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28 금요일
맑음
서울 2˚C
맑음
부산 6˚C
맑음
대구 6˚C
맑음
인천 3˚C
맑음
광주 7˚C
맑음
대전 5˚C
맑음
울산 8˚C
맑음
강릉 6˚C
흐림
제주 1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위험자본'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S&P의 경고…IMA 지정사 한투·미래에셋, 자본 부담 불가피
[이코노믹데일리] 국제 신용평가사 S&P 글로벌 레이팅스가 종합투자계좌(IMA) 사업자로 지정된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을 두고 기업금융 공급 여력은 넓어지겠지만 두 회사 모두 자본 부담 확대는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을 제기했다. 2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S&P는 보고서를 통해 두 증권사가 2028년까지 IMA 잔액의 최소 25%를 모험자본에 투입해야 하는 만큼 시장 변동성에 대한 노출이 커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자사의 기본 시나리오에서는 상대적으로 위험성 있는 자산인 주식·펀드 등 위험자산 비중이 완만하게 늘어난다는 전제 아래 자본 여력은 감내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두 회사의 위험조정자본비율은 2024년 말 기준 미래에셋증권 9.1%, 한국투자증권 9.3%에서 향후 각각 약 8.1%, 8.05로 낮아질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S&P가 자본 및 수익성 적정 수준으로 판단하는 하단선 7%를 상회하는 수치다. 다만 S&P는 "주식 및 펀드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 비중 확대는 신용등급 하방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두 회사가 조달 자금의 40%를 주식 또는 펀드에 투자한다고 가정하면 위험조정자본비율이 미래에셋증권 7.4%, 한국투자증권 7.1%로 떨어질 수 있다는 가정에서다. 이어 "IMA 자금의 최소 70%를 만기 1년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한 규제 덕분에 단기 유동성 훼손은 크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장기 기업금융 비중이 늘면 자금조달과 만기 구조의 불일치 위험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2025-11-28 09:10:1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카카오, '원화 스테이블코인' 개발 착수…김범수 사법 리스크 해소 후 '광폭 행보'
2
[크래프톤 심층해부 ①] '1조 클럽'의 역설…왜 개인 투자자는 크래프톤을 떠나는가
3
[현장] 대기업은 준비됐지만 협력사는 멈췄다…CBAM이 드러낸 공급망 탄소데이터 격차
4
C커머스 이어 C뷰티까지…K뷰티·국내 유통시장 전방위 압박
5
두나무-네이버파이낸셜 '20조 빅딜' 임박… 합병 후 나스닥 직행한다
6
네이버 검색광고 '파워링크' 뚫렸다…텔레그램 위장 악성코드 유포 논란
7
[크래프톤 심층해부 ②] 개발 명가의 추락…'인조이'와 IP 리스크에 흔들리다
8
[단독] 두산에너빌리티, 한수원 입찰제한 소송 승소...'공공사업 제약 풀렸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규제 공화국'에 갇힌 배터리·철강·정유·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