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5건
-
-
-
-
데브시스터즈, 2024년 매출 2362억원 흑자 전환 성공…'쿠키런' IP 글로벌 확장 가속화
[이코노믹데일리] 데브시스터즈가 지난해 연간 매출 2362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5년 차를 맞은 '쿠키런: 킹덤'의 꾸준한 인기와 신작 '쿠키런: 모험의 탑'의 흥행이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데브시스터즈는 올해 '쿠키런' IP를 활용한 신작들의 해외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며 글로벌 게임사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11일, 데브시스터즈는 2024년 연간 매출 2362억원, 영업이익 272억원, 당기순이익 341억원을 달성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액이 46.6% 증가한 수치이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흑자로 돌아선 것이다. 실적 개선의 주역은 '쿠키런: 킹덤'과 '쿠키런: 모험의 탑'이다. 특히 '쿠키런: 킹덤'은 출시 5년 차에도 불구하고 신규 이용자 수가 전년 대비 27% 증가했으며 글로벌 누적 이용자 수 7200만 명을 돌파하는 등 꾸준한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1월 진행된 4주년 업데이트 기간에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 54%, 활성 이용자 수 19% 이상 증가하며 상승세를 더욱 확대했다. 회사 측은 쉐도우밀크 쿠키를 활용한 신규 콘텐츠, IP 브랜딩 강화, 적극적인 마케팅 등이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6월 출시된 신작 '쿠키런: 모험의 탑' 역시 국내외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출시 직후 한국, 미국, 대만, 태국 등 주요 지역 앱 마켓 인기 순위 1위를 석권했으며 매출 순위에서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며 실적 성장에 기여했다. 다만 4분기 실적은 매출 502억원, 영업이익 7억원, 당기순이익 39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다소 감소했다. 이는 신작 출시 효과 감소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으로 분석된다. 데브시스터즈 측은 4분기에 핵심 타이틀 콘텐츠 확장과 글로벌 마케팅 전략 기반을 다졌으며 올해 1분기 주요 지표가 반등하는 등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데브시스터즈는 올해 해외 시장 확대를 통해 매출 성장세를 더욱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우선 '쿠키런: 모험의 탑'의 일본 시장 공략에 집중한다. 오는 21일부터 2주간 현지 테스트를 진행하여 일본 이용자들의 반응을 살피고 의견을 수렴해 게임 완성도를 높일 계획이다. 일본 서비스는 현지 퍼블리셔 요스타와 협력하여 진행하며 일본 특화 콘텐츠를 개발하는 등 현지화 전략에도 힘쓸 예정이다. 더불어 중국 시장 진출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TCG 장르 신작 '쿠키런: 브레이버스'는 트레이딩 카드 게임의 본고장인 미국 시장에 도전한다. 이달 말 북미 최대 보드게임 박람회 'GAMA 엑스포'에 참가하여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한 첫걸음을 내딛는다. '쿠키런: 브레이버스'는 이미 대만과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으며 초도 물량 완판 및 추가 발주를 기록하는 등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실시간 배틀 액션 게임 '쿠키런: 오븐스매시'는 2분기 글로벌 이용자 테스트를 거쳐 연내 정식 출시를 목표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쿠키런: 오븐스매시'는 VNGGames와 협력하여 아시아 9개 지역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데브시스터즈 관계자는 "지난해 흑자 전환 성공을 발판 삼아 올해는 글로벌 시장 확대를 통한 질적 성장을 목표하고 있다"며 "신작 개발 투자, IP 사업 확장, UA 마케팅 강화 등을 통해 2025년에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2025-02-11 15:41:02
-
XPLA, 웹3 대중화 선도할 9종 디앱 온보딩 로드맵 발표
[이코노믹데일리] 글로벌 블록체인 메인넷 XPLA(엑스플라)가 2024년까지 온보딩 예정인 9종의 디앱(DApp) 로드맵을 6일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웹3 생태계를 구축하고, XPLA 플랫폼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슈팅, RPG, 캐주얼, 트레이딩 카드 게임(TCG), 전략 등 다양한 장르의 디앱이 XPLA 메인넷에 온보딩될 예정이다. 이들 디앱은 NFT 발행, 디지털 자산 거래, 자원 대여 등 실질적 경제 활동을 지원해 사용자들이 생태계의 핵심 주체로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카보네이티드가 개발 중인 대작 슈팅 게임 ‘매드월드 모바일’이 주목받고 있다. 이 게임은 AI 기반 분대원과 함께 영토를 점령하고 자원을 획득하는 고난도 전투를 제공해 흥행 가능성을 높였다. 같은 세계관을 배경으로 한 프리퀄 게임 ‘매드월드 PVP’는 전략적 협상과 국가 간 경쟁을 핵심으로 블록체인 기반 국가 토큰을 활용한 새로운 게임 방식을 선보인다. 또한 유피테르(Iuppiter)의 수집형 액션 게임 ‘배틀 차일드’는 NFT 기반 캐릭터와 무기를 활용해 전략적 횡스크롤 전투를 경험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한다. 일본에서 이미 큰 인기를 얻은 메가 IP ‘스카이갈레온’도 웹3 버전 ‘퍼즐 스카이갈레온’으로 새롭게 태어나 XPLA 생태계에 합류한다. XPLA는 게임뿐만 아니라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한 TCG 게임 ‘메타 매치’와 같은 혁신적인 콘텐츠도 준비 중이다. NFT 소유자가 자신만의 카드 덱을 구성할 수 있어 기존 카드 게임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재미를 제공한다. 소셜파이(SocialFi) 디앱 ‘플레이쓰리(PLAY3)’는 밈코인 제작, NFT 발행, 스테이킹 등 웹3 경제 활동을 간소화해 웹2 사용자들도 자연스럽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외에도 대규모 전투를 즐길 수 있는 전략형 오토 배틀 게임 ‘PLA WAR’, 힐링 요소를 강조한 타이쿤 게임 ‘나의 꽃말 일지’, 액션 게임 ‘비질란테’, 인기 IP 기반 ‘붕어빵 타이쿤’ 등이 포함됐다. 한편 XPLA는 이번 로드맵을 통해 글로벌 웹3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사용자들에게 더욱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며 웹3 생태계의 대중화를 앞당길 계획이다.
2024-12-06 10: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