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17 목요일
맑음
서울 15˚C
맑음
부산 13˚C
맑음
대구 16˚C
맑음
인천 15˚C
구름
광주 11˚C
흐림
대전 13˚C
흐림
울산 12˚C
흐림
강릉 17˚C
맑음
제주 2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프랜차이즈화'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레전드 오브 이미르'는 해냈다…중견 게임사, IP 강화로 도약 '정조준'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게임업계의 '허리'를 담당하는 중견 게임사들이 지난해 실적 반등에 성공했다. 올해는 자체 지식재산권(IP)을 기반으로 한 신작을 글로벌 시장에 잇따라 출시하며 상승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27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위메이드, 컴투스, 데브시스터즈 등 대표적인 중견 게임사들이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모두 성장세를 기록했다. 특히 위메이드는 영업이익 181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매출도 전년 대비 42% 증가한 1650억원을 기록하며 4년 연속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 올해 초 출시된 ‘미르’ IP 기반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레전드 오브 이미르’는 초반부터 흥행가도를 달리고 있다. 지난 20일 출시 직후 국내 구글 플레이 인기 순위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26일에는 구글 플레이 매출 순위 1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위메이드는 올해 하반기 또 다른 미르 IP 기반 MMORPG ‘미르M’을 중국 시장에 출시해 상승세를 이어갈 계획이다. 컴투스도 지난해 영업이익 66억원을 기록하며 실적 반등에 성공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서머너즈 워: 천공의 아레나’가 꾸준한 성적을 내며 실적 개선을 견인했다. 또한 한국프로야구(KBO)와 미국프로야구(MLB) 공식 라이선스를 활용한 야구 게임 라인업이 3년 연속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30% 이상 성장했다. 컴투스는 올해도 인기 IP를 기반으로 한 신작을 통해 글로벌 공략을 강화할 방침이다. 오는 3월에는 일본프로야구(NPB) 라이선스를 활용한 신작 ‘프로야구 라이징’을 출시해 일본 시장을 공략하고 상반기 내 ‘서머너즈 워: 러쉬’를 글로벌 시장에 선보일 계획이다. 데브시스터즈 역시 지난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매출 2362억원, 영업이익 272억원, 당기순이익 341억원을 기록하며 실적 반등에 성공했다. ‘쿠키런’ IP가 실적 개선의 핵심 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쿠키런: 킹덤’은 신규 이용자가 전년 대비 27% 증가하며 누적 이용자 수 7200만 명을 돌파했다. 강석오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쿠키런 IP의 해외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신작들의 해외 성과가 국내 게임사들 대비 우수하다"고 평가했다. 데브시스터즈는 올해도 쿠키런 IP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오는 7월에는 트레이딩 카드 게임(TCG) 신작 ‘쿠키런: 브레이버스’를 TCG 장르의 본고장인 미국 시장에 출시한다. 또한 2분기 내 ‘쿠키런: 오븐스매시’의 글로벌 테스트를 진행한 후 연내 정식 출시할 예정이다. 실적 반등에 실패한 일부 중견 게임사들도 자체 IP 강화를 통한 반등을 모색하고 있다. 그라비티는 지난해 매출 5010억원, 영업이익 85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30.9%, 47.0% 감소했다. 이에 따라 올해 ‘라그나로크’ IP 기반 신작을 대거 출시하며 반전을 꾀한다. 지난 14일 ‘라그나로크M: 클래식’을 동남아 시장에 론칭한 데 이어 △라그나로크V: 리턴즈 △라그나로크 온라인 △라그나로크: 백 투 글로리 △라그나로크X: 넥스트 제너레이션 등 다양한 신작 출시를 준비 중이다. 네오위즈는 지난해 매출 3670억원, 영업이익 333억원을 기록하며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올해는 ‘IP 프랜차이즈화’ 전략을 선언하며 ‘P의 거짓’ 확장팩(DLC) ‘P의 거짓: 서곡’을 통해 실적 반등을 시도한다. P의 거짓 DLC는 올여름 출시될 예정이다. 중견 게임사들은 지난해 자체 IP의 경쟁력을 입증한 데 이어 올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러한 전략이 또 한 번 실적 성장으로 이어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2025-02-27 15:24:45
