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8 화요일
맑음
서울 13˚C
맑음
부산 15˚C
맑음
대구 14˚C
맑음
인천 8˚C
흐림
광주 9˚C
구름
대전 11˚C
구름
울산 11˚C
맑음
강릉 11˚C
흐림
제주 1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클로이'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LG전자, R&D 투자 확대…'AI 생활가전' 강화 나선다
LG전자 로고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LG전자의 지난해 연구개발(R&D)비용이 역대 최대 규모를 경신했다. 이에 엘지전자는 생활 가전 등 핵심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인공지능(AI)을 접목한 기술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설 전망이다. 18일 LG전자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R&D 투자 비용은 4조7632억원으로 2023년 4조2834조원보다 4798억원(11.2%) 증가했다. R&D 투자 규모는 생활가전(H&A) 사업본부가 1조1605억원으로 24.3%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자동차 전장(VS) 사업본부가 9369억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LG전자가 생활가전분야에 R&D 투자를 집중하는 이유는 가전 분야의 지속적인 성장세 때문이다. 지난 1월 LG전자는 지난해 생활가전 부문 매출액 33조2033억원, 영업이익 2조446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2023년 생활가전 부문 연 매출액 30조원을 기록한 이후 지속 성장한 것이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실적 서프라이즈 기대' 리포트를 통해 "실적 호적 요인은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국가 중심의 프리미엄 가전 판매량이 급증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LG전자가 핵심 사업인 생활가전에 AI를 접목해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LG전자는 AI 클로이 로봇을 구독 서비스로 제공해 AI 기반 스마트홈 솔루션을 구축하고 있다. 가전 구독 사업은 지난해 2조원에 달하는 실적을 내며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떠오른 가운데 구독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는 등 서비스를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AI 플랫폼 딥씽큐를 활용해 고객 생활 패턴에 맞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사용자 필요와 선호를 예측하는 AI에이전트를 개발 중이기도 하다. 또한 차세대 AI칩 개발을 통해 제품군을 지속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LG전자는 연구개발 인프라와 생산 효율성 강화에도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가동 중인 스마트팩토리 창원 공장을 포함해 다른 지역 공장도 자동화를 통해 생산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병헌 광운대 경영학과 교수는 "메카니컬한 성능들이 최고 수준에 와 있는 상태에서 제품 차별화를 위해 AI 기능을 도입해 차별성을 높여야 한다"면서 "중국 인공지능 기술이 고도로 발달한 데다가 성능이 오히려 우리보다 앞서가기 때문에 이에 대응할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2025-03-18 16:51:25
LG전자, 베어로보틱스 경영권 확보…로봇 사업 속도낸다
베어로보틱스의 인공지능(AI) 자율주행 배송로봇 '서비플러스'[사진=LG전자] [이코노믹데일리] LG전자가 인공지능(AI) 기반 상업용 자율주행로봇 기업 베어로보틱스의 경영권을 확보해 로봇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LG전자는 22일 이사회를 열고 베어로보틱스의 30% 지분을 추가 인수하는 콜옵션을 행사하기했다고 밝혔다. LG전자는 지난해 6000만 달러를 투자해 베어로보틱스 지분 21%를 취득, 최대 30% 지분을 추가 인수할 수 있는 콜옵션 계약을 맺은 데 이은 두 번째 의결이다. 베어로보틱스는 2017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벨리에서 설립된 AI 기반 상업용 자율주행로봇 기업이다. 이로써 LG전자는 베어로보틱스 지분의 51%를 보유하고, 경영권을 확보하며 자회사로 편입하게 된다. 이번 협력을 통해 LG전자는 클로이 로봇 중심의 상업용 로봇 사업 일체를 베어로보틱스와 통합해 가정∙산업용 로봇 사업도 강화할 방침이다. 올해 출시 예정인 AI홈 허브(Q9) 등 가정용 로봇 분야는 HS사업본부에서 총괄한다. Q9은 자율 주행 기술과 음성∙음향∙이미지 인식을 접목한 멀티모달 센싱을 통해 집안에서 사용자와 자유롭게 소통한다. 또 Q9에는 고객과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또록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음성인식 및 음성합성 기술도 탑재됐다. Q9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5에서 소개돼 탁월한 소통 능력을 선보인 바 있다. 이와 함께 LG전자는 전체 로봇사업의 소프트웨어(SW) 역량 고도화를 이끄는 동시에 기업 간 거래(B2B) 사업을 통해 글로벌 제품 판로 확대도 힘쓸 전망이다. 이삼수 LG전자 최고전략책임자(CSO) 부사장은 "이번 추가 투자를 통해 로봇을 확고한 신성장 동력으로 키울 것"이라며 "로봇 사업 전방위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혁신을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2025-01-24 10:46:4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배터리는 재활용하는데, 석유화학 제품은 매립지로…엇갈리는 업계 행보
2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3
국내 4대 그룹, '피지컬 AI'로 간다…로봇 투자 전면전 돌입
4
LG화학, 수익성 악화로 배터리 분리막 사업 구조조정 돌입 전망
5
네이버 쇼핑앱, 출시 첫 달 신규 설치 1위… '테무' 제쳤다
6
키움증권, 개장 직후 MTS 거래 지연…이틀째 시스템 장애
7
트럼프발 '관세 태풍'에…울고 웃는 韓 화장품·의류 OEM·ODM 기업들
8
마비노기 모바일, 차트 역주행 성공… '협력·생활형 콘텐츠' 통했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공매도 재개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의 대거 이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