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3건
-
내년 공시가격, 표준주택 1.96% 표준지 2.93% 상승
[이코노믹데일리] 전국 땅값과 단독주택 가격의 기준이 되는 표준지와 표준주택의 내년도 공시가격이 올해보다 2% 안팎 범위에서 오를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19일부터 내년 1월7일까지 2025년 1월1일 기준으로 조사·산정한 표준지와 표준주택의 공시가격(안)에 대한 소유자 열람 및 의견청취절차를 진행한다고 18일 밝혔다. 표준지·표준주택 공시가격은 개별공시지가와 개별주택가격 산정의 기준으로, 개별공시지가와 개별주택가격은 이 공시가격을 토대로 시군구에서 산정한다. 내년도 공시가격(안)은 지난달 19일 국무회의에 보고한 '2025년 부동산 가격 공시를 위한 현실화 계획 수정방안'에 따라 올해와 동일한 시세반영률이 적용됐다. 내년도에 적용하는 시세반영률(2020년 수준)은 표준지 65.5%, 표준주택 53.6%다. 우선 전국 표준주택 25만 가구(전국 공시대상 단독주택 408만가구)의 내년도 공시가격은 올해보다 전국 평균 1.96% 상승한다. 표준주택 공시가격은 2023년(-5.95%) 하락한 뒤 올해 0.57% 상승했다. 표준주택의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택 멸실, 용도변경, 개발사업 시행 등과 관련된 2024년 표준주택 중 4000가구가 교체됐다. 시도별로는 서울의 상승폭이 2.86%로 가장 컸고, 이어 경기(2.44%), 인천(1.7%), 광주(1.51%), 세종(1.43%) 등 순으로 변동폭이 컸다. 제주(-0.49%)는 유일하게 하락했다. 서울 25개 자치구별로 보면 용산구(3.7%)의 상승률이 가장 높았고, 이어 강남구(3.53%), 동작구(3.28%), 마포구(3.11%), 영등포구(3.1%), 서초구(3.07%) 등 선호지역 표준주택 공시가격이 평균을 웃돌았다. 전국 표준지 60만 필지(전국 공시대상 토지 3559만 필지)의 내년도 공시지가는 올해와 비교해 전국 평균 2.93% 상승한다. 134개 감정평가법인 및 감정평가사무소(감정평가사 1300명)가 조사·평가에 참여했고, 공시지가의 정확성 제고를 위해 올해 대비 2만필지를 추가했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의 상승률이 3.92%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기(2.78%), 대전(2.01%), 부산(1.84%), 인천(1.83%) 순으로 변동했다. 표준주택 공시가격과 마찬가지로 제주(-0.26%)는 하락했다. 서울 자치구별로 보면 강남구(5.01%)의 상승폭이 가장 컸고, 이어 서초구(4.76%), 송파구(4.07%) 등 강남3구와 용산구(4.78%), 성동구(4.67%), 마포구(3.68%) 등의 표준지 공시지가 상승률이 높았다. 토지의 이용상황별로는 상업 3.16%, 주거 3.05%, 공업 1.95%, 농경지 1.86%, 임야 1.62% 순으로 변동했다. 2025년 표준지 공시지가(안)과 표준주택 공시가격(안)은 오는 19일부터 '부동산 공시가격알리미'와 해당 표준지 및 표준주택이 소재한 시·군·구청 민원실에서 열람할 수 있다. 의견이 있는 경우 내년 1월7일까지 의견서를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 사이트에서 온라인으로 제출하거나, 해당 표준지 담당 감정평가사(표준지) 또는 한국부동산원 각 지사(표준주택), 시·군·구 민원실(표준지·표준주택)에 서면으로 제출할 수 있다. 소유자 및 지자체의 의견청취절차가 마무리된 2025년 표준지 공시지가(안)과 표준주택 공시가격(안)은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년 1월24일 관보에 공시할 예정이다.