넥슨, 올해부터 'FC 온라인' e스포츠 대회 대대적 개편…"프랜차이즈화로 리그 경쟁력 높인다"
[이코노믹데일리] 넥슨은 축구 게임 ‘EA SPORTS FC Online’(FC 온라인)의 2025년 e스포츠 대회를 개편한다고 24일 밝혔다. 올해부터 FC 온라인 e스포츠 대회는 △구단 프랜차이즈 도입 △리그 생태계 구축 △전문성 강화 등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변화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대회를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리그로 확장하고 경기의 서사와 게임과의 연계를 강화해 e스포츠 본연의 재미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넥슨은 기존 승강제를 폐지하고 프랜차이즈 제도를 도입해 리그의 전문성과 경쟁력을 높인다. △T1 △젠지 △kt 롤스터 △DRX △BNK 피어엑스 △농심 레드포스 △DN 프릭스 △디플러스 기아 등 8개 구단이 프랜차이즈로 참여하며 각 팀은 지난해 활약한 선수들과 실력 있는 신인들로 구성돼 치열한 경쟁을 펼칠 예정이다. 넥슨은 리그 구조를 체계적으로 개편해 리그 레벨에 따라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생태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국내 최상위 리그인 ‘eK리그 챔피언십’은 ‘FC 온라인 슈퍼 챔피언스 리그’(FSL)로 개편되며 경기 방식도 기존 팀전에서 개인전 중심으로 변경된다. 연 2회 진행되는 FSL에서는 8개 팀에서 4명씩 출전해 총 32명의 선수가 우승을 두고 경쟁한다. 같은 기간 운영되는 2부 리그 ‘FC 온라인 퓨처스 리그’(FFL)에는 프로 지망생과 구단 예비 선수 등 32명이 참가한다. 리그 종료 후 이적시장을 통해 상위 선수들에게 FSL 출전 기회가 주어진다. 넥슨은 세미 프로 레벨의 오픈 리그를 연 6회 이상 개최해 프로 리그와의 연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대회 지원 플랫폼을 통해 지자체·공공기관 등에서 개최하는 다양한 아마추어 대회도 지원할 방침이다. 넥슨 관계자는 “오픈 리그 역시 대회가 끝나면 이적시장을 열어 수준급 기량을 보인 아마추어 선수들이 프로 구단과 접촉해 FSL·FFL로 진출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대회 개편 후 처음 열리는 ‘2025 FSL 스프링’은 오는 3월 31일부터 6월 14일까지 서울 잠실 DN 콜로세움에서 진행된다. 올해 총상금 규모는 지난해보다 4배 증가한 10억원이며 상위 2개 팀은 국제 대회 ‘FC 프로 마스터즈’에 출전할 자격을 얻게 된다. 2025년 FC 온라인 e스포츠 대회 개편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FC 온라인 공식 홈페이지 및 e스포츠 유튜브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5-02-24 10:15:05
네오위즈, 2024년 영업이익 333억원…"P의 거짓 DLC로 매출 확대 노린다"
[이코노믹데일리] 네오위즈가 지난해 4분기 및 연간 실적을 12일 발표했다. 이번 실적에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적용했다. 네오위즈는 2024년 연간 매출 3670억원, 영업이익 333억원을 기록하며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당기순손실 67억원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다. 4분기 실적은 매출 897억원, 영업이익 72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4%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12% 증가했다. 다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각각 18%, 52% 감소했다. 