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8 화요일
흐림
서울 11˚C
맑음
부산 11˚C
맑음
대구 11˚C
흐림
인천 9˚C
흐림
광주 9˚C
흐림
대전 12˚C
흐림
울산 12˚C
맑음
강릉 12˚C
맑음
제주 2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정부, 5G 안 터지는 5G·LTE 품질 동시 측정 도입… 실내·고속철 점검 강화
[이코노믹데일리] 정부가 올해 통신서비스 품질평가부터 5세대(5G)와 롱텀에볼루션(LTE) 통신 품질을 동시에 측정하는 방식을 도입한다. 또한 5G 서비스 평가 물량을 대폭 늘리고 실내 시설과 고속철도 구간에 대한 점검을 강화해 이용자 체감 품질 개선을 유도할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통신서비스 품질평가는 5G, LTE, 유선인터넷 등의 실제 성능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통신사의 품질 개선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매년 시행되는 제도다. 올해 평가의 가장 큰 변화는 5G와 LTE 품질 동시 측정 방식 도입이다. 현재 대부분의 5G 서비스는 LTE망과 결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비단독모드(NSA) 방식으로 제공된다. 이 때문에 이용자 단말기에는 5G로 표시되더라도 실제 속도에는 LTE 기여분이 포함되어 왔다. 과기정통부는 동시 측정을 통해 전체 속도에서 LTE 기여분을 분리해 파악하고 이를 통해 순수한 5G 품질 개선과 관련 투자 확대를 유도한다는 복안이다. 5G 서비스 평가 자체도 강화된다. 전체 5G 측정 대상 지점 수를 지난해 400곳에서 600곳으로 크게 늘렸다. 특히 늘어난 물량의 절반인 300곳을 실내 시설로 지정해 집중 점검한다. 평가 대상 선정 시에는 실내 5G 무선국(기지국)이 없는 시설을 중점적으로 포함시켜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통신사의 투자를 유도할 계획이다. 농어촌 5G 공동망 측정 대상 역시 기존 45개 읍면에서 60개 읍면으로 확대한다. 그동안 품질 미흡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던 KTX, SRT 등 고속철도 구간에 대한 점검도 강화된다. 연간 이용객이 1억 명 이상임에도 품질 개선이 더딘 구간을 중심으로 정밀 점검을 실시해 통신사의 신속한 개선을 촉구하기로 했다. 이용자 중심의 평가 연계성도 높인다. 이용자가 앱이나 웹사이트를 통해 직접 측정한 품질 평가 결과 중 하위 지역을 정부의 공식 망 품질평가 대상 지역 선정에 반영한다. 이는 전문 장비로 측정하는 망 품질평가와 실제 이용자가 체감하는 품질 사이의 간극을 줄이기 위한 조치다. 또한 동영상 서비스 등 주로 사용하는 콘텐츠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송속도 기준을 새롭게 마련하고 이를 평가에 적용해 실질적인 이용 품질 측정을 강화한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평가에서 확인된 5G·LTE 접속 미흡 시설 및 품질 미흡 지역의 개선 여부를 점검해 오는 8월 중간 결과를 발표하고 올해 종합적인 평가 결과는 12월에 공개할 예정이다. 이도규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은 "통신서비스 품질평가는 이용자의 합리적 서비스 선택을 돕고 통신사의 품질 개선 경쟁을 유도하는 중요한 제도"라며 "국민이 실생활에서 불편함 없이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5G 등 통신 품질 개선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5-04-07 14:56:12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2
인천대공원 벚꽃축제 취소… 공원 관람은 가능
3
LG화학, 수익성 악화로 배터리 분리막 사업 구조조정 돌입 전망
4
키움증권, 개장 직후 MTS 거래 지연…이틀째 시스템 장애
5
네이버 쇼핑앱, 출시 첫 달 신규 설치 1위… '테무' 제쳤다
6
헌재, 오늘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헌정 두 번째 파면 여부 결론
7
트럼프發 관세 폭탄에도 끄떡없는 K-엔터·콘텐츠株…'무풍지대' 위력 과시
8
[데스크칼럼] '정치' 없었던 윤석열의 정치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공매도 재개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의 대거 이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