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27 목요일
맑음
서울 7˚C
맑음
부산 11˚C
맑음
대구 10˚C
흐림
인천 7˚C
비
광주 7˚C
비
대전 7˚C
맑음
울산 9˚C
흐림
강릉 7˚C
흐림
제주 12˚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정성권'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AI로 돈 버는 인재가 뜬다"…LG유플러스, 'AX 리더십' 전면 배치
[이코노믹데일리] 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 중심의 체질 개선을 가속화하기 위해 'AX(AI Transformation)' 리더십을 전면에 내세운 2026년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미래 먹거리인 AI 사업 성장을 주도할 인재와 본업인 통신 사업의 내실을 다질 관리형 리더를 동시에 중용해 '안정 속 혁신'을 꾀했다는 평가다. LG유플러스는 27일 이사회를 열고 부사장 승진 3명, 전무 승진 1명, 상무 신규 선임 7명 등 총 11명 규모의 임원 인사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사의 핵심 키워드는 단연 'AI'다. LG유플러스는 AI컨택센터(AICC), AI 데이터센터(AIDC), AI 통화 에이전트 '익시오(ixi-O)' 등 회사가 사활을 걸고 추진 중인 미래 핵심 사업에서 성과를 낸 인물들을 대거 발탁했다. 가장 눈에 띄는 인물은 부사장으로 승진한 권용현 현 기업부문장이다. 권 신임 부사장은 기업간거래(B2B) 통신 사업을 총괄하며 AICC와 AIDC 등 AI 관련 B2B 사업의 성장을 주도해 왔다. 이번 승진은 LG유플러스가 향후 기업용 AI 시장 공략에 더욱 힘을 싣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기술 분야에서는 정성권 현 IT·플랫폼빌드그룹장이 전무로 승진했다. 정 전무는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MSA)' 전문가로 유연하고 신속한 소프트웨어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서비스 혁신을 이끌어온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는 AI 서비스 개발과 운영에 있어 기술적 민첩성을 강화하려는 포석이다. 회사의 살림과 조직 관리를 책임지는 C레벨 임원들의 승진도 두드러졌다. 재경 및 위기 관리 조직을 이끄는 여명희 최고재무책임자(CFO) 겸 최고리스크책임자(CRO)와 인사 및 노경 협력을 총괄하는 양효석 최고인사책임자(CHO)가 나란히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경영 환경 속에서 재무 건전성을 확보하고 안정적인 노사 관계를 바탕으로 내실 있는 성장을 뒷받침하겠다는 의도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이번 인사는 미래 핵심 사업 성장을 견인할 인재와 기본기 강화를 통해 통신 본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인재를 중용하는 데 역점을 뒀다"며 "AX 컴퍼니로의 도약을 위한 리더십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인사를 기점으로 LG유플러스는 황현식 대표 체제하에 'AI 응용 서비스'와 'AI 인프라'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사업 구조 재편에 더욱 속도를 낼 전망이다. [LG유플러스 2026년 임원 인사 명단] ◇ 부사장 승진 ▲권용현(기업부문장) ▲여명희(CFO/CRO) ▲양효석(CHO) ◇ 전무 승진 ▲정성권(IT/플랫폼빌드그룹장) ◇ 상무 신규 선임 고진태(전략기획담당) 김영진(무선기술담당) 김용진(충청영업담당) 서남희(CV (Customer Value)담당 (겸. AICC상품개발Task PM)) 신정호(Agent/플랫폼개발Lab장 (겸. ixi-O Tech)) 이서호(C-TF PM) 조용성((주)LG 산하))
2025-11-27 14:13:44
LG유플러스, AI로 CS 업무 효율 '쑥'…B2B 매출 350억 AICC 사업 본격화
