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10건
-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경쟁서 미국 추월…전기차 성공 재현하나
[이코노믹데일리] 미국이 인간형 로봇 개발 경쟁에서 중국에 뒤처지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 경제 전문 방송 CNBC가 28일(현지시간) 보도한 바에 따르면 반도체 및 인공지능(AI) 분야 전문 연구기관 세미어낼리시스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중국이 전기차 산업에서 보여준 파괴적인 영향력을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도 재현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는 중국 전기차 기업 BYD가 테슬라의 매출을 넘어선 것처럼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에서도 중국이 미국을 앞설 수 있다는 관측이다. 현재 미국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의 선두주자로는 테슬라의 '옵티머스'가 꼽힌다. 테슬라는 올해 옵티머스 5000대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세미어낼리시스 보고서는 테슬라가 앱트로닉, 보스턴 다이내믹스 등 아직 양산 단계에 이르지 못한 미국 경쟁사들보다는 앞서 있지만 중국 기업들과 비교하면 경쟁 우위를 점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중국 기업들은 이미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항저우에 본사를 둔 유니트리 로보틱스는 지난달 자사 휴머노이드 로봇 'H1' 두 대를 전자상거래 플랫폼 JD닷컴에서 판매하는 데 성공했다. 상하이의 로봇 스타트업 아기봇 역시 올해 5000대 생산을 목표로 하며 테슬라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특히 유니트리는 지난 1월, 16대의 로봇이 인간 무용수와 함께 춤추는 고난도 시연을 전국 방송에서 선보이며 기술력을 과시했다. 실제 공장 배치에서도 중국은 미국보다 앞서나가는 모습이다. 테슬라가 올해 1000대 이상의 옵티머스를 공장에 투입할 계획인 반면 BYD와 지리자동차 등 중국 기업들은 이미 유니트리 로보틱스의 휴머노이드 로봇을 일부 공장에 도입했다.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경쟁에는 유니트리, 아기봇뿐 아니라 샤오미, BYD, 체리, 샤오펑 등 다수의 전기차 제조업체까지 뛰어들며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특허 출원 건수에서도 중국의 우위가 두드러진다. 모건스탠리의 2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인간형(humanoid)’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특허 출원 건수는 중국이 5688건으로 미국(1483건)을 압도적으로 앞섰다. 가격 경쟁력 또한 중국의 강점이다. 테슬라 옵티머스의 예상 판매 가격은 2만 달러 수준으로 이는 대량 생산과 짧은 연구개발(R&D) 기간, 저렴한 중국산 부품 공급망을 활용해야만 가능한 가격이다. 그러나 유니트리는 이미 지난 5월, 소비자 대상 판매 가격을 1만 6천 달러로 책정하며 가격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는 옵티머스의 예상 가격보다도 저렴하다. 세미어낼리시스 보고서는 "유니트리의 로봇은 현재 시장에서 유일하게 '실행 가능한(viable)' 휴머노이드 로봇이며 미국산 부품 의존도 또한 낮다"고 평가하며 "지능형 로봇 시스템, 특히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한 국가는 중국이며 미국은 모든 면에서 뒤처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레이크 크누누트센 세미어낼리시스 분석가는 "미국 기업들이 중국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국내 또는 동맹국을 중심으로 강력한 제조 및 산업 기반을 신속히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부품 조달과 제조 시설을 미국 본토나 우방국으로 이전하는 리쇼어링(Reshoring) 또는 프렌드쇼어링(Friend-shoring) 전략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5-03-29 12:57:23
-
-
황사 계절이 왔다...미세먼지·미세플라스틱 주의해야
