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2.22 토요일
맑음
서울 2˚C
맑음
부산 4˚C
맑음
대구 3˚C
맑음
인천 -0˚C
맑음
광주 2˚C
맑음
대전 2˚C
맑음
울산 4˚C
맑음
강릉 2˚C
흐림
제주 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국가첨단전략산업'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네덜란드 ASML·ASM으로 보는 해외 반도체산업 육성 전략…중국은 기술·인력·장비 유출 방지에 박차
[이코노믹데일리]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업체 ASML과 ASM이 '세미콘 코리아 2025'에서 주목받으면서 글로벌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 전략이 다시 관심을 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내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선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고 국가 차원의 기술 인재 확보 및 독자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20일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ASML이 독자적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었던 건 글로벌 기술 협력 덕분"이라며 "HBM 분야에서도 최근 하이닉스와 TSMC가 협력하는 것처럼 앞으로 더 유연한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ASML·ASM 등은 첨단 제조 공정에 필수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반도체 업계에서 '슈퍼 을'로 불린다. ASML은 미세공정을 위한 극자외선(EUV)노광장비를 독점하고 있으며 ASM도 2700개의 특허를 보유하는 등 2나노 게이트올어라운드(GAA) 제품 제작에 필수적인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김 연구원은 국내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 부족이나 미흡한 산학연 클러스터 구조 등에도 아쉬움을 드러냈다. 네덜란드는 지난 2019년 반도체를 포함한 10가지 국가기술전략을 제정하고 연간 57억 유로(약 8조3956억원)를 투자해왔으며 산학연 클러스터를 통해 기술 개발부터 산업화까지 이어지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20년 전부터는 고급 인력 유치를 위해 비자 발급과 체류 조건을 완화하고 소득공제율 30%를 적용해왔다. 세계 1위 차량용 반도체 기업으로 꼽히는 네덜란드의 NXP반도체 직원들의 국적은 60개가 넘는다고 알려져 있다. 반면 한국은 비교적 늦은 지난 2023년 국가첨단전략산업 육성 기본계획을 발표해 예산을 투입 중이다. 경기 용인시 처인구에 조성 중인 반도체클러스터는 오는 2027년 완공 예정이며 정부에서는 지난 19일 주 52시간 근무 예외 조항 등이 담긴 반도체특별법이 여야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무산됐다. 우리나라의 기술인재 유출 문제 해결도 시급하다. 지난 2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글로벌 인공지능(AI) 파트너십(GPAI)이 링크드인 데이터를 활용해 AI기술 보유자 유출입을 분석한 결과 지난 2023년 한국의 1만명당 AI기술 보유자눈 순유출만 3명이었다. 이는 조사 대상 중 하위권이며 미국·일본·독일·캐나다·영국 등은 기술 인재 유입국으로 분류됐다. 지난 18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중국도 기술·인재·핵심 장비의 해외 유출을 막기 위해 유럽과 미국을 모방해 수출 통제 강화 및 첨단 기술 인력의 해외 이동을 어렵게 하는 조치를 시행하고 있어 업계 관계자들은 우리도 보다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익명을 요청한 한 교수는 "이미 우리나라에서 우수 인재들은 졸업 후 해외 기업으로 취업 및 이직하는 것이 일반화됐다"며 "심지어 교수의 경우에도 연봉이 10분의 1로 줄어드는 상황이라 애국심만으로 모셔오기가 쉽지 않다. 처우나 인프라의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5-02-20 16:26:51
배터리산업협회, "내년도 배터리 산업 지원 예산안 확대 환영"
[이코노믹데일리] 한국배터리산업협회(배터리협회)는 산업통상자원부가 내년도 배터리 산업 지원 예산을 확대한 것에 환영한다는 입장을 5일 밝혔다. 배터리협회는 우선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 단지 지원 예산으로 252억원이 전력 공급 시설과 '염 처리수' 지하관로 등 설치에 쓰이는 걸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염 처리수는 배터리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소금 성분이 함유된 고염도 폐수다. 배터리협회는 전력과 염 처리 시설 구축으로 배터리 소재에 대한 투자가 촉진되고 공급망 안정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어 기술·개발(R&D) 지원책으로 전고체·리튬메탈 등 안전성을 높인 차세대 배터리 개발에 178억원이 배정된 것과 리튬 배터리 제조소 안전 기술 개발에 8억원이 투자된 걸 두고는 배터리 안전성을 높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걸로 전망했다. 이 외에도 배터리 아카데미(60억원)와 사용 후 전기차 배터리 관리 체계 고도화(4억7500만원)에 편성된 예산에 대해선 현장형 인재 배출과 사용 후 배터리 시장의 안전성 강화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알렸다.
2024-09-05 19:06:1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트럼프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재추진… 한국 참여 검토
2
티웨이항공,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수혜… '제2의 아시아나' 될까
3
[르포] 삼성전자가 '세미콘 코리아 2025'서 방문한 '이 기업'
4
진양곤 회장, HLB바이오스텝·이노베이션 주식 대거 매수
5
SK하이닉스, HBM 질주로 현금흐름 개선…재고는 오히려 감소
6
현대차, 앨라배마 법인세 면제 20년 만료 임박?…대응 방안 시나리오는
7
[르포] 세미콘 코리아 2025, 얼어붙는 채용 시장에도 반도체 업계 채용 설명회 '북적'…"취준생들 기회 잡는다"
8
[파워피플] 조욱제 대표, 유한양행 100주년 앞두고 글로벌 50대 제약사 도약 이끈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우리 51번째 주(州)나 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