당기순손실은 자회사 영업권 손상차손의 영향으로 273억원을 기록했다. PC·콘솔 게임 부문은 전분기와 유사한 37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하지만 ‘P의 거짓’ 출시 효과가 사라지면서 전년 대비 39% 감소했다. ‘P의 거짓’은 스팀 등 글로벌 플랫폼에서 연말 할인 이벤트를 통해 꾸준히 판매되고 있다. 특히 올해 출시 예정인 DLC(다운로드 콘텐츠)를 통해 추가 매출 확대가 기대되는 상황이다. 또한 ‘디제이맥스 리스펙트 V’의 정규 DLC ‘V 리버티 2’도 실적에 기여했다. ‘디제이맥스 리스펙트 V’는 지난해 12월 기준 누적 600만 장 판매를 돌파하며 두터운 팬층을 바탕으로 꾸준한 성과를 내고 있다. 모바일 게임 부문은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한 43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브라운더스트2’는 지난해 12월 진행한 1.5주년 기념 이벤트 성공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매출 90%, 활성이용자 수(AU) 101% 증가하는 성과를 보였다. 다만 ‘영웅전설: 가가브 트릴로지’의 출시 효과 감소로 전분기 대비 5% 매출 하락이 발생했다. 광고 및 임대수익을 포함한 기타 매출은 전분기 대비 15%, 전년 동기 대비 26% 감소한 90억원을 기록했다. 네오위즈는 올해 PC·콘솔 라인업 확대 및 신규 지적재산권(IP) 확보를 통한 재도약을 추진한다. 특히 ‘IP 프랜차이즈화’를 중장기 목표로 삼아 탄탄한 내러티브와 세계관을 가진 게임 발굴에 집중할 방침이다. ‘P의 거짓’ DLC뿐만 아니라 네오위즈 산하 라운드8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서바이벌 액션 어드벤처’와 ‘라이프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신규 PC·콘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아울러 IP 파이프라인 확대를 위한 투자 및 소싱도 강화한다. 네오위즈는 2023년 폴란드 게임 개발사 ‘블랭크’에 약 220억원을 투자한 것을 시작으로 2024년 폴란드 ‘자카자네’ 및 미국 ‘울프아이 스튜디오’와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양질의 IP를 확보하고 글로벌 퍼블리셔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네오위즈는 이를 위해 주요 해외 시장에 거점을 마련하고 현지 인력을 보강하는 등 역량 강화에 집중할 예정이다. 네오위즈 관계자는 “현지 인력 확보는 북미·유럽·아시아 등 권역별로 준비 중이며 아직 특정 국가를 정해 진행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네오위즈는 충성 고객층에 집중해 팬덤 확대 전략을 고도화한다. 모바일 게임 부문의 핵심 타이틀인 ‘브라운더스트2’는 △이용자 친화적인 운영 △라이브 방송 △오프라인 행사 개최 등 적극적인 소통 전략을 이어갈 계획이다. 특히 올해 1월과 2월 각각 ‘대만 게임쇼’와 ‘일러스타 페스’에 참가해 현지화 및 팬덤 관리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디제이맥스 리스펙트 V’는 일본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며 국내에 이어 일본 현지에서 팝업스토어를 운영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이용자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을 강화할 계획이다.
2025-02-12 12:20:2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넥슨, '마비노기' 패브릭 브랜드 '키티버니포니' 굿즈에 담아 현실로
2
[안서희 제약바이오] SK플라즈마, 인니 혈액제제 CMO 본격화…첫 혈장 국내 도입 외
3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붕괴…작업자 2명 연락 두절, 지상도로까지 파손
4
예측불허 관세 정책에도 웃는 LG엔솔·SK온과 적신호 켜진 삼성SDI
5
동원F&B, 상폐 후 동원산업 완전 자회사로…'글로벌 식품 사업군' 출범
6
[속보] 서울 관악구 삼성동 재개발구역서 지반 침하…당국 현장 통제
7
미국 현지 선투자 효과 받나... SK온·LG엔솔 미 현지 협업 기대감 상승
8
삼성디스플레이, 애플 폴더블 OLED 공급한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키움증권의 전산장애, 신뢰 추락 막으려면 책임 있는 해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