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25 토요일
흐림
서울 11˚C
흐림
부산 13˚C
흐림
대구 13˚C
흐림
인천 13˚C
흐림
광주 14˚C
흐림
대전 22˚C
흐림
울산 15˚C
흐림
강릉 13˚C
흐림
제주 19˚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에뮬레이터'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NHN클라우드 "모바일 앱 사이버 공격 1.5배 급증"…치팅툴 확산이 원인
[이코노믹데일리] 모바일 앱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이 전방위적으로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PC 환경에서 모바일 앱을 구동하는 에뮬레이터나 자동화 프로그램인 매크로를 이용한 공격이 크게 늘어나 게임뿐만 아니라 금융, 공공 등 다양한 분야의 앱 보안에 경고등이 켜졌다. NHN클라우드는 24일 자사의 모바일 앱 보호 서비스 ‘NHN 앱가드’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탐지된 사이버 공격 건수가 총 1억 900만 건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7400만건을 기록한 전년 동기 대비 약 1.5배 증가한 수치다. 이번 분석은 NHN 앱가드를 도입한 1400여 개 앱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공격 방식은 ‘에뮬레이터’로 전체 위협의 20.1%인 2200만건이 탐지됐다. 이를 통해 다수의 계정을 생성하거나 모바일 전용 이벤트를 우회하는 등의 어뷰징 시도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증가 폭이 가장 가팔랐던 것은 ‘매크로’와 ‘변조’ 시도였다. ‘오토 클릭’으로도 알려진 매크로 공격은 1915만건이 탐지돼 전년 대비 93%나 급증했다. 앱 코드를 임의로 수정하는 변조 시도 역시 1629만건으로 전년 대비 90% 늘어났다. NHN클라우드는 이러한 사이버 공격 급증의 원인으로 치팅툴의 상용화와 고도화를 꼽았다. 과거 전문가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해킹이나 어뷰징 툴이 이제는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게 되면서 공격의 진입 장벽이 크게 낮아졌다는 분석이다. NHN클라우드는 이러한 추세가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위협 속에서 NHN 앱가드는 전문 지식 없이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SaaS) 서비스라는 장점을 바탕으로 시장의 호응을 얻고 있다. 별도의 서버 구축 없이 최신 보안 기능을 빠르게 적용할 수 있어 현재 도입 고객사 중 80%가 서비스를 유지하고 있다. NHN클라우드 관계자는 “최근 국내 보안 관련 사고들이 빈번히 발생하고 각종 모바일 앱에서 어뷰징이 만연해지면서 NHN앱가드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보안 위협에 대비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SaaS로서의 특장점을 기반으로 게임, 금융, 공공 부문 고객사들에게 해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2025-10-24 11:58:4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단독] 한화생명 vs 한화투증, 펀드 투명성 온도차
2
SDV가 이끄는 車 혁신, 현대차 등 글로벌 기업 R&D 가속
3
'부정거래 의혹' 하이브 방시혁, 檢·警 수사에 출국금지까지…국감은 피했지만…싸늘한 여론
4
에쓰오일 '샤힌 프로젝트', 석유화학산업 재부흥 동력 될까
5
[단독]LG 오너 일가, 상속세 부과처분 취소 소송 취하...5억 절세 관측
6
빨라지는 유통업계 인사 시즌…롯데·현대 CEO 거취 촉각
7
카카오 '운명의 날' D-1…김범수 창업자 SM 시세조종 혐의 21일 1심 선고
8
[알립니다] 2025 아시아 경제인 골프대회 개최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신약 개발, 멈출 수 없는 실패의 여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