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9.27 토요일
흐림
서울 19˚C
흐림
부산 21˚C
흐림
대구 21˚C
흐림
인천 20˚C
흐림
광주 22˚C
흐림
대전 24˚C
흐림
울산 21˚C
흐림
강릉 20˚C
비
제주 24˚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진천공장'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오리온 진천공장 건립, 불가리스 발효유 점유율 1위
[이코노믹데일리] 오리온이 충북 진천공장 건립에 2280억원을 투자한다. 남양유업의 대표 브랜드 불가리스가 올해 1분기 국내 오프라인 드링킹 발효유 시장에서 판매금액 기준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신세계백화점은 다음 달 3일까지 강남점 특설 행사장에서 서브컬쳐 모바일 게임 대표작 ‘승리의 여신: 니케’ 팝업스토어를 선보인다. ◆ 오리온, 진천공장 건립에 2280억원 투자…“국내외 물량 확대” 오리온이 충북 진천공장 건립에 2280억원을 투자한다. 오리온은 지난 4월 이사회에서 진천 테크노폴리스 산업단지 내 생산·포장·물류를 통합한 생산 기지를 구축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진천공장 부지는 18만 8000㎡(약 5만7000평) 규모로, 오는 8월 1일 착공해 2027년 6월 30일 준공될 예정이다. 오리온 관계자는 “이번 공시는 총 4600억원의 투자금액 중 건물(생산공장, 물류센터, 포장재동) 투자에 대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내 및 해외 수출 생산 능력 확대를 통해 중장기 성장 기반을 공고히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남양유업 불가리스, 드링킹 발효유 점유율 17.8% ‘1위’ 남양유업의 대표 브랜드 불가리스가 올해 1분기 국내 오프라인 드링킹 발효유 시장에서 판매금액 기준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시장조사기관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올 1분기 국내 식품 소매점 기준 불가리스의 시장 점유율은 17.8%를 기록했다. 전통 유제품 시장이 전반적으로 정체된 가운데 주요 경쟁 브랜드 대비 7%p 이상 격차를 벌렸다. 불가리스는 1991년 출시 이후 장 건강에 특화된 프리미엄 발효유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제품에는 프로바이오틱스 2400억 CFU 생유산균이 함유돼 있다. 현재 불가리스 브랜드로는 ‘드링킹 발효유’와 ‘떠먹는 발효유’가 있다. ◆ 신세계百 강남, 내달 3일까지 게임 ‘승리의 여신:니케’ 팝업 신세계백화점이 다음 달 3일까지 강남점 지하 1층 선큰 특설 행사장에서 서브컬쳐 모바일 게임 대표작 ‘승리의 여신: 니케’ 팝업스토어를 선보인다. 이번 팝업스토어는 지휘관(게임 내 유저)이 돼 게임 속 장면을 체험하는 콘텐츠를 중심으로 기획됐다. 포토존에서는 게임 속 대표 캐릭터와 최근 협업을 진행한 ‘스텔라 블레이드’의 캐릭터 등신대가 준비됐다. 최초로 공개하는 굿즈와 신세계백화점 팝업스토어에서만 구매할 수 있는 단독 굿즈도 만나볼 수 있다. ‘승리의 여신: 니케’는 지난 2022년 11월 출시된 3인칭 슈팅 액션 롤플레잉 게임으로, 국내를 비롯한 북미·일본·중국 등 글로벌 게임 시장에서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2025-06-23 09:02:27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AI 시대 맞손…엔비디아·인텔, 데이터센터·PC 공동개발 나선다
2
업비트 '기와' vs 위메이드 '스테이블 원'…'원화 스테이블코인' 패권, 승자는
3
네이버,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 자회사로 편입…주식교환 추진
4
카카오, AI·SNS 입은 '새 카카오톡' 공개…23일 이프카카오 개막
5
건설사, 사망사고 속출에 뒤늦은 CSO 격상…정부 대책은 여전히 '추진 단계'
6
중국 대신 한국? 美 국방수권법안 통과에 국내 바이오 기업 주목
7
수흐벌드 몽골대사 "한국은 제3의 이웃…핵심광물 협력 새 장 열어"
8
TGS 2025, 韓 게임사들 역대급 라인업으로 일본 열도 공략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롯데카드, 누구도 만족 못한 해명·보상...안전 수준은 여전히 불투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