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5 토요일
비
서울 8˚C
흐림
부산 12˚C
맑음
대구 14˚C
비
인천 8˚C
비
광주 11˚C
비
대전 11˚C
흐림
울산 14˚C
흐림
강릉 11˚C
흐림
제주 1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제네바'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르노 5 E-Tech 일렉트릭 '유럽 올해의 차' 수상
[이코노믹데일리] 르노 그룹은 '르노 5 E-Tech 일렉트릭'과 '알핀 A290'이 지난 10일(현지시간) 벨기에에서 열린 브뤼셀 모터쇼에서 '2025 유럽 올해의 차'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유럽 올해의 차는 지난 1962년 시작해 오랜 역사와 최고의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이번에는 르노 5 E-Tech 일렉트릭, 알핀 A290을 비롯해 다치아 더스터, 알파 로메로 주니어, 시트로엥 ë-C3, C3, 쿠프라 테라마르, 현대자동차 인스터(국내명 캐스퍼 일렉트릭), 기아 EV3 등 지난해 11월 1차 투표를 통과한 7개 모델이 최종 후보에 올랐다. 르노 5 E-Tech 일렉트릭과 알핀 A290은 치열한 경쟁 끝에 유럽지역 23개국 60명의 자동차 저널리스트들로 구성된 심사단으로부터 총 353점을 얻어 2025 유럽 올해의 차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먼저 수상의 영예를 안은 르노 5 E-Tech 일렉트릭은 소형 전기차(EV) 전용 플랫폼 ‘AmpR 스몰’을 처음 적용한 도심형 전기차로 르노의 소형 전기차 개발 경쟁력을 보여주는 모델이다. 아울러 1972년부터 1996년까지 약 550만 대의 판매고를 올리며 당대의 베스트셀러로 명성을 떨쳤던 르노의 아이코닉 모델, 르노 5를 미래지향적으로 재해석한 소형 전기차로 지난해 제네바 모터쇼를 통해 데뷔했다. 함께 수상한 알핀 A290은 르노 5 E-Tech 일렉트릭과 AmpR 스몰 플랫폼을 공유하는 형제 모델로, 작은 차체에서 환산 출력 기준 약 220마력을 뿜어낸다. 일상 주행은 물론 전기차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운전의 즐거움까지 선사하는 점이 장점이다.
2025-01-13 10:47:01
네이버, 유엔에서 AI 안전 정책 사례 공유
[이코노믹데일리] 네이버는 지난 5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의 유엔 사무소에서 열린 행사에서 안전한 인공지능(AI) 생태계 구축을 위한 자사 정책과 사례를 공유했다고 6일 밝혔다. 이 행사는 서울대 AI 정책 이니셔티브(SAPI), Universal Rights Group(URG), 주제네바 대한민국 대표부가 공동 주최했다. 행사에서 네이버의 박우철 정책·RM 아젠다 변호사는 네이버가 운영하는 ‘CHEC(Consultation on Human-centered AI’s Ethical Considerations)’ 프로세스를 발표했다. CHEC는 AI 개발 및 서비스 기획 단계에서 윤리적 원칙을 적용하도록 설계된 자문 시스템으로 기술적 검토와 사회적 관점을 동시에 고려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박 변호사는 “현장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으면 AI 윤리 원칙은 추상적 구호에 그칠 수 있다”며, “네이버는 CHEC를 통해 기획자와 개발자의 눈높이에 맞춰 현실적인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네이버는 지난해 발표한 ‘사람을 위한 클로바X 활용 가이드’와 올해 새롭게 구축한 ‘ASF(AI Safety Framework)’를 통해 AI 기술의 잠재적 위험을 인식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하정우 네이버 퓨처 AI 센터장은 “네이버는 빠르게 발전하는 AI 기술 환경에서 주요 기술을 내재화하며 서비스 현장과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며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글로벌 AI 생태계 구축에 기여하기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행사에서는 네이버 외에도 서울대 SAPI 연구진과 유엔 관계자들이 참여해 ‘신기술에 대한 인권 기반 접근’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SAPI 디렉터 임용 서울대 교수는 “인권 중심의 규범을 기술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이 공유되어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며 향후 지속적인 협력을 강조했다. 한편 네이버의 이러한 노력은 글로벌 AI 정책 논의에서 한국 기업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산업 실무에 적용 가능한 윤리적 AI 원칙을 확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24-12-06 10:34:32
카카오, 유엔 기업과 인권 포럼서 한국형 AI 윤리 발표
[이코노믹데일리] 카카오가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13차 유엔 기업과 인권 포럼에서 한국형 인공지능(AI) 윤리 원칙을 소개하며 글로벌 무대에서 주목받았다. 이번 포럼은 유엔 산하 인권최고대표사무소가 주최하는 행사로 정부, 기업, 학계, 인권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약 4000명이 참석했다. 카카오는 첫날 세션인 ‘AI 분야의 책임있는 비즈니스 행동’에서 AI 기술의 윤리적 사용과 이용자 보호 방안을 발표했다. 발표를 맡은 하진화 카카오 CA협의체 ESG위원회 그룹기술윤리팀 프로젝트리더는 “카카오는 기술기업으로서 인권 보호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AI 윤리 강화를 위한 새로운 원칙을 공개했다. 이번 발표에서 소개된 신규 조항은 ‘이용자의 주체성’을 강조한다. 이는 인간이 AI에 과도히 의존하지 않도록 경계하고 AI 기술이 이용자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 안전을 위협하지 않도록 노력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카카오는 해당 조항을 한국인공지능법학회와 협의해 도출했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2018년 국내 기업 최초로 ‘알고리즘 윤리헌장’을 발표하며 기술 윤리에 앞장서 왔다. 이후 △기술의 포용성(2019년) △아동 및 청소년 보호(2020년) △프라이버시 강화(2022년) 등 추가 조항을 통해 윤리 원칙을 꾸준히 발전시켰다. 2022년에는 주요 계열사가 참여한 ‘공동체 기술윤리 위원회’를 설립해 그룹 차원의 AI 윤리 원칙을 수립했다. 현재 ‘카카오 그룹 AI 윤리 원칙’은 이용자의 주체성, 투명성, 포용성, 프라이버시, 이용자 보호 등 총 10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변순용 한국인공지능윤리학회장(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학과 교수)은 카카오의 노력을 높이 평가하며 “새로운 윤리 조항은 AI 과의존 문제를 해결하고 기술의 안전성을 강화할 중요한 대응책”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카카오는 AI 분야에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는 모범 사례로 글로벌 AI 서비스의 윤리적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상호 카카오 기술윤리 소위원회 리더는 “우리의 AI 기술과 서비스가 안전하고 신뢰받는 미래를 만들도록 정책을 정교하게 다듬고 실행하겠다”며 지속 가능한 기술 윤리를 위한 의지를 밝혔다.
2024-11-26 15:42:1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5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인천대공원 벚꽃축제 취소… 공원 관람은 가능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정치' 없었던 윤석열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