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29 금요일
흐림
서울 30˚C
맑음
부산 29˚C
맑음
대구 29˚C
흐림
인천 30˚C
흐림
광주 29˚C
흐림
대전 29˚C
흐림
울산 30˚C
흐림
강릉 29˚C
흐림
제주 3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지리차'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R&D 지원 팍팍"...중국차, 무서운 속도로 올라왔다
[이코노믹데일리] 중국 자동차와 차 부품 기업들이 글로벌 500대 기업에 진입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오랜 기간 동안 연구개발(R&D)을 지속해 왔기에 빠른 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최대 전기차 업체 BYD는 올해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에서 91위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100위권에 진입했다고 4일 밝혔다. BYD는 지난 2022년부터 4년 연속 포춘 글로벌 500에 이름을 올렸다. 올해 기록은 지난해 143위 대비 52계단 상승한 성과다. 포춘 글로벌 500은 미국 경제전문지 포춘이 매년 발표하는 매출액 순위 세계 최대기업 500개 명단이다. BYD는 지난해 매출액 1080억 달러(약 149조4180억원)와 순이익 56억 달러(약 7조7476억원)를 기록하며 글로벌 500대 기업 중 91위를 차지했다. BYD는 자동차, 전자, 철도교통, 에너지와 같은 핵심 4대 산업 전반에 영향력을 끼치며 성장했다. 특히 친환경차(NEV) 판매량은 427만대로 전년 대비 41% 증가하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기도 했다. 이로써 BYD는 3년 연속 글로벌 친환경 승용차 판매 1위를 달성했다. 이와 함께 중국 지리차는 매출 799억 달러와 순이익 8억 달러를 기록해 155위를 차지했으며 체리자동차는 매출 596억 달러, 순이익 4억 달러를 기록해 233위를 차지했다. 중국 자동차 기업들이 눈부신 속도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은 아낌없는 연구개발(R&D) 투자에 있다. 올해 상반기 발간한 자동차산업 인적자원개발위원회의 '중국 자동차산업 성장 및 인력 양성 현황과 시사점' 리포트에 따르면 중국 자동차산업 전체 R&D 투자액은 지난 2022년 기준 35조2486억원 규모로 BYD, 지리 등 주요 완성차 기업들은 전동화와 소프트웨어 중심의 차량 개발에 대응하기 위해 R&D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BYD의 경우 기술 중심 R&D 투자를 어느 기업보다 활발히 해 빠른 속도로 성장할 수 있었다. 지난해 R&D 투자액은 542억 위안(10조4188억원)으로 이는 BYD의 순이익을 초과한다. BYD는 지난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꾸준한 R&D 투자를 진행해 왔다. 이 같은 지원 덕에 BYD는 블레이드 배터리, 디서스(DiSus) 인텔리전트 바디 컨트롤 시스템, 메가와트급 초고속 충전 기술 등 핵심 기술을 개발할 수 있었던 것이다. 지리자동차도 기술 혁신과 R&D에 전념하고 있다. 지난 2023년 상반기 R&D 투자액은 1조 3489억원이었으며 전기화와 스마트화 전환에 속도를 붙이고 있다. 체리자동차는 R&D를 통해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탑재해 픽업트럭 시장의 프리미엄화를 추구하는 등 글로벌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다. 체리자동차는 지난 2022년부터 오는 2027년까지 19조7205억원을 투자할 것이라 밝힌 바 있다. 박철완 서정대 스마트자동차학과 교수는 "중국차 기업들은 R&D를 통해 신(新)에너지 차량을 다량 생산하고 있고 이로써 글로벌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다"며 "오랜 시간 준비한 덕에 이제 다른 기업들은 따라오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2025-08-04 14:44:14
법인 설립 마친 중국 전기차 '지커'…한국 진출 시동
[이코노믹데일리] 중국 전기차 업체 '지커(Zeekr)'가 한국 법인을 세우고 상표권 등록을 마치면서 국내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23일 대법원 법인등기기록에 따르면 중국 전기차 회사 지커는 지난달 28일 '지커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지커코리아)라는 상호의 법인명으로 등록했다. 지커코리아는 법인 설립 목적에 △자동차 및 이와 관련된 제품들의 수입 사업 △자동차 및 이와 관련된 제품들의 유통·판매·서비스 사업 △자동차 배터리 및 관련 시스템과 소재의 개발·제조·가공·판매·임대·서비스업이라고 설명했다. 차오위 지커 동아시아 총괄이 대표이사로 자본금은 1억원, 주소는 서울 강남구 역삼동으로 명시했다. 사내이사로는 김남호 전 폴스타코리아 프리세일즈 총괄이 유일한 임직원으로 이름을 올렸는데 시장 분석과 딜러사 선정 등 사전 작업을 맡은 것으로 전해졌다. 지커를 산하 브랜드로 둔 지리자동차그룹은 지난 17일 지커 로고에 대해 국내 상표 등록 작업을 완료했다. 지커 스포츠유틸리티차(SUV) '7X' 상표도 출원을 마친 가운데 지커코리아 초기 모델이 7X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지커는 지난 2021년 중국 지리차에서 분사해 △2022년 7만1941대 △2023년 11만8585대 △2024년 22만2123대 판매하고 급성장 중이다. 지난해 5월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까지 상장하며 4만4000만 달러(약 6000억원)를 조달하며 최근 3년간 중국 기업의 최대 기업공개(IPO) 규모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지커가 BYD와는 다르게 국내 전기차 시장에서 또 다른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한다. 최재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BYD 등 다른 중국 업체와 비교해 성능이 월등하기 때문에 국내 시장에 위협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며 "단기적으로는 중국산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로 어려울 수 있지만 상용차나 로봇청소기 사례처럼 장기적으로는 국내 점유율을 일정 부분 가져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항구 전 자동차융합기술원장은 "중국 내수 시장에서 중저가 모델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많은 업체가 고급 브랜드를 출시해 해외로 진출하고 있다"며 "지커가 중국 고급 브랜드의 한국 진출에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2025-03-23 15:18:56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아이폰17, 플러스 대신 5.5mm 초슬림 '에어' 나온다
2
AI '데이터 고속도로' 4배 넓힌다...국가 백본망 2030년까지 4배 증설
3
포스코이앤씨, '사고 충격' 넘고 공사 재개… 건축사업서 활로 모색
4
위메이드, 'P의 거짓' 핵심 개발진 '스튜디오라사'에 100억 투자…콘솔 IP 강화
5
DL이앤씨, 마곡 사옥 이전에도 '구조조정설' 또 불거져… 연이은 악재에 '뒤숭숭'
6
美 증시, 파월 발언 재해석 속 하락…PCE 지표 발표 앞두고 긴장 고조
7
라이엇게임즈, T1 롤드컵 우승 스킨 9월 11일 출시…'페이커' 요네·사일러스 공개
8
'생수계 명품' 에비앙 정수 파문에…韓 삼다수·아이시스·백산수 기회 잡나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위고비, 치료제지 미용이 아니다...의료계 주객전도 되지 말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