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21 화요일
맑음
서울 5˚C
흐림
부산 13˚C
흐림
대구 13˚C
맑음
인천 8˚C
흐림
광주 9˚C
흐림
대전 10˚C
비
울산 14˚C
비
강릉 11˚C
흐림
제주 1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삼성에피스홀딩스'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홀로서기에 나선 삼성바이오에피스…"설립부터 분할까지 한눈에"
[이코노믹데일리]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오는 11월 지주사 삼성에피스홀딩스 체제 출범과 함께 공식적으로 독립한다. 이로써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독립 경영 체제를 갖추고 본격적인 '홀로서기'에 나선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에피스홀딩스는 약 8조원 규모의 자산을 보유한 삼성바이오에피스를 100% 자회사로 두게 되며 연구개발(R&D), 바이오시밀러, 신약 개발, 글로벌 제휴 및 인수합병(M&A) 등 핵심 사업에 집중할 방침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012년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미국 바이오젠이 합작해 설립됐다. 당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85%, 바이오젠이 15%의 지분을 보유했으며 총 3억 달러가 투자됐다. 에피스는 설립 이후 유럽의약품청(EMA), 미국식품의약국(FDA) 등 주요 규제기관의 승인을 받아 다수의 바이오시밀러를 출시했다. 대표 제품으로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베네팔리(엔브렐 바이오시밀러), 임랄디(휴미라 바이오시밀러), 항암제 온트루잔트(허셉틴 바이오시밀러) 등이 있다. 이렇게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기반을 다지던 중 2018년 지분 구조의 변화가 생기며 상황이 복잡해졌다. 바이오젠이 합작 계약에 포함된 콜옵션을 행사하면서 삼성바이오에피스 지분을 최대치인 49.9%까지 확대했다. 이로 인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연결 재무제표 처리 문제가 불거졌고 금융당국은 2015년 회계처리를 문제 삼아 2018년 분식회계 제재를 의결했다. 이 때문에 실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주식 거래가 한때 정지되며 상장폐지 가능성까지 거론됐다. 그러나 2024년 법원은 금융당국 제재에 대해 취소 판결을 내렸고 올해 7월 대법원은 형사 재판에서 무죄를 확정하면서 긴 논란은 종결됐다. 이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2년 바이오젠이 보유한 삼성바이오에피스 지분 전량을 최대 23억 달러에 인수했다. 이로써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100% 자회사가 됐고 사업 구조도 안정적으로 정리됐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재상장 신청일인 11월 14일 전까지 신규 자회사를 설립할 계획이다. 지주사 요건인 2개 이상의 자회사 보유를 충족하기 위한 조치로 새 법인은 바이오기술 플랫폼 개발을 담당한다. 초기에는 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이후 후보물질 제작 등으로 사업을 확장할 예정이다. 현재 삼성바이오에피스는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확대 △신약 개발 참여 △해외 시장 진출 확대 △연구개발(R&D) 역량 강화 등을 중점 전략으로 내세우고 있다. 특히 옵디보·키트루다 등 면역항암제 바이오시밀러와 스텔라라 자가면역제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번 분할을 계기로 차세대 바이오 기술 분야의 사업 확대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겠다"이라며 "현재 총 11종의 블록버스터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성공했으며 앞으로 20종 이상으로 제품군을 확보하고 신약 분야까지 영역을 확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8-26 17:45:36
한국거래소, 삼성바이오로직스 코스피 '분할재상장' 예비심사 통과
[이코노믹데일리] 한국거래소는 지난 21일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할 재상장을 위한 예비심사 결과, 상장 요건을 모두 충족해 재상장에 적격한 것으로 확정했다고 22일 밝혔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자회사 관리와 신규 투자 사업 부문을 인적분할해 '삼성에피스홀딩스'(가칭)로 재상장할 예정이다. 지주회사인 삼성에피스홀딩스는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자회사로 편입하고 오는 11월 3월 신규 자회사를 설립할 것으로 보인다. 기초 의약물질 제조 기업인 삼성에피스홀딩스의 최대주주는 삼성물산 등 3명이 74.34%로 갖고 있으며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은 1조5377억원, 영업이익 1973억원을 기록했다.
2025-08-22 09:07:44
삼성바이오로직스, CDMO와 바이오시밀러 사업 분리…'삼성에피스홀딩스' 설립
[이코노믹데일리]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2일 바이오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과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분리하기 위해 ‘삼성에피스홀딩스’를 신설한다고 공시했다. 이번 분할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순수 CDMO 전문기업으로 삼성에피스홀딩스는 향후 삼성바이오에피스를 100% 자회사로 편입해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전담하게 된다. 분할의 목적은 △CDMO 고객사의 경쟁 우려 해소 △사업 특성에 따른 독립적 투자 판단 △의사결정 구조 강화 등으로,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와 정책 리스크에 선제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다. 분할은 오는 9월 16일 주주총회 승인을 거쳐 10월 1일 공식 출범할 예정이며 10월 29일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에피스홀딩스의 변경·재상장이 진행된다. 분할은 인적분할 방식으로 기존 주주는 삼성바이오로직스(65.04%)와 삼성에피스홀딩스(34.96%) 주식을 각각 배정받는다. 분할 이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톱티어 CDMO 도약을 위해 △생산 능력 확대 △포트폴리오 다각화 △글로벌 거점 강화 등 3대 전략을 추진하며 항체·약물접합체(ADC), 유전자 치료제(AAV), 사전충전형 주사기(PFS) 등 신사업에도 적극 투자할 방침이다. 삼성에피스홀딩스는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세계 1위 바이오시밀러 기업으로 육성하고 20종 이상의 파이프라인 확보와 차세대 기술 투자에도 나선다. 김경아 삼성바이오에피스 대표가 삼성에피스홀딩스 대표도 겸임한다.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이번 분할은 글로벌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각 사업의 경쟁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이라며 “양사가 각자의 영역에서 초격차를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05-23 11:31:57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넥슨 떠난 '블루 아카이브' PD, 결국 검찰로…'표절 논란'이 '기술 유출'로
2
[단독] 한화생명 vs 한화투증, 펀드 투명성 온도차
3
PF 만기 13조원… 건설업계, '11월 분기점' 앞두고 신뢰 시험대
4
"AI 반도체용 유리기판 시대"… SKC·삼성·LG, 상용화 경쟁 본격화
5
삼성물산·현대건설, 해외시장 '투톱' 굳히기…중동 대형 프로젝트로 존재감 강화
6
애플, 게섯거라…삼성 '갤럭시 XR' 출격…구글·네이버 동맹으로 맞선다
7
SK텔레콤, AI 사내회사(CIC) 출범 앞두고 희망퇴직 시행
8
최태원·노소영 이혼 8년만에 대법 '파기환송'…1.3조 재산분할금 다시 따져야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네이버-두나무 빅딜, '간절함'이 빚어낸 ICT 지형 재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