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2건
-
한화 건설부문, 1분기 영업이익 39% 증가…수익성 중심 전략 효과
[이코노믹데일리] 한화 건설부문이 대형 프로젝트 공백과 고금리 여건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중심의 전략으로 올해 1분기 실적 방어에 성공했다. 향후 서울역 북부 개발, 이라크 주택사업 재개 등 대형 프로젝트 착공에 따라 수익성 개선세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7일 한화 건설부문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65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130억원으로 39%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2.0%로 전년 대비 1.0%포인트 상승했다. 회사 측은 “플랜트 및 해상풍력 사업 부문을 한화오션에 양도하면서 외형은 줄었지만, 원가율 개선과 전사적 비용 효율화로 수익성을 방어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해 일부 대형 프로젝트의 준공이 실적 감소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전체적으로 이익률 개선에 집중한 경영 전략이 긍정적인 성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올해 1분기 신규 수주 규모는 총 147억원으로 집계됐다. 목포 자원회수시설 용역(20억원), 도급 금액 증감 조정분(127억원) 등이 포함된 수치로, 수서역 환승센터 복합 개발(8억7000만원) 등 주요 프로젝트 수주는 2분기부터 본격 반영될 예정이다. 한화 건설부문이 역점을 두고 추진 중인 해외 사업도 본궤도에 오른다. 이라크 비스야마 신도시 건설 사업은 올해 중 3만가구를 준공하고, 남은 7만가구에 대한 공사를 재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 사업은 한화가 중동 시장에서 입지를 다져온 대표적 대형 프로젝트로, 향후 실적 회복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화 건설부문은 올해 수주 목표를 총 4조1000억원으로 제시했다. 이 가운데 건축·개발 분야에서 3조6000억원, 인프라 분야에서 5000억원을 수주할 계획이다. 업계는 향후 국내 주요 재개발·재건축 수주 경쟁에서도 한화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화 건설부문 관계자는 “올해는 수익성과 지속가능성을 함께 고려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는 것이 핵심 과제”라며 “기존 사업의 경쟁력 제고와 동시에 해외 수주 확대에도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2025-05-07 15:12:09
-
지난해 고속철도 이용객 '1억1658만명'
지난해 고속철도 연간 이용객이 1년 전 대비 5.4% 증가한 1억1658만명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간선철도(고속 및 일반)가 1억7149만며의 승객을 수송하며 1년 전 대비 4.9% 증가했다고 16일 밝혔다. 지난해 고속철도는 KTX 9000만명(l일 24만6000명), SRT 2600만명(1일 7만3000명)을 수송해 전체 1만1600만명으로 지속적인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고속철도 이용률은 KTX 105.8%, SRT 134%로 총 112%로 조사됐으며, 승차율은 KTX 64.5%, SRT 78.1% 등 67.1%로 나타났다. 지난해 일반철도 수송인원은 5500만명이다. 1년 전 대비 3.8% 증가했으나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6800만명에는 미치지 못한다. 국내 간선철도 이용이 일반열차에서 고속열차로 전환된 경향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일반열차 이용 현황을 보면 새마을호(ITX-마음 포함)는 1800만명, 무궁화호는 3700만명을 수송하며 대부분 역을 정차하는 무궁화호 이용 비중이 높았다. 지역졍제 활성화를 위한 관광역차도 7000여명이 이용했다. 최다 이용 노선은 경부선으로 총 8560만명이 탑승했다. 이 중 고속열차(KTX, SRT)는 6040만명, 일반열차(새마을, 무궁화 등)는 2520만명을 수송했다. 이용률은 138.6%, 승차율은 68.5% 수준이다. 최다 이용역은 서울역으로 4230만명이 이용했으며 동대구역(2440만명), 부산역(2320만명), 대전역(2210만명), 수서역(1600만명) 등이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많은 승객들이 용산역(1490만명), 광명역(1260만명), 천안아산역(1220만명), 수원역(1200만명), 오송역(1180만명) 등을 이용했다.
2025-01-16 13:4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