2024-12-18 14:29:11
-
에스엠엔테크④ 이중수 대표"혁신과 도전으로 업계 선도할 것"
[이코노믹데일리] “에스엠엔테크(SM&TECH)는 2004년 창업 이래 고객의 의뢰를 받아 설계, 제작, 가공까지 전 과정을 도맡아 제조해 온 기업으로 과학기자재, 연구소 장비, 공작 기기, 철도, 차량 부품 등을 생산하고 있다. 20년 가까이 쌓아온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현재는 자체 브랜드 공기 살균·청정기 '에어조이(AIRJOY)'를 생산하며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전북 완주군 완주산업단지에 위치한 20년 업력의 제조 전문기업 SM&TECH 이중수 대표의 설명이다. 이 회사는 공기 살균·청정기 에어조이를 자체 개발해 실내 공기질 개선 시장을 선도하며 주목받고 있다. 이 대표는 에어조이 개발 배경에 대해 “지구 온난화, 사막화 등 환경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공기질 관리 분야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시대적 흐름을 읽고, 15년 전부터 축적해 온 살균 기술력을 바탕으로 에어조이를 개발하게 됐다”면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살균 기능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에어조이는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고 말했다. 에어조이의 경쟁력에 대해 이 대표는 “램프 방식이 아닌, UV-C LED와 광촉매를 활용한 복합 살균 방식을 채택해 내구성, 저전력, 안정성 면에서 뛰어나다”며 “자체 생산을 통해 가격 경쟁력까지 확보해 동종 제품 대비 20~30%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들에게 더욱 매력적인 선택지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에어조이는 탄탄한 기술력과 꾸준한 연구 개발을 통해 탄생한 제품”이라며 “뛰어난 성능 및 안정성으로 조달 시장에서 2위를 차지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며 경쟁 제품과 승부하고 있고,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친환경 제품으로 인정받았다”고 설명했다. SM&TECH는 끊임없는 연구 개발과 혁신을 통해 에어조이의 라인업을 다양화하고, 시대가 요구하는 기능을 추가하며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국내 시장을 넘어 해외 시장 진출을 목표로 글로벌 시장 공략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대표는 “에어조이의 성공에 안주하지 않고,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명품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다양한 라인업을 구성해 10평 미만부터 80평까지 다양한 공간에 최적화된 제품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가격은 일반 공기청정기보다는 다소 높지만, 동종 살균·청정기 제품군과 비교하면 훨씬 저렴하다”며 “조달청에 등록된 제품군을 참고하면 쉽게 가격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의 사업 전략에 대해 이 대표는 “현재 에어조이 매출의 95%는 조달청을 통한 관급 시장에서 발생한다”며 “앞으로는 민수 시장에도 적극 진출해 명품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다질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내 시장에서의 성공을 발판 삼아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해 꾸준히 연구 개발을 지속하고, 파생 상품 개발에도 힘쓸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완주군과의 협력과 완주산단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이 대표는 “완주 산단은 땅값이 저렴하고 이동 거리가 짧다는 장점이 있고, 국비 지원, 지자체 지원 등 정책적인 지원도 만족스럽다”면서 “특히 최근 완주군에서 주관한 중소기업 매칭 데이를 통해 여러 공공기관과 협력 관계를 구축할 수 있었던 것이 큰 성과였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지속적인 연구 개발과 투자를 통해 더 나은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하는 기업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면서 “앞으로도 끊임없는 혁신과 도전을 통해 공기질 관리 분야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4-12-17 12:40:06
-
전국 땅값 19개월 연속 상승…서울 강남이 상승률 1위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3분기(7∼9월) 전국 땅값이 0.59% 올랐다. 땅값 상승률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 강남구로, 3분기 땅값이 1.45% 뛰었다. 국토교통부가 24일 발표한 '3분기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전국 지가는 0.59% 상승해 전분기(0.55%)보다 상승폭이 0.04%포인트 확대됐다. 지난해 3분기(0.30%)와 비교해서도 상승률이 0.29%포인트 높다. 월별로 따져보면 전국 지가는 지난해 3월 상승 전환한 이후 19개월 연속 올랐다. 다만 9월 상승률은 0.19%로 8월(0.20%)보다 소폭 축소됐다. 올해 3분기 지가 상승 폭은 수도권(0.70%→0.75%)과 지방(0.30%→0.31%)에서 모두 작년 3분기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3분기 땅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서울(0.87%)이었다. 경기(0.66%), 인천(0.53%), 부산(0.49%)이 뒤를 이었다. 제주 땅값만 0.17% 떨어져, 지난해 4분기부터 4개 분기 연속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전국 250개 시군구 중에서는 서울 강남구 땅값 상승률이 1.45%로 가장 높았다. 대규모 재개발 사업이 진행 중인 성남 수정구 땅값 상승률이 1.40%,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가 들어서고 신규 택지도 조성되는 경기 용인 처인구가 1.32%로 뒤를 이었다. 인구감소지역 89개 시군구의 지가변동률은 0.248%로, 비대상지역 상승률(0.62%)보다 0.38%포인트 낮았다. 3분기 토지거래량은 약 48만4000필지(274.9㎢)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5.7% 증가했다. 건축물 부속 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15만필지(247.0㎢)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6.9% 감소했다. 전 분기와 비교해서는 15.0% 줄었다. 전 분기와 비교한 3분기 토지거래량은 대전(40.8%), 서울(18.8%) 등 5개 시도에서 증가하고 울산(-23.3%), 광주(-14.9%) 등 12개 시도에서 감소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광주(2.6%)에서만 증가했으며 대구(-47.1%), 울산(-21.6%), 경남(-21.4%) 등 나머지 시도에서는 감소했다.
2024-10-24 15:3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