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3건
-
2024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에 한국 기업들 다수 선정
[이코노믹데일리] 유럽연합(EU) 산하 기후 모니터링 기관인 코페르니쿠스는 최근 2024년이 관련 기록이 시작된 1850년 이후 가장 더운 해란 사실이 확정적이란 결과를 발표했다. 우리나라에서도 2024년 가을 기온이 평균 섭씨 16.8도로 1973년 이후 가장 더웠으며 11월 하순 내린 첫눈은 역대급 폭설로 기록됐다. 기후변화가 일상으로 자리 잡은 우리나라에서도 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 잡고 있다. 단순히 이윤 추구만을 목적으로 하던 과거와 달리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 개선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지표 중 하나가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ow Jones Sustainability Indices·DJSI)’다. DJSI는 미국의 S&P 글로벌이 지난 1999년부터 25년째 발표하는 지속가능성 지수로 글로벌 기업들의 경제적 성과와 환경, 사회, 거버넌스 측면의 성과를 매년 종합 발표하고 있다. 전 세계 시가총액 상위 2500여개 기업을 대상으로 경제, 환경, 사회적 측면에서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고려, 산출돼 공신력 또한 높다. S&P 글로벌이 지난 16일(현지시간) 발표한 2024 DJSI 평가 지수에는 우리나라 기업들도 다수 이름을 올렸다. DJSI 평가는 크게 △산업별 상위 10% 기업만이 편입되는 ‘DJSI 월드(World)’ △아시아 지역 상위 600대 기업 중 상위 20%가 편입되는 ‘DJSI 아시아퍼시픽(Asia Pacific)’ △국내 상위 200대 기업 중 상위 30%가 편입되는 ‘DJSI 코리아(Korea)’로 나뉜다. 2024 DJSI 평가 결과에 따르면 DJSI 월드 지수에 이름을 올린 기업은 KB금융, 하나금융그룹, 우리금융, 카카오, HD한국조선해양, 삼성화재 등이다. KB금융은 DJSI 월드 지수에 9년 연속 편입됐다. KB국민은행을 비롯한 계열사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으로 상생 금융, 기후변화 대응 전략 이행, 모범적 지배구조 등에서 우수한 성과를 낸 점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는 게 KB금융의 설명이다. 하나금융그룹도 DJSI 월드 지수에 3년 연속 편입됐으며, 우리금융은 올해 처음 DJSI 월드 지수에 선정됐다. 카카오는 DJSI 월드 지수에 4년 연속으로 편입됐다. 지난 2021년부터 DJSI 월드 지수와 더불어 DJSI 아시아퍼시픽 지수, DJSI 코리아 지수에 모두 이름을 올렸다. HD한국조선해양은 국내 조선업계 최초로 올해 DJSI 월드 지수에 이름을 올렸다. 삼성화재는 올해 국내 보험사 중 유일하게 DJSI 월드 지수에 편입됐다. DJSI 코리아 지수에는 한전KPS, OCI홀딩스가 16년 연속 이름을 올렸다. LX하우시스는 10년 연속 편입됐다. 금호석유화학은 3년 연속 선정됐다. 카카오페이, 그리고 OCI홀딩스의 주요 종속회사인 OCI는 이번 DJSI 코리아에 2년 연속 편입됐다. 한편 DJSI 아시아퍼시픽 지수에는 코웨이가 12년 연속 선정됐다.
2024-12-24 06:00:00
-
-
삼성전기, 전 사업장 폐기물 매립제로 최고 등급
[이코노믹데일리] 삼성전기는 국내외 모든 사업장이 ‘폐기물 매립 제로(ZWTL)’ 인증 최고 등급인 플래티넘을 획득했다고 5일 밝혔다. 등급은 미국 일리노이주에 있는 안전 규격 개발 기관이자 인증 회사인 UL 솔루션즈 평가로 매겨졌다. 삼성전기는 '더 나은 지구와 생명을 위한 지속 가능한 도전'이라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미션을 실천하기 위해 환경을 위한 노력(Planet), 구성원의 행복 추구(People), 지속 가능한 성장(Progress) 등 '3P'를 경영 키워드로 선정해 ESG 경영에 힘써 왔다. 이에 따라 국내 최초로 세계적인 지속가능경영 평가 지수인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월드'에 15년 연속 선정된 데다 영국의 비영리 인증기관인 카본 트러스트 '탄소 발자국' 인증을 받는 등 ESG 선도 기업으로 평가 받았다. 이번에 받은 '폐기물 매립 제로'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다시 자원으로 활용하는 비율에 따라 플래티넘(100~99.5%), 골드(99.4~94.5%), 실버(94.4~89.5%) 등급을 부여한다. 기업의 자원 순환 노력을 평가하는 글로벌 지표로 활용된다.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글로벌 주요 업체에서도 부품 공급사의 재활용 인증 등 환경 관리에 대한 요청이 늘고 있다. 삼성전기는 지난해 수원·세종·부산 등 국내 사업장과 중국 천진 사업장에서 자원순환율 99.5% 이상을 달성해 폐기물 매립 제로 플래티넘 등급을 획득했고, 금년에 중국 고신·베트남·필리핀 사업장도 플래티넘 등급을 획득해 국내외 모든 사업장이 최고 등급을 달성했다. 폐기물 매립 제로 최고 등급 달성을 위해 사업장별 재활용 정책을 수립하고 재활용 가능한 자원을 발굴, 확대하는 등 자원순환율 향상을 위해 노력해 왔다. 삼성전기는 폐알칼리와 폐산을 폐수처리장의 산도(pH)조절제와 응집제로 사용해 재자원화 했다. 또 폐수 침전물(슬러지)에 있는 미량의 구리를 재활용하기 위해 폐수처리장의 구리 응집 시설을 보완하고 고효율 탈수 시설을 설치해 매월 150t의 폐수 슬러지를 재활용하고 있다. 이밖에 건설폐기물과 생활폐기물의 배출 및 처리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철근, 유리, 목재, 비닐, 종이 박스 등 재활용 가능한 자원을 추가 발굴해 재생원료로 활용했다. 장덕현 사장은 “ESG경영이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결정한다”며 “지구 환경, 지역 사회, 임직원과 함께 지속 가능한 가치를 창출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신뢰 받는 정직한 기업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2024-12-05 16:3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