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7.06 일요일
흐림
서울 26˚C
맑음
부산 27˚C
맑음
대구 31˚C
흐림
인천 25˚C
흐림
광주 26˚C
흐림
대전 28˚C
흐림
울산 28˚C
흐림
강릉 29˚C
구름
제주 2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원외처방'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5
건
HK이노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 북아프리카 6개국 추가 진출
[이코노믹데일리] HK이노엔은 사우디아라비아의 타부크 제약과 계약을 확대해 북아프리카 6개국(이집트, 수단, 에티오피아, 모로코, 예멘, 리비아)에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 완제품을 수출한다고 7일 밝혔다. 이는 기존 중동∙북아프리카 10개국 계약에 이은 추가 진출이다. 이로써 케이캡은 한국을 제외한 53개국에 진출했으며 회사는 2028년까지 100개국 진출 목표의 절반을 넘어섰다. 곽달원 HK이노엔 대표는 “케이캡이 해외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혁신 신약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각국 파트너사와 긴밀한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스마일 셰하다 타부크 제약 대표는 “HK이노엔과의 파트너십은 우리 성장 전략의 핵심 축”이라며 “더 많은 국가로의 진출뿐 아니라 향후 새로운 제품군 확대를 통해 협력을 강화하게 돼 기쁘고 환자의 치료 접근성을 높이는 우리의 공동 목표를 잘 보여준다”고 전했다. ‘케이캡’은 대한민국 30호 신약으로 빠른 약효와 장기 복용 안전성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 54개국에 진출해 15개국에서 출시됐다. 국내에선 2024년 기준 1969억원의 원외처방 실적을 기록하며 5년 연속 소화성궤양용제 시장 1위를 차지했다. 또한 미국 파트너사 세벨라가 진행한 임상 3상에서도 미란성 식도염(EE) 및 비미란성 역류질환(NERD)에서 우수한 결과를 도출해 미국 시장 진출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2025-05-07 10:08:15
한미약품, 1분기 매출 3909억원 달성…로수젯·다파론 성장세
[이코노믹데일리] 한미약품의 2025년 1분기 연결기준 잠정 실적이 매출 3909억원, 영업이익 590억원, 순이익 447억원을 기록했다. 한미약품은 29알 공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2%,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23%, 29.3% 감소했으나 해외 자회사의 일시적 비용 증가에 따른 영향이라고 사측은 설명했다. 연구개발(R&D)에는 1분기 매출의 14.1%인 553억원이 투입됐으며 이는 미래 성장동력을 위한 전략적 투자라는 평가다. 별도 기준 한미약품의 매출은 2950억원,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470억원으로 성장했다. 원외처방 매출은 2684억원으로 전년 대비 3.3% 증가해 7년 연속 시장 1위를 유지했다. 주요 제품군별로는 △이상지질혈증 복합신약 ‘로수젯’이 543억원 △고혈압 복합제 ‘아모잘탄 패밀리’ 361억원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에소메졸 패밀리’ 160억원 △당뇨 신제품 ‘다파론 패밀리’는 80.6% 성장세를 기록했다. 수출 부문은 68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6.7% 증가했으며 이는 MSD에 공급 중인 MASH 치료제 임상용 제품 수출 확대가 영향을 미쳤다. 해외 부문에서는 중국 북경한미약품이 매출 965억원, 영업이익 113억원, 순이익 99억원을 기록하며 회복세에 진입했다. 한미약품은 ‘포스트 로수젯’으로 불리는 저용량 3제 복합 고혈압 신약 출시를 준비 중이며 글로벌 신약 개발과 비만·당뇨 신약 R&D에 집중하고 있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국내 전문의약품 시장 석권 등 주력 제품군의 확고한 경쟁력을 토대로 글로벌 진출을 확대하며 더 큰 도약을 실현하겠다”며 “신약개발 중심의 점진적 진전을 통해 미래 기업 가치를 한층 더 높여 주주들의 기대와 성원에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2025-04-30 13:44:50
대웅제약, 2년 연속 원외처방액 1조 돌파…검증 4단계 전략 '견인'
[이코노믹데일리] 대웅제약이 2년 연속 원외처방액 1조원을 돌파하며 처방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12일 유비스트에 따르면 지난해 대웅제약의 원외처방액이 1조33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국산 신약인 펙수클루'(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와 ‘엔블로’(SGLT-2 억제제)' 의 성장 때문이다. 특히 ‘검증 4단계’ 전략을 통해 신약의 임상적 가치와 처방 명분을 확립하고 의료진과 환자의 피드백을 반영한 마케팅을 전개한 것이 주효했다. 2022년 출시한 국산 34호 신약 펙수클루는 기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인 PPI(프로톤펌프저해제) 제제의 단점인 느린 약효와 짧은 반감기, 낮은 복용 편의성 등을 개선해 지난해 788억원의 원외처방액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47% 성장했다. 엔블로 시리즈의 경우에도 지난해 123억원을 달성하며 처음으로 100억원을 돌파했다.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에서도 성과가 뚜렷하다. ‘프리스타일 리브레’, ‘모비케어’, ‘카트비피’ 등 디지털 의료기기와 치료제를 연계한 마케팅이 성공적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모비케어는 국내 웨어러블 심전도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코프로모션(공동판매) 품목도 성장세를 보였다.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1175억원, 12% 성장), LG화학과 협업한 ‘제미글로’(1525억원, 6% 성장) 등이 시장에서 성과를 냈다. 대웅제약은 코프로모션 품목에도 체계적인 4단계 검증 과정을 적용해 성과를 이뤄냈다. 협력사들과의 파트너십 체결 및 운영 과정에서 제품의 신뢰성과 시장 경쟁력을 객관적으로 입증하고 장기적인 협업 관계를 구축했다. 이창재 대웅제약 대표는 “차별화된 ‘검증 4단계’ 전략으로 2년 연속 원외처방액 1조원이라는 결과를 낼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이를 기반으로 신약 개발, 디지털 헬스케어, 글로벌 시장 확장을 통해 지속적인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2025-03-12 10:11:41
