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6건
-
KT, 빅데이터·AI 기반 'K-데이터 인사이트 플랫폼' 리뉴얼…지역별 인구 흐름 정밀 분석
[이코노믹데일리] KT가 통신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분석 기술을 융합해 지역별 인구 이동과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K-데이터 인사이트 플랫폼’을 새롭게 단장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리뉴얼된 ‘K-데이터 인사이트 플랫폼’은 KT가 2017년부터 운영해온 ‘KT 빅사이트(BigSight)’ 플랫폼의 ‘생활인구분석솔루션’을 고도화한 것이다. 기존 플랫폼이 지역 내 활동 인구에 대한 단편적인 분석에 그쳤다면 새 플랫폼은 AI 기술을 접목해 시간대별 생활 위치, 이동 목적, 이동 수단 등 사람들의 이동 행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특징이다. ‘K-데이터 인사이트 플랫폼’은 총 4가지 유형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출발지와 도착지를 기준으로 이동 목적과 수단을 분석하는 ‘생활이동데이터’, 특정 시점 및 지역의 총인구를 파악하는 ‘생활인구’, 특정 시점 및 지역의 중복 이동 횟수를 포함한 인구 이동량을 분석하는 ‘유동인구’, 그리고 시·군·구 단위에서 일정 시간 이상 머무른 인구를 분석하는 ‘체류인구’ 데이터가 포함된다. 플랫폼의 주요 특징으로는 △50m 단위의 정밀한 공간 데이터 제공 △지도 확대·축소에 따라 50m, 250m, 500m, 1km 등으로 자동 조정되는 반응형 격자 제공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의 공간 정보 시각화 및 분석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를 보여주는 시계열 분석 및 실시간 동적 변화 분석 △최대 4개 지역 비교 분석 기능 등이 꼽힌다. 이러한 기능들을 통해 사용자들은 더욱 정밀하고 다각적인 인구 분석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KT는 ‘K-데이터 인사이트 플랫폼’의 기술력을 인정받아 지난달 27일 경기도청이 주관하는 민간 데이터 공동구매 사업에 참여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번 사업을 통해 KT는 경기도청과 수원, 용인, 화성 등 11개 시군에 생활이동데이터, 생활인구, 유동인구, 체류인구 등 4종의 데이터와 생활이동분석솔루션(PLIP)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경기도청과 참여 시군은 도시 공간 및 교통 인프라 개선, 인구 감소 지역 조기 감지 및 대응 등 데이터 기반 행정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영걸 KT 서비스Product본부장(상무)은 “이번 리뉴얼된 K-데이터 인사이트 플랫폼은 데이터 기반 행정 혁신을 가속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향후 AI 에이전트 연동을 강화하여 교통, 안전, 환경, 주택, 관광 등 다양한 분야의 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민간 기업의 마케팅 전략 최적화 및 상권 분석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2025-03-12 15:45:32
-
-
점점 없어지는 은행 점포…지방 이어 강남도 줄인다
[이코노믹데일리] 은행들이 디지털 전환 명분으로 지역별 점포 수를 지속적으로 줄여나가고 있다. 지방 중심으로 점포를 축소한 데 이어 올해부턴 서울 강남이나 명동 등 인구 밀집 지역 점포마저 합치는 추세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국내 은행 점포 수는 5849개로 전년보다 53개가 줄었다. 은행 점포 수는 지난 2012년 4분기 말(7835개) 이후 매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도 시중은행들은 점포 통폐합에 나섰다. 앞서 지난해 12월 NH농협은행이 38개의 영업점을 통폐합한 후 이달 들어선 우리은행이 영업점과 출장소 26개, 신한은행이 지점 27개를 통폐합했다. 특히 예전처럼 지방 점포만 줄이는 것이 아닌 서울 강남을 비롯한 수도권 등 인구와 점포가 밀집한 지역의 지점을 줄여 대형화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먼저 신한은행은 지난 7일 전국 27개 기업금융센터를 동일 위치의 지점과 통합해 대형화했다. 대부분 서울이나 경기도, 광역시에 위치해 있다. 아울러 오는 4월 7일에도 서울·경기·부산 소재의 18개 영업점을 인근 영업점과 통폐합한다고 밝혔다. 신한은행은 점포 축소와 더불어 올해 희망퇴직자 대상자를 30대 후반인 1986년생까지 확대하기도 했다. 여기에 지난해 11월 서울 서소문에 오픈한 인공지능(AI) 은행원을 활용한 무인점포인 'AI 브랜치'의 이용 추이를 살피면서 플랫폼형 영업점을 늘리는 방안을 계획 중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AI 브랜치의 고객업무 처리 및 서비스 수준을 지속적으로 높여갈 예정"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금융서비스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제고해 고객 편의성에 중점을 두고 AI 브랜치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은행 역시 이달 초 서울 세종로금융센터 등 전국 26개 점포를 인근 지점과 통폐합했다. 이 중 여의도와 용산, 대치 등 서울권 점포가 16곳이고 나머지 10곳도 경기도나 부산, 광주 등 수도권 또는 광역시 단위 지역의 점포다. 