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7.06 일요일
흐림
서울 26˚C
맑음
부산 27˚C
맑음
대구 31˚C
흐림
인천 25˚C
흐림
광주 26˚C
흐림
대전 28˚C
흐림
울산 29˚C
흐림
강릉 29˚C
구름
제주 2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솔트룩스'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이재명 정부, AI 주권에 미래 건다…AI 3대 강국 'K-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경쟁 막 올랐다
[이코노믹데일리] 정부가 오픈AI ‘챗GPT’에 맞설 ‘AI 국가대표’ 선발에 나선다. 글로벌 최고 수준의 95% 이상 성능을 갖춘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 국민이 사용하는 ‘모두의 AI’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AI 기술 주권을 확보하려는 이재명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프로젝트로 국내 AI 기업들의 치열한 경쟁이 예고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할 국내 AI 정예팀을 다음 달 21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과거 정부에서 추진하던 ‘월드베스트 LLM’ 사업을 계승하면서 ‘우리만의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이라는 하정우 초대 AI미래기획수석의 정책 방향성을 명확히 했다. 정부는 최대 5개 팀을 선발한 뒤 단계별 평가를 통해 압축하는 경쟁형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한다. 선발된 팀에는 파격적인 지원이 제공된다. 팀당 최대 1000장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비롯해 데이터 구축 및 가공에 연간 30억~50억원, 해외 인재 유치 비용까지 지원한다. 구하기 힘든 GPU와 막대한 자금이 투입되는 만큼 국내 AI 기업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자체 거대언어모델(LLM)을 보유한 기업들이 대거 참여할 것으로 본다. 네이버(하이퍼클로바X)와 LG AI연구원(엑사원) 등 대기업의 참여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특히 이재명 정부 첫 AI 사령탑인 하정우 수석이 네이버에서 하이퍼클로바X 개발을 총괄했다는 점에서 네이버의 역할에 이목이 쏠린다. 중견·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도전도 거세다. 이스트소프트(앨런 LLM), 코난테크놀로지(코난 LLM), 솔트룩스(루시아3 LLM), 업스테이지(솔라 프로2) 등 자체 모델을 개발하며 기술력을 입증한 기업들이 일찌감치 참여 의사를 밝혔다. 이들은 정부 지원을 발판 삼아 모델을 고도화하고 시장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릴 기회로 보고 있다. 코난테크놀로지는 AI 반도체 기업 리벨리온과 협력해 국산 AI 인프라 생태계를 구축하는 등 차별화된 전략을 내세웠다. 이번 사업은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대한민국의 AI 주권을 확보하고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과제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후 ‘AI 고속도로’ 구축 의지를 밝히고 100조원 투자 시대를 공약하는 등 AI를 국정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정부는 개발된 독자 모델을 오픈소스로 확산해 국내 AI 산업 생태계 전반의 성장을 가속화하고 공공·사회 분야 AI 전환을 이끌어 ‘모두의 AI’ 시대를 열겠다는 구상이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넘어 AI 시대 대한민국의 기술 주권 확보, 모두의 성장을 도모하는 생태계 구축이 목표”라며 “대한민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2025-06-20 18:13:52
딥시크가 쏘아올린 '저비용' AI 경쟁…인프라 구축엔 여전히 '고비용'
[이코노믹데일리] 최근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등장 이후 인공지능(AI) 업계에서 '저비용 고성능' 모델 개발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대응책으로 AI 인프라 투자를 대폭 확대하고 있다. 딥시크는 대형언어모델(LLM) '딥시크 V3'에 이어 '딥시크 R1'을 공개하며 개발 비용을 약 560만 달러(한화 약 82억원)로 억제하면서도 오픈AI의 'GPT-4o'와 유사한 성능을 달성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외에서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 공개가 잇따르고 있다. 구글은 지난 5일(현지시간) '제미나이 2.0 플래시 라이트(Flash-Lite)'를 발표하며 딥시크 견제에 나섰다. 2.0 플래시 라이트의 비용은 입력 기준 100만 토큰당 0.019달러로 딥시크 AI 모델(0.014달러)과 유사한 수준이며 오픈AI의 대표적인 비용 효율 모델(0.075달러)보다 4분의 1 수준으로 저렴하다. 최근 미국 스탠퍼드대와 워싱턴대 AI 연구진은 단 50달러의 클라우드 컴퓨팅 비용으로 AI 추론 모델 's1'을 훈련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 모델은 수학 및 코딩 능력 테스트에서 오픈AI 'o1', 딥시크 R1과 유사한 성능을 보였다. 연구진은 '증류'(distillation) 기법을 활용해 구글의 최신 AI 모델 '제미나이 2.0 플래시 씽킹 익스퍼리멘털'에서 지식을 추출하고 모델의 사고 시간을 늘리는 방법으로 정확도를 향상시켰다고 설명했다. 증류는 기존 AI 모델의 출력 데이터를 활용해 새로운 AI 모델을 학습시키는 방식이다. 딥시크 역시 오픈AI 모델을 증류해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TechCrunch)는 이에 대해 "증류는 AI 모델을 저렴하게 재생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완전히 새로운 AI 모델을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다"라며 기술 발전의 정체 가능성을 우려했다. 국내에서도 저비용 AI 모델 개발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은 지난 6일 '국내 AI 산업 경쟁력 진단 및 점검회의'에서 '엑사원 3.5' 32B 모델을 약 70억원의 예산으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는 딥시크 V3 개발에 투입된 비용보다 훨씬 저렴하다. AI 기업 솔트룩스도 오는 13일 '젠 AI 핸즈온' 행사에서 '루시아 2.5'를 공개할 예정이다. 솔트룩스 관계자는 "특히 벡터 임베딩 모델과 루시아 LLM은 챗GPT 대비 최대 20분의 1 수준의 비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비용 AI 모델이 늘어나면서 대규모 투자에 대한 회의론이 제기되고 있지만 메타·알파벳(구글)·마이크로소프트(MS)·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들은 오히려 AI 인프라 구축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할 계획이다. 올해 이들 기업이 AI 인프라에 투자할 자본 지출 규모는 총 3200억 달러(약 466조원)로 지난해보다 40% 증가한 수치다. 주요 투자 항목은 클라우드 컴퓨팅과 데이터센터 구축이다. 저비용 AI 모델 개발과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향후 AI 시장의 경쟁 구도와 기술 발전 방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2025-02-10 13:48:06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과기정통부, 오늘 국회에 SKT 해킹 최종 조사 결과 보고
2
[2025 기업지배구조 분석] DB그룹, 전문경영인 체제 전환…지배구조 변화에 관심
3
게임사들, 이번엔 '스테이블코인'에 올인하는 진짜 속내
4
석유화학업계, 기초화학 구조조정 나서나... 롯데케미칼-HD현대 유력
5
[콜마家 전쟁, 능력이냐 핏줄이냐] ② 부자 전쟁의 서막, 윤동한의 반격
6
[현장] "모든 분야 확장 가능" 산업계가 주목하는 휴머노이드... 삼성이 레인보우로보틱스 품은 이유
7
효성그룹, '미래전략실' 신설…조현준 회장, AI 신사업 본격화
8
6억 초과 주담대 제한에… 마포·성동구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 검토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당국, MG손보 노조 갈등에 내몰린 계약자들...이들의 '계약 유지권'은 어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