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9 수요일
흐림
서울 13˚C
맑음
부산 16˚C
맑음
대구 22˚C
흐림
인천 12˚C
흐림
광주 20˚C
흐림
대전 18˚C
흐림
울산 17˚C
흐림
강릉 17˚C
흐림
제주 1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카드 모집인'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KB·우리·롯데 모집비용 '뚝'...현대·BC 실적 내며 '약진'
[이코노믹데일리] 카드업계가 모집비용 절감을 위해 비대면 영업을 늘리면서 지난해 전체 모집비용이 전년 대비 25.5% 감소했다. 국민카드 등 대부분 카드사는 모집비용을 크게 줄였으나 현대·BC카드는 고객 확보 성과로 비용이 증가했다. 한편 대면 영업과 점포 축소가 시니어 고객의 접근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카드사의 모집 비용은 계속 감소하고 있다. 8개 전업 카드사(신한·현대·삼성·하나·우리·KB국민·롯데·BC)의 지난해 모집 비용은 6270억7100만원으로 전년(8417억4300만원) 대비 25.5% 감소했다. 지난 2021년 8042억3600만원에서 2022년 8637억원으로 증가한 이후 지난해까지 계속 하락세를 보였다. 모집 금액 감소율이 가장 큰 카드사는 KB국민카드로 나타났다. 지난해 KB국민카드의 모집비용은 975억9800만원으로 전년(1683억7100만원)보다 42.03% 감소했다. 다른 카드사의 경우 우리·롯데카드는 30% 이상, 삼성·하나카드는 20% 이상, 신한카드는 10% 이상 모집 비용이 줄었다. 모집 비용 감소에 대해 카드 업계 관계자는 “타 채널보다 비용이 저렴한 비대면 채널 모집을 확대하고 은행, 온라인 및 제휴 카드와 관련한 모집 수수료를 협상을 통해 인하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현대·BC카드는 고객 모집 성과 개선으로 모집 비용이 상승했다. 현대카드의 지난해 모집 비용은 전년(850억800만원) 대비 2.11% 증가한 868억100만원을 기록했다. BC카드의 지난해 모집 비용은 291억4700만원으로 전년(224억9100만원)보다 29.59% 늘었다. 현대카드는 카드 모집 실적 증가로, BC카드는 자체 카드 브랜드의 본격적인 영업 활동 확대로 인해 모집 비용이 증가했다는 것이 각 사 관계자의 설명이다. 카드 업계는 모집 비용 외에도 영업점 축소, 온라인 프로모션 확대 등을 통해 대면 영업은 줄이고 비대면 영업은 계속해서 늘려나가는 중이다. 지난해 카드사의 국내 점포 수는 184개로 전년 191개보다 7개 줄었다. 신한카드의 영업 점포가 지난 2023년 27개에서 지난해 43개로 증가했지만 기존 통합 영업점을 카드, 자동차 금융 부문으로 분리하면서 점포 수가 높게 집계돼 실제 카드 영업 지점의 변동은 크지 않았다. 고객의 오프라인 카드 구매 중계하는 카드 모집인 수도 감소하고 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전업 8개 카드사의 카드 모집인 수는 3766명으로 지난해 말 4033명 대비 267명 줄었다. 지난 2023년 1분기 7378명에서 분기마다 감소세를 보이며 인원이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카드사들은 신규 고객 이벤트도 온라인 고객으로 한정해 진행한다. 신한·현대·우리·롯데·KB국민 등 카드사는 이달 신규 고객 대상으로 연회비 100% 캐시백 이벤트를 실시했다. 단 PC·모바일 등 온라인 발급 시에만 혜택을 제공한다. 이런 카드사의 대면 영업 축소가 소비자들의 불편을 키울 수 있다는 전문가의 지적도 나왔다. 황용식 세종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코로나 이후 비대면 방식이 산업 트렌드로 빠르게 전환하는 추세“라면서도 “시니어 고객층이나 비대면 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들은 어려운 부분이 있을 수 있어 점진적인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5-04-08 07:46:00
우리카드, 가맹점주 개인정보 무단 사용…과징금 134억 부과
[이코노믹데일리] 우리카드가 가맹점주 개인정보 오·남용으로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부터 과징금 134억5100만원을 부과받았다. 28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따르면 우리카드 인천영업센터는 신규 카드 발급 마케팅을 위해 지난 22년 7월부터 지난해 4월까지 카드 가맹점주 최소 13만1862명의 개인정보를 조회했다. 이후 수집한 자료를 카드 발급 심사 프로그램에 입력해 해당 가맹점주의 우리카드 신용카드 보유 내역을 확인 후 이를 카드 모집인 등이 참여한 카카오톡 단체 채팅방에 공유했다. 또한 지난 23년 9월부터 가맹점주 7만5676명의 개인정보·우리카드 보유 여부를 모아 개인정보 파일을 생성 후 지난해 총 100회에 걸쳐 카드 모집인에게 이메일로 전달했다. 정보가 전달된 가맹점주는 최소 20만7538명으로 이 중 7만4692명은 마케팅 활용에 동의하지 않았다. 이에 개인정보위는 ‘개인정보 목적 외 이용·제공 제한 규정’ 및 ‘주민등록번호 처리 제한 규정’ 위반을 이유로 과징금 134억5100만원을 부과하고 △내부통제 강화 △안전조치의무 준수 △처분 사실 공표 등 시정 명령을 내렸다. 개인정보위 관계자는 “이번 처분을 통해 금융회사도 보호법이 적용될 수 있으니 보호법 준수 여부를 다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2025-03-28 08:24:1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배터리는 재활용하는데, 석유화학 제품은 매립지로…엇갈리는 업계 행보
2
국내 4대 그룹, '피지컬 AI'로 간다…로봇 투자 전면전 돌입
3
트럼프발 '관세 태풍'에…울고 웃는 韓 화장품·의류 OEM·ODM 기업들
4
LG화학, 수익성 악화로 배터리 분리막 사업 구조조정 돌입 전망
5
네이버 쇼핑앱, 출시 첫 달 신규 설치 1위… '테무' 제쳤다
6
마비노기 모바일, 차트 역주행 성공… '협력·생활형 콘텐츠' 통했다
7
키움증권, 개장 직후 MTS 거래 지연…이틀째 시스템 장애
8
카카오, 자회사 카카오엔터 경영권 매각 추진… 노조 "사모펀드 매각 반대" 강력 반발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공매도 재개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의 대거 이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