[이코노믹데일리] 환경부는 지난 12일 오후 5시부로 인천·세종·충북·충남에 황사 위기경보 ‘관심’ 단계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중국에서 날아오는 황사로 인해 13일 미세먼지(PM-10,10μm 이하·μm는1mm의 1000분의 1)가 ‘매우 나쁨(일평균 150㎍/㎥ 초과)’이 예상된다는 것이었다. 이번 경보는 우리나라에서 올해 처음 발생한 황사 경보 발령이다. 다행히 이번 황사 피해는 크지 않아 환경부는 다음 날인 13일 오후 5시부로 세종·충북·충남의 미세먼지 농도가 시간당 평균농도 100㎍/㎥ 미만으로 감소, 해당 지역에 발령됐던 황사 위기경보를 해제했다. 이어 같은 날 오후 6시부로 인천의 미세먼지 농도 역시 같은 수준으로 감소해 황사 위기경보를 해제됐다. 황사 알갱이 크기는 10∼1000㎛(1㎛는 100만 분의1)까지 다양하다. 우리나라에서는 황사 현상이 연간 2∼5일 정도이고 주로 4월에 관측돼왔으나 최근의 기후변화로 인해 황사 발생 시기가 달라지고 있는 것이다. 중국에서 발생하는 황사는 황사 속 미세먼지도 문제지만 황사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이 더욱 우려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황사에는 중국 내 토양, 산업 활동, 도시 오염 등에서 발생한 다양한 미세 입자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입자들 중 일부는 미세플라스틱일 수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크기가 5㎜ 이하인 플라스틱 조각으로, 산업 폐기물, 생활 폐기물, 세탁 시 방출되는 합성 섬유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환경에 유입돼 토양, 물, 바다는 물론 인체에도 스며들어 장기 곳곳으로 퍼진다는 연구들이 속속 발표됐다. 중국 황사에 포함된 미세플라스틱의 양과 성분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환경 오염원, 산업 활동, 폐기물 관리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나 중국은 한국의 황사 피해에 대해 ‘자국에서 발생하는 미세 먼지’란 입장을 견지하며 구체적 연구나 자료를 제공되지 않아 황사 중 미세플라스틱의 구체적 수치를 확인하기 어렵다. 다만 최근 미국 미시건대학의 연구를 통해 중국이 배출하는 미세플라스틱의 규모를 추정해볼 수 있다. 미시건대 연구진은 미 항공우주국(NASA)의 인공위성 자료를 토대로 전 세계 미세플라스틱의 배출량과 흐름을 추적하는 가운데 중국 양쯔강과 첸탕강 하구에서 우리나라 서해로 분출되는 미세플라스틱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중국 양쯔강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미세플라스틱이 나온다는 추정은 이전부터 있었지만 미세플라스틱이 다량 바다로 쏟아지는 모습을 시각적으로 관측한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었다. 미시건대 연구진이 2021년 6월 열린 학술 모임(IEEE Xplore)에서 발표한 ‘우주 공간 레이더를 통한 해양 미세플라스틱의 발견과 이미지화’란 제목의 연구에 따르면 2017년 한 해 동안 중국 주변 해상의 미세플라스틱을 추적한 결과 특정 시기에 양쯔강과 첸탕강 등 강 하구에서 미세플라스틱 분출이 집중되면서 NASA 위성사진에 짙은 붉은 색 미세플라스틱이 한국과 일본을 향해 쏟아지는 이미지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특히 2017년 6월 22~28일 일주일 동안 중국 항저우를 거쳐 양쯔강 쪽으로 합류되며 우리나라 서해로 이어지는 첸탕강에서 시뻘건 미세플라스틱 흐름이 서해로 흘러들었다.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가장 심각한 곳은 전 세계 바다로 지목되고 있다. 관련 연구가들은 전 세계 바다에 떠다니는 미세플라스틱의 입자 수는 약 171조개, 총 무게는 약 230만t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국애질런트테크놀로지스가 2023년 발표한 ‘미세플라스틱 및 나노플라스틱: 세계적인 문제에 대한 심층 연구’에 따르면 “미세플라스틱 입자는 토양, 물, 공기, 궁극적으로 우리 몸 등 환경의 모든 구석으로 퍼질 가능성이 있다”며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 입자를 '공기 매개 미세플라스틱(airborne microplastics)’이라면서 이러한 입자는 그 성질과 크기 때문에 공기를 타고 멀리 이동할 수 있어 유럽 대도시뿐만 아니라 프랑스 피레네 산맥과 같은 외딴 지역 공기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다고 전했다. 점차 더 많은 양의 미세플라스틱이 눈 시료에서 발견되고, 다양한 유럽 지역에서 ℓ당 약 2만4600개의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발견된다고 전했다. 환경부는 지난 2002년 ‘황사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응대책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20년 이상 황사 대응에 노력해왔으나 황사 발생지인 중국의 협조 없이는 경보발령 외에 특별한 조치를 취할 방안이 없다. 더구나 2020년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한·중 간 황사 관련 대화가 중단됐다.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2023년 중국 베이징에서 한·중 환경과학원장 간 면담이 재개돼 환경 현안을 논의했으나 아직은 연구 단계에 머물러 있다. 당분간은 황사 경보가 내려질 때마다 기관·단체·개인별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단기적 해답이다.
