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2.12 수요일
눈
서울 -1˚C
눈
부산 -0˚C
눈
대구 -0˚C
눈
인천 1˚C
눈
광주 -0˚C
눈
대전 -1˚C
흐림
울산 1˚C
흐림
강릉 2˚C
비
제주 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배송 로봇'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카카오모빌리티, 브이디컴퍼니와 손잡고 '브링' 서비스 확대… 로봇 기반 공간 디지털 전환 박차
[이코노믹데일리] 카카오모빌리티가 로봇 전문 기업 브이디컴퍼니와 손잡고 서비스 로봇 사업 확장에 나선다. 양사는 11일 ‘이기종 로봇 사업’ 업무협약을 체결, 카카오모빌리티의 로봇 플랫폼 기술과 브이디컴퍼니의 로봇 서비스 상용화 노하우를 결합해 ‘브링(BRING)’ 서비스 영역을 넓혀 공간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협약식은 지난 4일 카카오모빌리티 판교 사옥에서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이동연구소장, 함판식 브이디컴퍼니 대표 등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번 협력을 통해 건물 유형과 로봇 종류에 제약 없이 적용 가능한 로봇 플랫폼 기술을 고도화하고 서비스 범위를 확대해 로봇을 통한 공간의 디지털 전환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이는 로봇 서비스를 통해 특정 공간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디지털 기반 공간 활용성을 높이는 것을 의미한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서비스 로봇 플랫폼 ‘브링’은 다양한 종류의 로봇을 연결하는 ‘브링온(BRING-ON)’ 오픈 API를 기반으로 한다. ‘브링’은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로봇들을 통합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하는 솔루션을 제공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강점을 지닌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그동안 LG전자, 로보티즈, 베어로보틱스 등 다양한 로봇 제조사와의 협력을 통해 ‘브링’ 서비스 영역을 확장해왔다. 복합 사무 공간, 리조트, 병원 등 여러 공간에서 배송 로봇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제공하며 공간 디지털 전환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번 브이디컴퍼니와의 협약을 통해 배송 서비스는 물론 청소 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으로 서비스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브이디컴퍼니는 국내 서빙 로봇 시장을 개척한 선두 기업으로 청소 로봇, 배송 로봇 등 다양한 서비스 로봇의 상용화를 위해 힘쓰고 있다. 다년간의 로봇 서비스 운영 경험을 통해 축적한 노하우와 고객 대응 역량은 카카오모빌리티와의 협력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이동연구소장은 “다양한 서비스 로봇이 동시에 운영되는 환경에서는 로봇들의 역할 분담과 동선 관리 등 통합적인 플랫폼 역량이 중요하다”며 “브이디컴퍼니와의 협력을 통해 청소 서비스와 같이 새로운 영역으로 서비스를 확장하고 ‘브링’ 플랫폼을 최적화하여 공간의 디지털 전환 체감도를 높여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카카오모빌리티는 2월 12일부터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호텔페어에 참가하여 ‘브링’ 기반 호텔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호텔페어에서는 이기종 로봇 서비스를 통해 호텔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는 다양한 기술과 솔루션이 소개될 것으로 보인다.
