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03 금요일
흐림
서울 19˚C
비
부산 21˚C
비
대구 20˚C
흐림
인천 20˚C
비
광주 17˚C
비
대전 23˚C
비
울산 19˚C
흐림
강릉 19˚C
비
제주 22˚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틱톡 인수'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트럼프, "틱톡 인수단에 오라클 창업자·언론재벌 머독 포함"
[이코노믹데일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적인 관심사로 떠오른 ‘틱톡’의 미국 사업권 인수 컨소시엄에 오라클 창업자 래리 엘리슨, 델 테크놀로지스 회장 마이클 델, 그리고 언론 재벌 루퍼트 머독 등이 참여하고 있다고 직접 밝혔다. 이들 모두 트럼프 대통령과 가까운 친(親)공화당 성향의 거물급 인사라는 점에서 이번 틱톡 인수가 단순한 안보 문제를 넘어 트럼프 행정부의 미디어 영향력 강화를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방영된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틱톡 인수 참여자들을 거명하며 이들을 “애국자”라고 칭했다. 그는 “알다시피 그들(투자자들)은 아주 잘 알려진 사람들이다. 래리 엘리슨은 그중 한 명이다. 그는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훌륭한 사람인 마이클 델도 참여 중”이라며 “라클런이라는 드문 이름의 사람도 참여하고 있다. 라클런 머독이다. (라클런의 부친인) 루퍼트도 아마 그 그룹에 참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래리 엘리슨은 최근 세계 부호 1위에 오른 오라클의 창업자이며 마이클 델은 AI 서버 시장의 강자인 델 테크놀로지스의 회장이다. 루퍼트 머독은 폭스뉴스와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을 소유한 세계적인 미디어 제국의 수장이다. 이들은 모두 기술 및 미디어 업계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인물들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에 대해 “이 나라를 사랑하는 분들이니까 정말 잘 해낼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해 이번 인수 컨소시엄 구성에 자신의 의중이 깊이 반영되었음을 숨기지 않았다. 틱톡은 모회사가 중국 바이트댄스라는 점에서 미국 내 1억7000만명에 달하는 이용자들의 개인정보가 중국 정부에 넘어갈 수 있다는 안보 우려가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이에 미국 의회는 지난해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으면 서비스를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트럼프 대통령은 법 시행을 유예하는 대신 미국 기업이 주도하는 컨소시엄에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는 방향으로 중국 측과 협상을 진행해왔다. 지난 19일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통화에서 틱톡 매각에 대해 사실상 합의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으로 틱톡의 새로운 주인이 될 ‘애국자 그룹’의 윤곽이 드러나면서 향후 틱톡이 미국 내에서 어떤 모습으로 운영될지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특히 폭스뉴스를 소유한 머독 가문이 인수에 참여함에 따라 틱톡이 정치적으로 편향된 플랫폼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2025-09-22 08:34:09
아마존, 마감 임박한 中 틱톡 인수전 합류...美 행정부에 제안서 제출
[이코노믹데일리]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인수하기 위해 미국 행정부에 제안서를 제출했다. 2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의 보도에 따르면 아마존은 틱톡의 매각 절차 지원 책임자인 J.D. 밴스 부통령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에게 서한 형태의 제안서를 전달했다. 틱톡 매각 기한은 이번 주말로 임박한 상황이다. NYT는 "아마존은 이번 인수전에서 가장 주목받는 입찰자로 부상했다"고 전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는 아마존의 입찰 제안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통신은 아마존이 실제로 인수하지 않더라도 관심을 보이는 것만으로도 전략적인 이득을 취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아마존이 경쟁에 뛰어들면 다른 잠재적 경쟁자들이 인수를 위해 더 많은 금액을 제시해야 하며, 협상 과정에서 아마존의 온라인 소매 비즈니스와 경쟁하고 있는 '틱톡 숍'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틱톡의 매각 마감일이 임박하면서 틱톡 인수에 관심을 가지는 잠재적 인수자들이 계속 등장하고 있다. 성인 플랫폼 온리팬스(OnlyFans) 창업자가 새로 설립한 스타트업 주프(Zoop)는 가상화폐 관련 단체인 HBAR 재단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인수 제안서를 제출했다. 또한 모바일 마케팅 기업 앱러빈(AppLovin)도 입찰 경쟁에 참여했다. 앞서 메이저리그(MLB) 로스앤젤레스(LA) 다저스 구단주를 지낸 부동산 재벌가 프랭크 맥코트가 속한 컨소시엄이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이외에도 미국 소프트웨어 기업 오라클과 글로벌 자산운용사 블랙스톤 등도 합작투자사를 설립해 인수를 추진하는 방안을 거론한 바 있다. 이처럼 틱톡은 미국 시장에서 큰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국가안보 등의 우려가 제기되면서 '틱톡 금지법'이 제정됐다. 이에 따라 틱톡은 미국 내 사업권이 매각되지 않으면 서비스가 중단될 위기에 놓였다. 틱톡 금지법은 지난 1월 19일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매각 시한을 오는 5일까지 연장하면서 시간이 더 주어졌다. 그는 앞서 틱톡이 인수자를 찾지 못했을 때 필요하다면 기한을 연장할 의향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인수 제안서를 검토하고 서명하더라도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와 중국 정부의 승인을 거쳐야 한다. 블룸버그통신은 "바이트댄스는 틱톡 인수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바이트댄스와 중국 정부가 이번 협상에 얼마나 관여하고 있는지도 불분명하다"고 설명했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인수에 협조하면 중국에 대한 관세를 깎아줄 수 있다며 중국 정부에 협상의 여지를 남겼다.
2025-04-03 08:41:2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국정자원 화재] 국토부, '하도급지킴이' 장애에 공사대금 지급 예외 허용 추진
2
새마을금고 알짜카드 'MG+S 하나카드' 다음달 신규 발급 종료
3
국정자원 화재,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서 발화...화재 발생 원인 '촉각'
5
카톡 업데이트 총괄 홍민택 CPO, 사내 공지로 '진화' 나서
6
'행정부판 카카오 사태', 예산에 막힌 정부의 '절반짜리' 재난 대비
7
[국정자원 화재] 조달청, '하도급지킴이' 서비스 재개…66조원대금 지급 정상화
8
네이버, 업비트 '빅딜'…결제·가상자산 아우르는 '금융 공룡' 탄생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국감에 설 예정인 건설사 CEO들, 책임 공방을 넘어설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