구 '역세권 인센티브' 적용
2
삼성전자 반려로봇 '볼리' 출시 임박…소비자 수요 많을까
3
[단독] 3년 연속 적자에도 이사 보수 한도 7천억원…쓰리빌리언 '보수 잔치' 논란
4
EU의 주요 ESG 규제 간소화 위한 입법안 통과
5
LG전자, 멕시코·미국 공장 생산량 확대 나선다
6
삼성전자 HBM탑재한 화웨이 AI 서버 성능 '굿'
7
위믹스 재상폐 여부 오늘 결정…국내 가상자산 업계 긴장
8
관세 협상 카드 된 '알래스카 LNG'…업계는 "수익성 불확실" 우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카드론 연체율 '20년 만의 최고'…금융권 위기감 고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