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5 토요일
흐림
서울 8˚C
맑음
부산 8˚C
맑음
대구 7˚C
흐림
인천 7˚C
흐림
광주 7˚C
흐림
대전 7˚C
흐림
울산 8˚C
맑음
강릉 8˚C
흐림
제주 1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조길현'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오프라인 행사에 공 들이는 게임업계…2025년에도 팬들 직접 만난다
[이코노믹데일리] 게임업계가 올해도 자사 게임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오프라인 행사를 개최하며 이용자들과 직접 소통하고 접점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충성도 높은 기존 이용자들을 사로잡으면서 신규 이용자 유입도 꾀하겠다는 전략이다. 데브시스터즈는 지난달 22·23일 양일에 걸쳐 경기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쿠키런: 킹덤' 4주년 팬 페스티벌 '거짓의 카니발'을 개최했다. 이틀간 약 5000명의 방문객이 참여한 이번 행사는 쿠키런 역대 최대 규모의 오프라인 행사로 예매 시작 단 3분 만에 티켓이 매진되는 등 쿠키런: 킹덤의 뜨거운 인기를 입증했다. 특히 △포토 부스 △2차 창작물 부스 △타로카드 부스 등 다양한 체험 부스와 함께 조길현 데브시스터즈 대표와 이은지 총괄 IP 책임자, 김이환 PD가 직접 무대에 올라 이용자와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게임 내 더빙을 맡은 강수진·김예림 성우도 등장해 방문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선사했다. 아울러 데브시스터즈는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4주년 기념 특별전 '진리와 거짓의 게임'도 진행하고 있다. 오는 16일까지 개최되는 이번 특별전은 전통문화 아트 콜라보 작품과 더불어 4개의 체험 콘텐츠 부스도 운영 중이다. 이외에도 해외 이용자들을 겨냥해 현지에서 오프라인 행사를 개최하는 경우도 있다. 네오위즈는 오는 21일 일본 도쿄 시부야에 '디제이맥스 리스펙트 V' 팝업스토어를 오픈한다. 백승철 디제이맥스 프로듀서를 비롯해 유명 아티스트를 직접 만날 수 있는 '팬미팅'과 방문객들이 함께 디제이맥스 음악을 즐길 수 있는 '애프터 파티'가 마련될 예정이다. 또한 현장에서만 얻을 수 있는 한정판 굿즈도 선보일 계획이다. 페스티벌과 팝업스토어뿐만 아니라 게임 음악을 공연으로 선보이는 게임사도 늘어나고 있다. 게임 음악은 이용자들의 몰입감과 IP에 대한 완성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시프트업은 지난달 15일 서울 경희대 평화의전당에서 '승리의 여신: 니케' 오케스트라 콘서트 '니케: 멜로디스 오브 빅토리'를 개최했다. 타카키 히로시 음악 감독과 보컬 'PERNELLE' 등이 참가한 이번 공연은 니케의 여정을 되짚어볼 수 있는 16곡을 100분 동안 선보이며 4400여명의 관객에게 호평을 얻었다. 네오위즈 역시 오는 22일 서울 잠실 롯데콘서트홀에서 'P의 거짓' 오케스트라 콘서트를 개최한다. 이번 공연은 P의 거짓 확장팩(DLC) 출시를 앞두고 국내 이용자를 위해 특별히 마련된 자리로 대표 OST인 'Feel'을 비롯한 35곡을 60인조 풀 오케스트라의 웅장한 연주로 만나볼 수 있다. 특히 안두현 지휘자와 아르츠 심포니 오케스트라, 고상지 반도네오니스트 등이 참가해 완성도를 더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게임사들은 단순한 게임 서비스 제공을 넘어 이용자들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오프라인 행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고 IP 확장 가능성을 모색하는 전략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2025-03-04 15:12:40
데브시스터즈, '쿠키런 인도' 인기 급상승…구글플레이 5위 안착
[이코노믹데일리] 데브시스터즈(대표 조길현)가 인도 시장에서 모바일 게임 '쿠키런 인도'로 초반 흥행에 성공했다. 지난 11일 출시된 이 게임은 현지 구글플레이 인기 게임 순위 5위에 진입했으며 아케이드 부문 1위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출발을 보이고 있다. 쿠키런 인도는 인도의 문화와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이며 이용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게임 내 캐릭터인 ‘굴랍 자문 쿠키’와 ‘카주 카틀리 쿠키’는 인도의 전통 디저트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됐으며 인도풍 맵과 배경음악 등도 추가됐다. 이 같은 현지화 전략은 게임의 몰입도를 높이며 인도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끌어올렸고 현재 평점 4.64점이라는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인도는 안드로이드 OS 비중이 90% 이상을 차지하는 모바일 중심의 게임 시장이다. 