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15건
-
-
셀트리온제약, 전년대비 22.9% 증가한 4778억원 매출 기록
[이코노믹데일리] 셀트리온제약은 지난해 연간 매출액이 약 4778억원을 기록하면서 전년동기 대비 22.9% 증가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고 17일 공시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액도 약 1356억원, 영업이익 약 105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42%와 102% 성장했다. 주요 제품 선전과 신규 제품들의 매출 비중이 증가하며 성장을 이끌었다. 케미컬 사업 부문 매출액은 전년대비 23% 증가한 약 2048억원을 기록했다. 이가운데 주력제품인 간장용제 ‘고덱스’가 약 668억원,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판매가 이뤄진 고혈압치료제 ‘딜라트렌정’이 약 502억원을 기록하며 성장을 견인했다. 같은 기간 바이오시밀러 사업 부문 매출액도 18.2% 성장한 약 866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정맥주사(IV) 제형을 피하주사(SC)로 변경한 자가면역질환치료제 ‘램시마SC’가 전년대비 34.3% 성장했으며 램시마 제품군 매출액은 약 440억원에 달했다. 셀트리온 제약은 지난 9월 자가면역질환치료제 ‘스테키마’, 안과질환치료제 ‘아이덴젤트’, 알레르기성 천식치료제 ‘옴리클로’ 등 바이오시밀러 신제품 3종이 시장에 진입한 만큼 적응증 별 데이터 중심의 학술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당뇨병치료제 ‘네시나’, 고혈압치료제 ‘이달비’ 등 주요 인수 제품의 생산 내재화를 완료하고 현재 생산 및 공급이 순조롭게 진행됨에 따라, 수익성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청주공장 PFS생산시설은 가동률을 최대로 올려 성장세를 확대할 방침이다. 특히, 셀트리온이 글로벌 시장에 공급중인 램시마SC(미국 제품명: 짐펜트라), 유플라이마 등 주요 피하주사(SC) 품목의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는 만큼 가동률 확대와 생산 효율화를 통해 확대되는 수요 대응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연구개발(R&D) 부문에서는 당뇨병치료제와 고혈압치료제 분야에서 복합제 개량신약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여러 알의 약을 한 번에 복용해야 하는 만성질환 등의 경우 주성분을 한 알로 결합해 복용 편의성을 높인 복합제가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고혈압, 고지혈증 3제 복합제 ‘암로젯정’의 국내 허가 절차를 완료하고 지난달부터 본격적인 판매에 돌입했다. 셀트리온제약 관계자는 “지난해는 주력품목의 내실을 다지는 동시에 신규 제품의 시장 확대 가속화를 위해 노력하는 한 해”라며 “신규 출시하는 바이오시밀러 제품과 R&D 혁신에 박차를 가해 퀀텀 점프를 실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3-18 09:33:58
-
-
-
대원제약 '콜대원' 시리즈, 편리한 감기약으로 소비자 만족도 UP
[이코노믹데일리] 대원제약의 대표 감기약 브랜드 ‘콜대원’ 시리즈가 간편한 복용 방식과 효과적인 성분 조합으로 감기약 시장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7일 대원제약에 따르면 콜대원 시리즈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며 감기약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2021년 35억4504만4674원이었던 매출은 2022년 113억9521만8340원, 2023년 177억1504만9055원, 2024년 194억3557만710원으로 4년만에 약 448%가 증가했다. 특히 소아용 감기약인 ‘콜대원키즈’도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였다. 2021년 31억762만1680원이었던 매출이 2022년 85억146만8930원, 2023년 131억5881만3888원으로 증가하며 빠르게 시장을 확대했다. 2024년에는 117억4130만6460원를 기록하며 어린이 감기약 시장에서도 강력한 입지를 다졌다. 대원제약의 대표 감기약 브랜드 콜대원은 스틱형 포장으로 개발돼 간편하게 짜먹는 방식의 감기약을 선보이며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성인이 섭취할 수 있는 콜대원은 두통·오한·몸살 증상에는 빨간색 ‘콜대원 콜드에스’를 기침·가래·인후통 증상에는 파란색 ‘콜대원 코프에스’, 콧물·코막힘·재채기 등에는 초록색 ‘콜대원 노즈에스’로 맞춤형 처방이 가능하다. 키즈제품도 마찬가지다. 성인용과 동일하게 빨간색, 파란색, 초록색으로 구분했다. 