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5 토요일
안개
서울 8˚C
맑음
부산 8˚C
맑음
대구 9˚C
비
인천 7˚C
흐림
광주 12˚C
흐림
대전 11˚C
흐림
울산 12˚C
흐림
강릉 11˚C
흐림
제주 12˚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리더스인덱스'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임원 인사에서 나타난 기업들의 '트럼프 리스크' 정책
[이코노믹데일리] 우리 기업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을 앞두고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이 자국우선주의를 내세우며 반도체지원법(칩스법),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폐지 등을 예고하면서 정책적 불확실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어서다. 이 같은 분위기는 최근 기업들이 단행한 임원 인사에서도 감지됐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2일 "사업 강화, 경쟁력 제고 측면에서 인사를 볼 수 있지만, 미국 전문가를 세워 '트럼프 리스크'에 대비하려는 측면도 있다"며 "우리 기업은 IRA나 칩스법 폐지라는 트럼프 주장을 일방적으로 받아들이기 보다 글로벌 인사를 통해 '협상의 대가'라 불리는 트럼프와 대화로 풀어나가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인사에서 트럼프 2기 대응에 가장 적극적으로 나선 기업은 현대자동차라는 의견도 나왔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 박주근 대표는 "트럼프 정부와 네트워크가 있는 사람을 기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현대차 성김 사장은 목적이 있는 임원 인사"라며 "LG가 2022년 트럼프 1기 백악관 부비서실장을 지낸 조 헤이긴을 영입한 것도 비슷한 맥락"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지난달 15일 인사에서 미 국무부 출신의 성김 현대차 고문을 그룹 싱크탱크 사장으로 임명했다. 김 사장은 부시·오바마·트럼프·바이든행정부에서 핵심 요직을 맡은 국제 정세 전문가다. 창사 이래 처음으로 최고경영자(CEO)에 외국인인 호세 무뇨스를 선임하기도 했다. 무뇨스 사장은 2019년 현대차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GCOO)·미주권역담당으로 합류한 뒤 2022년부터 해외 권역 글로벌 사업 총괄 최고운영책임자(COO)·사내이사를 맡았다. LG그룹의 경우 지난달 21일 단행한 사장단 인사에선 트럼프 2기에 대비한 정황을 찾아볼 수 없다. 다만 글로벌 대관 강화에 일찌감치 나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2022년 워싱턴사무소를 개설하고 조 헤이긴 소장에게 사무소를 맡긴 게 대표적이다. 헤이긴 소장은 미 정부, 의회 등을 대상으로 대외협력 업무를 총괄해 왔다. 트럼프 2기 때도 헤이긴 소장이 이끄는 워싱턴사무소가 트럼프 행정부 정책에 대응할 방침이다. 삼성전자는 임원 인사만 놓고 보면 트럼프 리스크를 크게 신경 쓰지 않은 듯 보인다. 지난달 27일 파운드리사업부장 사장으로 승진한 한진만 DS(디바이스솔루션·반도체)부문 반도체미주법인(DSA)총괄 부사장 정도만 눈길을 끈다. 미 반도체 회사 마이크론에서 6년간 근무한 한 사장은 삼성전자에서 메모리사업부 개발실, 전략마케팅실을 거쳐 2022년부터 DSA에서 북미 반도체 사업을 이끌었다.
2024-12-02 18:00:00
밸류업 시도에도 국내 주요기업 ROE 3년간 지속 감소로 '반토막'
[이코노믹데일리] 정부의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정책 추진에도 국내 주요 기업의 자기자본이익률(ROE)은 최근 3년간 하락하며 반토막 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두고 정부 정책 효과가 실질적 밸류 증대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해석이 나왔다. ROE는 기업이 벌어 들인 당기순이익을 자본으로 나눈 값으로, 회사가 주주지분인 자기자본을 활용해 얼마나 이익을 냈는지 나타내는 핵심 밸류업 지표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28일 발표한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상장사 286곳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평균 ROE는 2021년 10.1%에서 지난해 5.2%로 떨어졌다. 이 기간 조사 대상 기업의 평균 자기자본은 1906조7185억원에서 2222조9174억원으로 16.6% 증가한 반면 당기순이익은 192조1555억원에서 114조8598억원으로 40.2% 감소했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에서 ROE 하락폭이 가장 컸다. 서비스업 19개사의 평균 ROE는 2021년 27%에서 지난해 3.2%로 23.9%P 하락했다. 서비스업의 ROE 감소 원인으로는 당기순이익 감소가 지목됐다. 평균 자기자본은 7% 늘어난 데 비해 당기순이익이 87.5% 줄면서 ROE를 끌어내렸기 때문이다. 특히 네이버는 68.5%이던 것에서 4.1%로 급락했다. 지난 2021년 라인과 Z홀딩스의 경영이 통합되며 회계상 당기순이익이 16조4776억원으로 급증했던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해석됐다. 서비스업에 이어 ROE 하락 폭이 큰 업종은 운송업이다. 당기순이익이 흑자로 돌아선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등 항공사가 ROE를 급격히 끌어올렸음에도 HMM, 대한해운, 한진, 팬오션 등 해상운송 기업들이 운임료 하락으로 ROE가 평균 10%p 이상 감소하면서 운송업 전체에 영향을 미쳤다. 정보기술(IT)·전기전자 업종도 13.1%에서 1.5%로 하락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당기순이익 감소를 원인으로 꼽았다. 석유화학 업종 역시 ROE 낙폭이 컸다. 12.2%에서 8.8%p 하락하며 3.5%에 머물렀다. 반면 평균 ROE가 가장 많이 증가한 업종은 '조선, 기계, 설비' 분야다.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등 조선업 수주 증대와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으로 2021년 –2.8%에서 지난해 8.8%로 11.6%p 상승했다.
2024-11-28 19:13:2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5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인천대공원 벚꽃축제 취소… 공원 관람은 가능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정치' 없었던 윤석열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