앞서 우리은행은 기존 영업점을 철수한 지역이나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 중심으로 화상상담 기반 무인점포인 '디지털 익스프레스점'을 개설해 현재 10곳을 운영 중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올해 안에 디지털 익스프레스점을 33개까지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비대면 거래가 어려운 금융 취약계층 소외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제기되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은 은행 점포 이용을 위해 최소한 이동해야 하는 거리의 지역별 격차가 존재한다고 분석한 바 있다. 지역별로 서울, 부산, 대전은 1km를 넘지 않는 반면 그 외 지역은 20km가 넘는 지역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원, 전남, 경북은 최대 27km에 달했다. 점포 이용 시 이동 거리 상위 30곳을 보면 대부분 20km가 넘고 대체로 지방 중소 도시나 군 단위 지역이 많았다. 이들 지역은 대부분 고령층 비중이 높은 경우가 대다수였다. 금융연은 지역의 고령화 수준이 높을수록 은행 점포 접근성이 낮아져 디지털화에 가장 취약한 계층이자 물리적 점포 의존도가 높을 수 있는 고령층의 금융 소외는 계속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이시연 금융연 연구원은 "지역경제와 지역 내 금융소비자들의 금융 소외를 빠르게 심화시킬 것으로 크게 우려되지는 않는지에 대해 정책당국이 판단하거나 조치를 차별화할 수 있는 근거를 추가로 마련해야 한다"며 "소비자들의 이동 거리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는 지역의 고령화 수준 같은 인구 구조적 특성, 비도시·비수도권 여부 등에 따라 은행의 점포 폐쇄 절차를 차별화하는 방식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금융당국은 점포 운영 관련 은행의 자율성은 존중하되 고객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노력하겠단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점포 축소에 따른 금융 접근성 해소를 위해 우체국처럼 전국 분포돼 있고, 금융 인프라가 갖춰진 곳에서 은행 업무를 대행하는 '은행대리업' 사업을 추진 중이다. 금융위원회는 오는 6월부터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을 통해 은행대리업을 시범 운영한다.
2025-01-13 17:49:58
-
SK텔레콤, CES 2025서 AI 기술력 세계에 알린다
[이코노믹데일리] SK텔레콤이 내년 1월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5'에서 SK그룹의 인공지능(AI) 기술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를 통해 SK는 글로벌 AI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할 계획이다. SK텔레콤(대표이사 CEO 유영상)은 SK하이닉스, SKC, SK엔무브 등과 함께 '혁신적인 AI 기술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든다(Innovative AI, Sustainable Tomorrow)'를 주제로 CES 2025 전시관을 운영한다고 23일 밝혔다. CES 2025의 센트럴 홀에 위치한 약 1,950㎡(590평) 규모의 전시관에는 SK의 AI 데이터센터(AI DC) 기술과 다양한 AI 서비스가 소개된다. SK그룹 전시관의 핵심은 AI 데이터센터다. SK텔레콤은 지난달 개최된 'SK AI 서밋'에서 발표한 AI DC 및 GPU 클라우드 서비스(GPUaas), 에지(Edge) AI 기술 기반의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전략을 CES 2025에서 구체화할 예정이다. 전시관 중앙에는 6m 높이의 LED 기둥이 설치돼, SK AI 데이터센터의 데이터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이를 중심으로 △AI DC 에너지 솔루션 △AI DC 운영 솔루션 △AI DC 보안 솔루션 등 총 21개의 아이템이 공개된다. 특히 AI 데이터센터 내 안정적 전력 공급을 위한 AI Power Operator 기술과 액체 냉각 방식의 발열 관리 기술이 주목된다. SK하이닉스는 차세대 D램 솔루션 'HBM3E 16단'을, SKC는 반도체 공정 혁신을 위한 유리기판 기술을 선보인다. SK텔레콤은 북미 시장을 겨냥해 개발 중인 AI 에이전트 '에스터(Aster)'를 CES 2025에서 공개한다. 현장 시연을 통해 구체적인 서비스 계획도 발표된다. 또한 AI 기반 금융사기 방지 솔루션 '스캠뱅가드(ScamVanguard)'는 매달 130만 건 이상의 금융사기 시도를 차단하며 올해 CES 혁신 어워즈 최고 혁신상을 수상했다. 이 외에도 △AI 기반 유동인구 분석 시스템 '리트머스 플러스' △반려동물 AI 진단보조 서비스 'X Caliber' △AI 광고 제작 솔루션 'GenAd' △AI 미디어 스튜디오 등 SK텔레콤의 AI 기술이 대거 전시된다. 이번 전시에는 SK의 글로벌 파트너사 5개(가우스랩스, 람다, 앤트로픽, 퍼플렉시티, 펭귄솔루션스)도 함께 참여한다. AI 기술 및 사업 협력을 통해 SK의 AI 생태계를 확장한다는 전략이다. 전시관의 시작과 끝은 '혁신의 문(Innovation Gate)'과 '지속가능한 나무(Sustainable Tree)'라는 대형 LED 조형물로 장식돼 관람객의 이목을 끌 예정이다. 박규현 SK텔레콤 디지털 Comm 실장(부사장)은 “이번 CES를 통해 SK그룹 차원의 다양한 AI 기술과 서비스는 물론 ‘AI를 통한 지속가능한 미래 지향’이라는 메시지를 소개할 수 있어 기쁘다”며 “특히 ‘글로벌 AI 컴퍼니’로 한 단계 더 도약하는 SKT의 AI 역량이 이번 전시를 통해 전 세계인들에게 알려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2024-12-23 09:20:5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