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8 화요일
맑음
서울 13˚C
맑음
부산 15˚C
맑음
대구 14˚C
맑음
인천 8˚C
흐림
광주 9˚C
구름
대전 11˚C
구름
울산 11˚C
맑음
강릉 11˚C
흐림
제주 1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인하공전'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제주항공 참사 원인을 두고 분분한 의견...분석 소요 시간은?
[이코노믹데일리]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참사 원인을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명확한 사고 원인이 밝혀지기까지 시간이 소요되기에 원인을 두고 다양한 추측이 이어지고 있다. 이휘영 인하공전 항공경영학과 교수는 2일 "이번 참사는 170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해 조사 분석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며 "비행기록장치(FDR)와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명확한 결과를 발표해야 하기에 최소 몇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항공당국은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참사 원인 분석을 위해 블랙박스 등 추가 증거를 확보해 지난 12월 30일 본격적으로 조사에 착수했다. 이번 제주항공 참사 원인 규명에 핵심적 역할을 할 FDR은 일부 부품 파손 탓에 미국으로 옮겨져 분석 작업을 거치게 됐다. 다른 블랙박스인 CVR은 데이터 추출 작업이 마무리돼 앞으로 약 이틀 안에 파일 변환을 마치고 분석에 들어갈 예정이다. 비행기 사고 원인 분석을 위해선 FDR과 CVR을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아울러 FDR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통해 시뮬레이션 등 과정을 거쳐 명확한 원인을 찾아내야 하는 과정도 있다. 지난 2015년 7월 5일 발생한 대한항공 2115편 미끄러짐 사고는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은 사고임에도 정확한 사고 발생 원인은 1년 3개월가량 후인 2016년 10월 30일이 밝혀졌다. 이 사고는 부산발 괌행 대한항공 여객기 KE2115편(B737-800)이 괌 공항에 착륙하다 미끄러져 활주로를 일시적으로 이탈했다 들어와 멈추며 발생했다.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승객 75명(유아 4명 포함)이 크게 놀랐고 해당 항공기뿐 아니라 후속편까지 잇따라 지연 운항했다. 아울러 항공기 좌측 엔진과 전자장비 탑재실 출입문 등 14억원가량의 물적 피해가 발생했으며 괌공항의 활주로등, 유도로등이 파손됐다. 국토교통부는 당시 태풍의 영향으로 폭우가 쏟아진 야간에 기장이 착륙하다 조종 판단을 잘못한 것을 가장 큰 사고 원인으로 분석했다. 한 달여 만에 원인이 밝혀진 사고도 있다. 2018년 4월 5일 경북 칠곡에서 발생한 공군 F-15k 사고다. 이 사고의 원인은 2018년 5월 18일 발표됐다. 이 교수는 "전투기는 상용기와 달리 작동 기능이 많지 않아 빠른 분석이 가능하기에 짧은 시간 내 결과 분석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2025-01-02 14:01:52
아시아나 목포공항 사고로 만든 무안공항...다시 참사 현장으로
[이코노믹데일리] 아직 밝혀지지 않은 무안 제주항공 참사의 원인을 두고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사고 규모를 키운 원인으로는 '무안국제공항'이 지적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높은 둔덕과 콘크리트 외벽, 철새 도래지임에도 설치되지 않은 조류 탐지 레이더, 다른 공항에 비해 짧은 활주로 길이 등을 문제점으로 꼽고 있다. 이휘영 인하공전 항공경영학과 교수는 31일 이코노믹데일리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이번 사고에서 공항의 부실한 점에 대해 많이 지적되고 있다"며 "이번 사고를 통해 다른 공항도 변화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렇듯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무안국제공항의 시발점은 1993년 7월 26일 발생한 아시아나 목포 사고다. 김포공항을 출발해 목포공항에 도착 예정이던 아시아나항공 OZ733편 여객기는 착륙에 실패해 근처 야산에서 발견됐다. 이날 발생한 사고로 탑승객 110명 중 63명이 사망했다. 이후 국회 교육체육위원회 공항시설안전실태파악소위원회는 무안국제공항의 필요성을 제기했고 안개가 잘 끼지 않고 평지인 무안의 지리적 장점이 부각돼 무안을 선정했다. 이에 무안국제공항은 금호건설이 시공사로 선정되며 1999년 짓기 시작했다. 편익 대비 높은 비용이 우려되며 개항이 한 차례 미뤄지기도 했지만 2007년 결국 무안국제공항은 개항했고 지난 7일 제주항공의 국제선 정기편 운항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번 사고는 국제선 정기편이 시작한 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 발생했다. 무안국제공항이 문제로 지적되는 이유 중 하나다. 먼저 무안국제공항은 인근에 갯벌과 호수 등 대규모 철새 도래지가 네 군데나 있다. 이착륙 항공편 대비 조류 충돌 발생률이 0.09%로 전국 공항 중 가장 높다. 2020년 전략환경영향평가에서도 "항공기가 이착륙할 때 기체가 조류와 충돌할 위험이 있다"는 문제가 제기된 바 있다. 그럼에도 조류탐지 레이더와 열화상 탐지기가 없으며, 조류 퇴치 인력도 4명으로 김포공항(23명), 제주( 20명), 김해(16명) 등과 비교하면 현저히 적다. 활주로 길이도 문제로 지적됐다. 무안공항은 제1활주로 길이가 2800m다. 인천공항(3750~4000m)보다 25~30% 정도 짧다. 아울러 사고 당시 300m는 활주로 확장 공사에 사용돼 2500m만 사용할 수 있었다. 활주로 끝에 설치된 둔덕에 대한 해석도 다양하다. 둔덕에 대해 주종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은 30일 "무안 국제공항은 활주로 종단 안전구역 외곽의 활주로 끝단에서 약 251m 거리에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 설치돼 있다"며 "여수공항과 청주공항 등에도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방위각 시설이 있다"고 설명했다. 방위각 시설은 공항의 활주로 진입을 돕는 역할을 하는 일종의 안테나로, 흙으로 된 둔덕 상부에 있는 콘크리트 기초와 안테나가 서 있는 구조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법률 상의 해석의 차이를 지적했다. 황호원 한국항공대 항공우주법학과 교수도 "공항 건설 법률에는 착륙대라는 개념이 있는데 이에는 활주로와 정지로를 다 포함한다"며 "이렇게 되면 방위각 시설도 안전구역에 포함시키다는 것이기에 방위각도 부서지기 쉬운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번 참사를 반면교사 삼아 문제점을 개선해야 한다고도 입을 모았다. 황 교수는 "해외 공항 건설 법규를 가져와 엉터리 해석을 하는 것이 아닌 명확한 규정을 통해 공항을 건설해야 한다"며 "항공 전문가 육성을 위해 항공청을 만들어 관련 기술이나 법규를 명확히 할 필요성이 있다"고 전했다.
2024-12-31 10:41:43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배터리는 재활용하는데, 석유화학 제품은 매립지로…엇갈리는 업계 행보
2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3
국내 4대 그룹, '피지컬 AI'로 간다…로봇 투자 전면전 돌입
4
LG화학, 수익성 악화로 배터리 분리막 사업 구조조정 돌입 전망
5
네이버 쇼핑앱, 출시 첫 달 신규 설치 1위… '테무' 제쳤다
6
키움증권, 개장 직후 MTS 거래 지연…이틀째 시스템 장애
7
트럼프발 '관세 태풍'에…울고 웃는 韓 화장품·의류 OEM·ODM 기업들
8
마비노기 모바일, 차트 역주행 성공… '협력·생활형 콘텐츠' 통했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공매도 재개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의 대거 이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