출시 직후 상위권에 진입한 것은 가볍고 직관적인 게임성과 저사양 기기에서도 원활한 플레이가 가능하다는 점이 주효했던 것으로 평가된다. 데브시스터즈 관계자는 “인도 이용자들의 경쟁을 즐기는 특성에 맞춰 소셜 기능과 ‘이벤트 런’ 모드 등 함께 플레이하며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데브시스터즈는 이번 인도 시장 진출을 통해 실적 개선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회사는 지난해까지 7분기 연속 영업 적자를 기록했지만 올해 들어 재무 구조를 안정화하며 경영 체질 개선에 성공했다. 시장에서는 올해 연간 영업흑자 전환을 기대하고 있으며 이번 '쿠키런 인도'의 흥행이 실적 개선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인도 게임 시장은 인구 4억5000만명의 세계 최대 인구로 빠르게 성장 중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인도 게임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CAGR)은 약 19%로 2028년에는 약 10조8000억원(75억 달러)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특히 모바일 게임의 점유율이 90%를 차지할 만큼 모바일 플랫폼이 강세다. 여기에 인도의 게임 문화 특성상 캐주얼 장르의 인기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접근성이 뛰어나고 규칙이 간단해 20대부터 5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이 게임을 즐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브시스터즈는 인도 시장에서의 성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현지 경험이 풍부한 크래프톤과 협업을 통해 퍼블리싱 전략을 강화하고 꾸준한 콘텐츠 업데이트로 인도에서의 장기적인 흥행을 도모할 방침이다. 업계에서는 “데브시스터즈가 인건비 절감 등으로 비용 효율화를 이루었고 이번 '쿠키런 인도'의 성공적 진입은 실적 회복의 중요한 모멘텀이 될 것”이라며 “글로벌 시장 확장과 신작 출시 일정까지 더해지면 성장세가 더욱 두드러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2024-12-17 17:50:03
데브시스터즈 '쿠키런 인도' 12월 11일 정식 출시
[이코노믹데일리] 데브시스터즈가 모바일 러닝 게임 쿠키런의 인도 정식 서비스를 오는 12월 11일부터 시작한다. 지난달부터 사전예약을 진행하며 본격적인 출시 준비를 마쳤다. 데브시스터즈와 크래프톤은 인도를 모바일 게임 초기 경험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장으로 보고, 쿠키런의 쉽고 직관적인 게임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유저층 확보를 목표로 삼고 있다. 기존 캐주얼 게임과 차별화된 캐릭터성과 수집 및 성장 요소, 그리고 경쟁적인 소셜 플레이를 제공하며 차세대 러닝 게임으로 자리매김한다는 방침이다. 현지화를 위해 인도 디저트를 테마로 한 오리지널 캐릭터, 맵, 로비 디자인, 배경음악 등을 개발했으며 인도 유저들이 선호하는 경쟁 요소를 반영한 신규 모드와 랭킹 시스템을 추가했다. 또한 부담 없는 상품과 패키지를 통해 긍정적인 구매 경험을 유도할 계획이다. 캐릭터 중심의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용감한 쿠키를 활용한 온라인 소통 활동도 적극 전개한다. 지난달에는 인도의 핵심 IT 도시인 하이데라바드에서 열린 인도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IGDC)에서 쿠폰 이벤트를 진행하며 게임 홍보에 나섰다. 쿠키런 인도의 콘텐츠 개발은 데브시스터즈 산하 스튜디오 킹덤이 맡고 크래프톤이 현지 서비스와 마케팅을 지원한다. 크래프톤 손현일 인도 법인장은 “인도 테마의 콘텐츠를 통해 현지 유저들이 익숙하면서도 새로운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조길현 데브시스터즈 대표는 “인도의 게임 시장은 이제 성장 단계에 있다”며 “쿠키런이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그랬던 것처럼 인도에서도 가볍게 즐기면서도 몰입감 높은 재미를 제공해 유의미한 유저 기반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인도 진출은 데브시스터즈와 크래프톤의 글로벌 시장 확장 전략의 일환으로 인도 유저들에게 친숙한 테마와 새로운 게임 경험을 선사하며 성공적인 현지화를 노리고 있다.
2024-12-03 09:47:43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5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인천대공원 벚꽃축제 취소… 공원 관람은 가능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정치' 없었던 윤석열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