여기에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해열제 제품은 보라색, 이부프로펜 성분 제품은 주황색으로 패키징해 소비자가 직관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했다. 대원제약은 기존 성인용과 소아용에 이어 최근 신제품 콜대원 나이트를 출시했다. 나이트 제품은 감기로 인한 기침, 코막힘, 통증 등의 증상을 완화해 숙면을 돕는 야간 전용 감기약이다. 주요 성분으로는 아세트아미노펜(해열·진통), 슈도에페드린염산염(코막힘 완화), 덱스트로메토르판브롬화수소산염수화물(기침 억제) 등이 함유돼 있어 수면을 방해하는 감기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해준다. 또한 1세대 항히스타민제인 독시라민숙신산염을 함유해 진정 작용을 제공하며 각성 효과가 있는 카페인이 포함되지 않아 밤에도 부담 없이 복용할 수 있다. 무엇보다 카페인이 없어 예민한 이들도 편안한 밤을 보낼 수 있다. 이처럼 대원제약은 기존 성인용 콜대원 시리즈에 야간 전용 제품이 추가되면서 라인업 구축이 완료됐으며 증상과 시간대에 맞춰 보다 맞춤형 감기 치료가 가능하게 됐다. 대원제약 관계자는 ”콜대원나이트 출시로 총 4개의 제품 라인업을 구축함으로써 종합감기, 기침감기, 코감기 등 증상에 따른 케어는 물론이고 낮과 밤 온종일 대응할 수 있는 제품군을 모두 갖추게 됐다“면서 ”원조 짜먹는 감기약 기업인 만큼 앞으로도 변함없는 품질과 높은 안정성으로 소비자의 신뢰에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봄철 환절기인 요즘은 알레르기나 감기 등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쉬운 시기"라며 "콜대원과 콜대원나이트는 이러한 시기에 효과적으로 증상을 완화하고 호흡기 건강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3-11 06:00:00
-
-
-
-
유진투증, 한국-라트비아 바이오 생태계 활성화 MOU 체결
[이코노믹데일리] 유진투자증권이 지난 28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의과대학 연세암병원에서 연세대 의과대학 다안암연구실, 라트비아 제약사 그린덱스(Grindeks), 폴스트라딘스병원(Pauls Stradins Clinical Univ. Hospital)과 함께 한국과 라트비아 간 바이오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국 간 제약·바이오 분야에서 글로벌 임상을 지원하고 협력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참여 기관들은 공동 연구개발(R&D), 기술 교류, 인력 양성, 투자 활성화 등 여러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지난 1946년 설립된 그린덱스는 라트비아 수도 리가에 본사가 위치한 제약회사다. 폴스트라딘스병원은 1910년에 설립돼 라트비아의 대표 의료기관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협약으로 각 기관은 △바이오기술 사업화 및 공동개발 △글로벌 임상시험 지원 및 역량 강화 △신약 및 의료기기 생산 협력 △공동펀드 조성 및 임상 관련 투자 지원 △유럽의약품기구(EMA) 특화 현지 임상시험수탁기관(CRO) 협력 및 네트워크 구축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유진투자증권은 양국 바이오기관이 글로벌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투자와 사업개발 중개 역할을 맡아 유망 바이오벤처 기업들의 기술 사업화와 글로벌시장 진출 지원, 투자 및 사업개발 등을 통합한 종합 플랫폼을 제공한다. 또 양국 기업과 기관이 기술력과 혁신성을 바탕으로 신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금융과 비즈니스 자원을 융합한 액셀러레이터(창업 기획자)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앞서 유진투자증권은 지난 6월 바이오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라트비아 경제부·과학기술부·보건부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라트비아 정부 부처들과 체결된 협약이 이번 MOU까지 이어졌다. 고경모 유진투자증권 대표이사는 "이번 협약은 한국과 라트비아 간 바이오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라며 "양국 성장을 지원하고, 글로벌 바이오산업 생태계 혁신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날 서울 연세대 의과대학 연세암병원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조병철 다안암연구실 대표교수, 이레나 니콜라예바(Irena Nikolajeva) 그린덱스 부사장, 라우리스 비드지스(Lauris Vidzis) 폴스트라딘스 병원장, 고경모 유진투자증권 대표이사가 참석했다. 특히 이날 에드가르스 린케비치스(Edgars Rinkevics) 라트비아 대통령이 자리하며 협력 의지를 다졌다.