2025-03-20 06:00:00
-
-
-
-
스마일게이트, 'CFS 2024 그랜드 파이널' 중국 항저우서 개막
[이코노믹데일리] 스마일게이트가 중국 항저우에서 세계 최고 권위의 ‘크로스파이어’ e스포츠 대회인 ‘CFS 2024 그랜드 파이널’을 개막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는 12일간의 열전으로 진행되며 총 16개 팀이 참가해 글로벌 챔피언의 자리를 놓고 치열한 경쟁을 펼친다. ‘CFS 2024 그랜드 파이널’은 중국, EUMENA(유럽, 중동, 북아프리카), 북미, 브라질, 베트남, 필리핀 등 각 지역에서 선발된 상위 16개 팀이 참여한다. 이들은 4개 조로 나뉘어 본선에서 경쟁을 벌이며 각 조의 1위와 2위 팀은 8강에 진출하게 된다. A조에는 지난해 4위를 기록한 베트남의 랭킹 이스포츠(Ranking Esports), 중국의 Q9 클럽, 브라질의 바스코 이스포츠(Vasco Esports) 등 강력한 팀들이 포함되어 있어 치열한 접전을 예고한다. A조는 그야말로 ‘죽음의 조’로 평가받고 있다. 베트남의 랭킹 이스포츠는 지난해 대회에서 눈에 띄는 성적을 거두었고 Q9 클럽은 중국 내에서 우수한 성적을 지속적으로 기록하며 강력한 팀으로 꼽힌다. 또한 바스코 이스포츠와 EUMENA의 LCK도 포함되어 있어 예측 불허의 경기가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반면 B조와 C조는 상대적으로 예상 가능한 경기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B조에는 베트남의 울프 엠파이어(Wolf Empire)와 중국의 청두 올게이머스(Chengdu All Gamers)가 참가하여 8강 진출이 확실시된다. C조에는 브라질의 임페리얼(Imperial)과 중국의 에볼루션 파워 게이밍(Evolution Power Gaming) 등 경험 많은 팀들이 포함되어 이들의 경쟁 또한 매우 치열할 전망이다. D조에는 EUMENA의 3BL, 브라질의 안티소셜팀(ANTISOCIAL TEAM), 필리핀의 SGJ REBORN, 베트남의 넥스트톱(NEXTTOP) 등 다양한 팀들이 포함되었으며 이들 팀 역시 충분히 이변을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만큼 경기 결과에 대한 예측이 쉽지 않다. 특히 필리핀과 베트남 팀들은 그동안 국제 대회에서 경험을 쌓은 바 있어 중요한 경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대회 첫날인 4일 A조의 베트남 랭킹 이스포츠와 중국 Q9 클럽이 펼친 경기는 치열한 접전 끝에 Q9 클럽이 2대1로 역전승을 거두며 시작을 알렸다. 이어진 경기에서 임페리얼은 베트남 팀 알로터스(Team Alotus)를 2대0으로 가볍게 제압했고 청두 올게이머스는 EUMENA의 언나이츠(unKnights)를 2대0으로 꺾었다. 이번 ‘CFS 2024 그랜드 파이널’은 항저우의 역사적 명소 중 하나인 7대 고도(古都)에서 개최되며 총 상금 143만 달러(약 20억 원)가 걸려 있다. 대회는 12일 동안 진행되며 그룹 및 녹아웃 스테이지 후 8강과 플레이오프를 거쳐 결승전까지 이어진다.
2024-12-05 18:24:54
-
스마일게이트, 'CFS 2024 그랜드 파이널' 참가팀 발표
[이코노믹데일리] 스마일게이트 엔터테인먼트는 28일 세계 최고 권위의 크로스파이어 e스포츠 대회 ‘CFS 2024 그랜드 파이널’ 참가팀과 대회 세부 사항을 공개했다. 이번 대회는 중국 항저우에서 12월 4일부터 15일까지 12일간 개최되며, 상금 규모는 143만 달러(한화 약 20억 원)로 책정됐다. 지난해 청두 대회에 이어 두 번째로 중국에서 열리는 대회로, 경기 일정은 그룹/녹아웃 스테이지, 플레이오프, 결승전으로 구성됐다. 특히 올해 대회는 지난해보다 4팀이 늘어난 16개 팀이 출전한다. 2018년 이후 처음으로 16팀이 참가하는 만큼 다채로운 팀 구성이 눈에 띈다. 베트남의 팀 알로터스(Team Alotus), 넥스트톱(NEXTTOP), EUMENA 지역의 언나이츠(unKnights), 브라질의 안티소셜팀(ANTISOCIAL TEAM) 등 신생 팀들이 처음으로 그랜드 파이널 무대에 오른다. 이들의 도전은 새로운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전통 강팀도 참가 명단에 포함됐다. 중국의 청두 올게이머스(Chengdu ALL GAMERS), 브라질의 임페리얼(Imperial)과 바스코 이스포츠(Vasco Esports), 북미의 스웜프 게이밍(Swamp Gaming), 베트남의 랭킹 이스포츠(RANKING ESPORTS), EUMENA의 3BL 이스포츠 등이 대회 우승을 놓고 경쟁할 예정이다. 또한 레전드 선수 ‘MZiN’ 마 저(Ma Zhe)가 소속된 중국의 에볼루션 파워 게이밍(Evolution Power Gaming)과 칭지우 이스포츠 클럽(Q9 E-Sports Club), 필리핀의 SGJ REBORN도 오랜만에 모습을 드러내 팬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한편 ‘CFS 2024 그랜드 파이널’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대회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스마일게이트는 이번 대회를 통해 글로벌 e스포츠 시장에서 크로스파이어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
2024-11-28 13:57: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