HLB제약, 영업이익 흑자 전환… 14억원 영업이익 기록
[이코노믹데일리] HLB제약이 사업구조 개선과 원가 절감 전략을 통해 영업이익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12일 HLB제약은 공시를 통해 지난해 영업이익이 14억7400만원으로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하며 흑자로 전환됐다고 밝혔다. 매출액도 1370억8200만원을 기록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이번 실적 개선은 자체 생산 확대와 비용 절감 전략이 주효한 결과로 분석된다. HLB제약은 2023년부터 외주 생산해오던 전문의약품을 지난해부터 자체 생산으로 전환하며 제조 원가를 대폭 절감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 부문에서도 대규모 마케팅 비용을 최적화해 수익성을 높였다. 이와함께 주력 제품의 성장도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세파클러캡슐’은 지난해 4분기 원외처방 매출 1위를 기록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했다. 건강기능식품 부문에서도 ‘그린 프로폴리스’를 비롯한 종합 건강 케어 제품을 출시하며 시장을 확장하고 있다. HLB제약은 매출 성장과 함께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도 지속하고 있다. 지난해 17개 신제품을 출시했으며 경쟁력 있는 제네릭 의약품의 허가권을 적극적으로 확보하는 한편 유망 제품을 코마케팅(Co-Marketing) 방식으로 도입해 사업 확장을 추진했다. 박재형 HLB제약 대표는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사업구조 재편과 원가절감, 사업부문별 역량 강화를 통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며 “올해는 장기지속형 주사제 개발과 향남 공장 신축 등을 추진을 통해 중견 제약사에서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 되는 계기를 만들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2025-02-12 17:10:32
한미약품, 매출 1조4955억원 달성…글로벌 혁신신약 개발 가속화
[이코노믹데일리] 한미약품이 지난해 매출 1조4955억원을 달성하며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4일 한미약품이 발표한 2024년 잠정 실적에 따르면 매출은 1조4955억원, 영업이익은 2162억원, 순이익 1435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46억원 증가했으며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45억원, 219억원 감소했다. R&D 투자에는 매출의 14.0%인 2098억원을 투입했다. 2024년 4분기 매출은 3516억원, 영업이익은 305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회사는 전년 동기 대비 여러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았지만 견고한 펀더멘털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갔다고 설명했다. 한미약품은 UBIST 기준 ‘7년 연속 국내 원외처방 매출 1위’ 기록을 달성하고 이상지질혈증 복합신약 ‘로수젯’과 혈압 치료 복합제 '아모잘탄패밀리'로 성장을 이끌었다. 지난해 매출 100억원 이상 블록버스터 제품 20종을 배출하며 국내 제약사 중 최다 기록을 세웠다. 중국 법인인 북경한미약품은 매출 3856억원, 영업이익 822억원, 순이익 742억원을 달성했으며, 3년 연속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회사는 자체 개발 제품을 통해 얻은 수익을 신약개발에 재투자하며 '포스트 로수젯'을 위한 차세대 개량·복합신약 출시를 준비 중이다. 또한 글로벌 학회에서 혁신신약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글로벌 R&D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박재현 한미약품 대표는 “올해는 조속한 경영 안정화를 추진해 모든 비즈니스 영역에서 혁신과 도약을 실현하겠다”며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을 선도하는 R&D 중심 제약바이오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더욱 힘차게 전진하고 기업 가치를 한층 더 높여 주주들의 기대와 성원에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2025-02-04 17:41:0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과기정통부, 오늘 국회에 SKT 해킹 최종 조사 결과 보고
2
[2025 기업지배구조 분석] DB그룹, 전문경영인 체제 전환…지배구조 변화에 관심
3
게임사들, 이번엔 '스테이블코인'에 올인하는 진짜 속내
4
석유화학업계, 기초화학 구조조정 나서나... 롯데케미칼-HD현대 유력
5
[콜마家 전쟁, 능력이냐 핏줄이냐] ② 부자 전쟁의 서막, 윤동한의 반격
6
[현장] "모든 분야 확장 가능" 산업계가 주목하는 휴머노이드... 삼성이 레인보우로보틱스 품은 이유
7
효성그룹, '미래전략실' 신설…조현준 회장, AI 신사업 본격화
8
6억 초과 주담대 제한에… 마포·성동구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 검토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당국, MG손보 노조 갈등에 내몰린 계약자들...이들의 '계약 유지권'은 어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