2024-11-29 10:37:07
-
-
종근당, 3분기 영업이익 감소..."R&D 투자ㆍ케이캡 공동 마케팅 종료 영향"
[이코노믹데일리] 종근당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2.5% 감소한 252억원을 기록했다. 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에 따르면 종근당의 올해 3분기 잠정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한 4085억원을 기록했지만, 당기순이익은 50.6% 감소한 214억원으로 집계됐다. 누적 매출액은 1조1469억원, 누적 영업이익은 804억원, 누적 당기순이익은 998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0.1%, 36.5%, 17% 줄었다. 이러한 실적 부진은 높은 비중의 R&D(연구개발) 투자와 HK이노엔과의 케이캡 공동 마케팅 종료, 당뇨병 치료제 자누비아 약가 인하, 뇌혈관질환치료제 글리아티린 소송 관련 충당금 반영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유진투자증권은 종근당의 2024년도 3분기 영업이익이 급감한 이유에 대해 국내 시장 성장 둔화를 꼽았다. 권해순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HK이노엔과 케이캡의 공동 마케팅 종료 후 2024년부터 셀트리온제약의 고덱스와 대웅제약의 펙수클루의 공동 마케팅을 시작했으나 저마진 제품의 매출 비중 증가로 총 이익이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자누비아의 약가 인하와 글리아티린 관련 소송에 따른 충당금 반영으로 국내 시장 성장 둔화가 나타났으며 이로 인한 수익 하락은 예상된 수준”이라고 말했다. 해외 시장에서는 2015년 설립된 인도네시아 합작법인 CKD OTT가 흑자 전환 후 성장 중이다. 종근당이 70%의 지분을 가진 CKD OTT의 2024년 반기 기준 매출액은 2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1% 증가했다. 권 연구원은 “CKD OTT의 고성장세가 지속된다면 기업가치 재평가 요인으로 부각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종근당은 셀트리온제약의 고덱스, 대웅제약의 펙수클루 등 새로운 공동 마케팅 제품의 매출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며 4분기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종근당 관계자는 3분기 매출 급감에 대해 “R&D에 많은 비중의 투자를 한 점과 계약 종료된 케이캡의 영향이 없진 않다"면서 "올해 초부터 공동 마케팅을 진행한 고덱스와 펙수클루의 매출이 점차 성장하고 있어 4분기에는 안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종근당은 다양한 신약 파이프라인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러한 R&D투자가 향후 종근당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종근당이 집중하고 있는 R&D 파이프라인은 'CKD-512', 'CKD-702', 'CKD-703' 등이다. 고형암을 타겟으로 하는 CKD-512는 전임상 연구 진행 중이며 향후 임상 1상 진행을 검토 중이다. c-MET/EGFR을 타겟으로 하는 CKD-702는 이중항체로 임상 1상 진행을 검토 중이며, CKD-703은 전임상 연구 진행 중인 ADC(항체-약물접합체) 후보물질로 임상 1상 진행 계획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024-10-31 06:00:00
-
-
-
대상, 종가·오푸드 앞세워 佛 '시알 파리' 참가…"K푸드 위상 높인다"
[이코노믹데일리] 대상이 19일부터 23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식품 박람회 ‘시알 파리 2024(SIAL Paris 2024)’에 참가한다. 대상은 이번 박람회 참가를 통해 김치 브랜드 종가와 식품 브랜드 ‘오푸드’를 앞세워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K-푸드 세계화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18일 대상에 따르면 시알 파리 전시회는 전 세계 식품 산업 전문가들과 바이어 등이 모이는 글로벌 최대 규모의 식품 산업 박람회다. 독일 아누가(ANUGA), 일본 푸덱스(FOODEX)와 함께 세계 3대 식품 전시회로 꼽힌다. 올해는 ‘변화를 주도하라(Own the Change)’를 테마로 130개국에서 7500개 기업이 참가해 약 40만 종의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종가는 이번 전시에서 포기김치, 맛김치, 매운 실비김치 등을 비롯해 현지인들의 입맛에 맞춘 케일김치, 당근김치, 양배추김치 등을 선보인다. 오푸드는 스틱형 김자반, 김부각 칩, 떡볶이 등의 제품을 준비했다. 이밖에 닭갈비, 비건 고추장 버섯 볶음, 고추장·쌈장 소스, 비건 김치 두부 카나페 등 한국 전통 장류를 활용한 테이스팅 메뉴도 선보인다. 이경애 대상 김치 글로벌 사업본부장은 “한식 고유의 정통성은 지키면서 글로벌 소비자들의 입맛을 고려한 현지화 전략으로 대상만의 차별화 제품을 선보여 K-푸드의 더 큰 성장과 세계화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2024-10-18 09:32: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