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7.20 일요일
비
서울 26˚C
흐림
부산 21˚C
안개
대구 22˚C
흐림
인천 25˚C
흐림
광주 23˚C
흐림
대전 23˚C
흐림
울산 22˚C
비
강릉 24˚C
맑음
제주 2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40% 붕괴'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SKT, 흔들리는 1위 위상 해킹 사태 여파로 점유율 40% 붕괴…사상 최초
[이코노믹데일리] 이동통신 시장의 부동의 1위 SK텔레콤의 40% 점유율이 사상 처음으로 붕괴됐다. 지난 4월 발생한 초유의 해킹 사태 이후 고객 신뢰가 추락하며 가입자 이탈이 걷잡을 수 없이 이어진 결과다. 이는 단순한 수치 하락을 넘어 수십 년간 고착화됐던 국내 통신 시장의 지형이 근본적으로 흔들리는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5월 무선통신서비스 가입 현황'에 따르면 SK텔레콤의 가입자 수는 2249만 9042명으로 전체 시장의 39.29%를 차지했다. 불과 한 달 전인 4월 40.08%에서 0.79%포인트 급락하며 심리적 마지노선이던 40%대가 무너진 것이다. SK텔레콤의 점유율이 30%대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SK텔레콤이 잃은 파이는 경쟁사들과 알뜰폰이 고스란히 흡수했다. 같은 기간 KT는 23.77%, LG유플러스는 19.45%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각각 0.32%포인트, 0.23%포인트 상승했다. 알뜰폰 가입자 역시 13만 명 이상 늘어나며 1000만 가입자 돌파를 눈앞에 뒀다. 이번 점유율 급락의 직접적인 원인은 단연 해킹 사태다. 사고 이후 위약금 면제가 종료된 이달 14일까지 SK텔레콤을 떠난 가입자는 총 83만 5214명에 달했으며 이로 인한 순감 인원만 60만 1376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과기정통부의 신규 영업 정지 행정처분이 내려진 5월 한 달 동안에만 33만 명이 순감하며 역대 최대 규모의 가입자 이탈 사태를 맞았다. 경쟁사들이 반사이익을 누리는 동안 신규 가입자를 유치할 길마저 막히면서 속수무책으로 점유율 하락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통신 시장의 지각변동은 이제 시작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SK텔레콤의 해킹 이슈가 일단락되더라도 시장을 뒤흔들 대형 변수들이 줄지어 대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반기 신형 스마트폰 출시 경쟁과 함께 이달 22일부터 시행되는 단통법 폐지는 통신사 간의 보조금 경쟁에 다시 불을 지필 가장 큰 변수로 꼽힌다. 1위 수성에 비상이 걸린 SK텔레콤과 점유율 확대를 노리는 KT, LG유플러스 간의 사활을 건 마케팅 전쟁이 예고되면서 통신 시장은 한동안 극심한 과열 양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2025-07-19 09:33:53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애플 아이폰 17, 9월 공개 전망…초슬림 '에어' 모델 추가, '전면 재설계'
2
정부, 카드사에 '민생쿠폰 수수료 인하' 요청했지만 또 무산
3
실적 성장세에도 中 수주량 절반인 K-조선, 돌파구는 친환경 전략
4
갤럭시 Z7 예판 돌입, 단통법 폐지 맞물려 통신사 '보조금 대란' 예고
5
사우디 '오일머니', T1 유니폼 입다…e스포츠-관광 첫 대규모 초대형 스폰서십
6
[편집인칼럼] 시진핑의 '문명대회', 일대일로를 잇는 새로운 세력 확장 전략인가
7
모듈러부터 UAM까지… GS건설, 미래 건설 패러다임 뒤흔든다
8
[기자수첩] 비보존제약, 성과도 소통 방식도 '일방통행'?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비보존제약, 성과도 소통 방식도 '일방통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