2025-02-11 15:57:08
LG전자, 베어로보틱스 경영권 확보…로봇 사업 속도낸다
베어로보틱스의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배송로봇 '서비플러스'[사진=LG전자] [이코노믹데일리] LG전자가 인공지능(AI) 기반 상업용 자율주행로봇 기업 베어로보틱스의 경영권을 확보해 로봇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LG전자는 22일 이사회를 열고 베어로보틱스의 30% 지분을 추가 인수하는 콜옵션을 행사하기했다고 밝혔다. LG전자는 지난해 6000만 달러를 투자해 베어로보틱스 지분 21%를 취득, 최대 30% 지분을 추가 인수할 수 있는 콜옵션 계약을 맺은 데 이은 두 번째 의결이다. 베어로보틱스는 2017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벨리에서 설립된 AI 기반 상업용 자율주행로봇 기업이다. 이로써 LG전자는 베어로보틱스 지분의 51%를 보유하고, 경영권을 확보하며 자회사로 편입하게 된다. 이번 협력을 통해 LG전자는 클로이 로봇 중심의 상업용 로봇 사업 일체를 베어로보틱스와 통합해 가정∙산업용 로봇 사업도 강화할 방침이다. 올해 출시 예정인 AI홈 허브(Q9) 등 가정용 로봇 분야는 HS사업본부에서 총괄한다. Q9은 자율 주행 기술과 음성∙음향∙이미지 인식을 접목한 멀티모달 센싱을 통해 집안에서 사용자와 자유롭게 소통한다. 또 Q9에는 고객과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또록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음성인식 및 음성합성 기술도 탑재됐다. Q9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에서 소개돼 탁월한 소통 능력을 선보인 바 있다. 이와 함께 LG전자는 전체 로봇사업의 소프트웨어(SW) 역량 고도화를 이끄는 동시에 기업 간 거래(B2B) 사업을 통해 글로벌 제품 판로 확대도 힘쓸 전망이다. 이삼수 LG전자 최고전략책임자(CSO) 부사장은 "이번 추가 투자를 통해 로봇을 확고한 신성장 동력으로 키울 것"이라며 "로봇 사업 전방위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혁신을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01-24 10:46:40
카카오모빌리티, 로봇 서비스 '브링' 실외 배송 시대 연다
[이코노믹데일리] 카카오모빌리티가 로보티즈와 손잡고 로봇 배송 서비스 '브링'의 영역을 실외로 확장한다. 28일 양사는 '플랫폼 기반 실내외 배송로봇 서비스'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근거리 상가 배달 등 실외 배송 실증에 나선다고 밝혔다. 지난 4월 출시된 '브링'은 카카오모빌리티의 로봇 플랫폼 '브링온'을 기반으로 식음료 배달, 우편 배달, 호텔 컨시어지 등 다양한 실내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실외 배송까지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며 종합 배송 플랫폼으로 도약을 준비한다. 카카오모빌리티의 브링온은 오픈 API를 통해 서로 다른 로봇을 하나의 플랫폼으로 통합 운영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표준연동규격을 적용해 '로봇단API'와 '주문단API'를 구축했으며, 이를 통해 복잡한 주문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브링온은 카카오모빌리티의 AI 최적 배차, 수요예측, 최적 경로 선택 등 핵심 기술을 활용해 배송 효율을 극대화했다. 다층 건물에서의 복합 주문 처리나 다양한 환경 변수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현재 서울 성수동 누디트서울숲, 충북 제천시 레스트리리솜 등에서 실내 배송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로봇 친화적이지 않은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다.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이동연구소장은 "범용성을 갖춘 브링온에 실외 배송 로봇을 연동해 더욱 다양한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카카오모빌리티는 물류·배송 등 라이프스타일 서비스 사업이 전체 매출의 28.4%를 차지하고 있으며 로봇사업을 통해 이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3차원 공간정보 기술을 활용한 실내외 로봇 지도와 자율주행 지도 개발로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한다.
2024-10-28 19:42:2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북적이는 BYD 전시장, 썰렁한 타 브랜드 전시장…가격 경쟁력 통했다
2
삼성전자의 로봇 야심…휴머노이드 시장 게임 체인저 될까
3
거대어 LG CNS는 왜 쓰러졌나
4
의료용 AI 만든다는 오픈AI·구글, 국내 기업도 속도 낸다
5
리플, 국내 거래소에서 '엑스알피'로 명칭 변경…혼동 방지 목적
6
업비트, 2차 제재심마저 '안갯속'…금융당국 '장고' 길어지나
7
최악의 건설경기 침체에... 건설사, 올들어 하루 10건꼴로 폐업
8
삼성전자,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본격 진출…"장기 전략이 관건"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편집인 칼럼] 우리 기업이 트럼프 관세정책을 피할 수 있는 방안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