[이코노믹데일리] 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 기술을 집약한 ‘AI 상담 어드바이저’를 공개하며 AI컨택트센터(AICC) 사업 강화에 나선다. 27일 서울 용산 사옥에서 열린 기술설명회에서 LG유플러스는 자사 고객센터 운영 노하우와 AI 기술을 결합해 상담 효율을 극대화하고 이를 그룹사 및 외부 기업에 공급해 B2B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AICC는 단순 CS 업무에 AI를 적용하는 것을 넘어 상담 업무 전반에 AI가 관여하고 데이터를 체계화해 전체 업무 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남희 LG유플러스 CV담당은 “LG유플러스 고객센터를 통해 쌓은 연간 1800만여건 상담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담사를 제일 잘 아는 AI 어드바이저가 될 수 있도록 지속 강화하고 있다”며 “상담사 업무의 효율화와 고객 편의성 개선을 통해 AI 상담 어드바이저를 도입한 회사까지 만족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실제로 AI 상담 어드바이저 도입 후 LG유플러스 고객센터는 고객 통화당 연결 대기 시간이 평균 17초, 통화 시간은 평균 30초 줄어 전체 상담 시간이 약 19% 개선됐으며 월평균 약 117만 분의 상담 시간을 절약했다. AI상담어드바이저에는 음성텍스트변환(STT) 기술을 비롯해 진일보한 AI 기술이 대거 적용됐다. ‘에이전틱 RAG(검색증강생성)’ 기술은 AI가 상담사와 고객의 대화 맥락을 파악해 기업 내부 정보 중 필요한 내용을 스스로 검색하고 답변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고객이 “eSIM이라는 게 있다고 하던데 이건 뭐예요?”라고 질문하면 단순히 eSIM 관련 설명뿐 아니라 고객 케이스별 가입 절차와 주의사항까지 제공하며 현재 답변 정확도는 90%에 달한다. 상담 후 대화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하는 절차의 정확도를 개선하는 ‘AI 인 더 루프’ 기술은 AI의 분류 정확성을 또 다른 AI 엔진으로 검증하고 오류 발생 시 스스로 학습해 수정한다. 이 기술로 사람이 직접 작업할 경우 상담 2000건 분류에 약 5760분이 소요됐던 것을 3000건에 40분 만에 완료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상담 품질을 AI가 평가하는 ‘AI 오토 QA’ 기능도 개발 중으로 이르면 3분기 내 도입 예정이다. 이진희 LG유플러스 신규서비스개발랩장은 “AI 오토 QA 외에도 상담 코드 추천, 후처리 자동화 등 여러 기술이 복합적으로 적용돼 있다”며 “특히 후처리 작업을 줄여 상담사가 본업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AI상담어드바이저를 자사뿐 아니라 LG그룹사 및 외부 고객사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이미 LG전자 등 그룹 계열사와 도입을 논의 중이며 이를 통해 AICC 사업의 전초기지 역할을 한다는 구상이다. 현재 LG AI 연구원의 ‘엑사원3.5-2.4B’ 모델과 통신 특화 소형언어모델(SLM) ‘익시젠’을 활용 중이며 향후 다양한 LLM을 유연하게 사용하는 멀티 LLM 체제도 검토 중이다. 그룹사 적용과 외부 AICC 사업 수주 등을 통해 연간 매출 350억 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성권 LG유플러스 IT·플랫폼빌드그룹장(상무)는 “상담사가 고객의 목소리에 집중하며 소통을 강화할 수 있도록 AI를 활용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고객에게 차별화된 상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AI 적용 분야를 개발하고 고도화하겠다”고 말했다.
2025-05-27 13:32:53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크래프톤 심층해부 ①] '1조 클럽'의 역설…왜 개인 투자자는 크래프톤을 떠나는가
2
카카오, '원화 스테이블코인' 개발 착수…김범수 사법 리스크 해소 후 '광폭 행보'
3
두나무-네이버파이낸셜 '20조 빅딜' 임박… 합병 후 나스닥 직행한다
4
[현장] 대기업은 준비됐지만 협력사는 멈췄다…CBAM이 드러낸 공급망 탄소데이터 격차
5
C커머스 이어 C뷰티까지…K뷰티·국내 유통시장 전방위 압박
6
네이버 검색광고 '파워링크' 뚫렸다…텔레그램 위장 악성코드 유포 논란
7
[크래프톤 심층해부 ②] 개발 명가의 추락…'인조이'와 IP 리스크에 흔들리다
8
[단독] 두산에너빌리티, 한수원 입찰제한 소송 승소...'공공사업 제약 풀렸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규제 공화국'에 갇힌 배터리·철강·정유·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