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0.13 월요일
비
서울 16˚C
흐림
부산 20˚C
흐림
대구 19˚C
비
인천 17˚C
흐림
광주 24˚C
비
대전 22˚C
흐림
울산 18˚C
비
강릉 14˚C
맑음
제주 2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AI 3강'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이준희 삼성SDS 대표, "국가 AI컴퓨팅센터 사업 참여 긍정 검토"
[이코노믹데일리] 삼성SDS가 두 차례 유찰되며 난항을 겪었던 2조원 규모의 ‘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 참여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AI 풀스택(Full-stack) 역량을 갖춘 국내 대표 IT 서비스 기업의 참여 의사가 공식화되면서 대한민국 ‘AI 고속도로’ 구축 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준희 삼성SDS 대표는 11일, 자사 연례 콘퍼런스 ‘리얼 서밋 2025’ 현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오늘 아침에 (국가 AI컴퓨팅센터 사업) 공모 지침서를 정식으로 받아 검토 중”이라며 “정부가 추구하는 AI 3강(G3) 목표에 삼성SDS가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하며 사업 참여를 적극적으로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가 AI컴퓨팅센터’는 민관 합작으로 대규모 GPU 인프라를 구축해 국내 기업과 학계의 AI 개발을 지원하는 핵심 사업이다. 하지만 올해 상반기 두 차례의 공모는 민간의 투자 부담이 크다는 이유로 모두 유찰된 바 있다. 이에 정부는 지난 8일, 민간의 부담을 대폭 줄이는 방향으로 공모 요건을 수정해 재공모에 나섰다. 삼성SDS의 이번 참여 검토는 수정된 공모 요건이 민간 기업의 참여를 유도하는 데 성공했음을 보여주는 첫 신호탄이다. 이 대표는 컨소시엄 구성 등 세부 계획에 대해서는 “내부는 물론 외부의 다른 업체들과 논의를 할 계획”이라며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기엔 조금 이른 시점”이라고 말을 아꼈다. 한편 이 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삼성SDS의 AI 전략과 대외 사업 확장 계획도 함께 밝혔다. 그는 “기업들의 AI 혁신을 위한 모든 기술 요소를 통합 제공하는 ‘AI 풀스택’ 전략이 삼성SDS의 차별점”이라며 SAP, 세일즈포스 등 글로벌 기업과의 강력한 파트너십과 다수 기업의 IT 시스템을 운영하며 쌓은 산업별 전문성을 강점으로 꼽았다.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개발에 대해서는 “현재 멀티 LLM을 지향하고 있다”며 선을 그었다. 그는 “수많은 LLM 중에서 그때그때 상황과 고객에 적합한 LLM을 선택하는 게 전략이고 철학”이라고 설명했다. 대외 사업 비중 확대에 대한 강한 의지도 내비쳤다. 이 대표는 “2024년 기준 대내사업 비중이 66% 정도인데 대외 사업을 더 적극적으로 수행할 것”이라며 “국가 AI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하고 금융 등 여러 분야에서 기회를 찾아 사업을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2025-09-11 14:03:39
'당근'과 '채찍' 꺼내든 구글…韓 AI 주권엔 '공감', 규제엔 '쓴소리'
[이코노믹데일리] 구글이 한국 정부의 '소버린 AI' 전략에 환영의 뜻을 밝히면서도 핵심 규제 법안에 대해서는 '일본 모델'을 거론하며 사실상의 수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환영과 견제, 협력과 압박이라는 정교하게 계산된 메시지를 통해 한국 AI 시장의 주도권을 놓지 않으려는 글로벌 빅테크의 복잡한 속내가 드러났다는 분석이다. 구글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대외정책을 총괄하는 윌슨 화이트 부사장은 지난 1일 국내 언론인터뷰에서 한국의 AI 주권 확보 전략이 "AI 기술의 폭넓은 채택이라는 구글의 목표와 일치한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 정부의 정책 방향을 존중한다는 외교적 수사를 넘어 한국의 AI 생태계가 구글의 프레임워크 안에서 확장되기를 바라는 전략적 의도가 담긴 발언으로 해석된다. 즉 한국이 AI 주권을 추구하더라도 구글이라는 글로벌 플랫폼을 배제하는 폐쇄적 방식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우회적으로 강조한 셈이다. 하지만 '당근' 뒤에는 곧바로 '채찍'이 이어졌다. 화이트 부사장은 내년 시행될 한국의 AI 기본법에 대해 "개선할 여지가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최근 일본 국회를 통과한 AI 법안을 "혁신 촉진과 AI 확산의 균형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며 모범 답안으로 제시했다. 일본 법안은 AI 연구개발과 혁신 지원에 초점을 맞춘 반면 국내 AI 기본법은 사업자에게 안전성 확보 등 일정한 의무를 부과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구글이 규제 부담이 적은 일본식 모델을 공개적으로 지지하며 한국의 규제 환경에 노골적인 견제구를 날린 것이다. 오픈AI의 한국 법인 설립 등 치열해지는 경쟁 구도에 대해서는 "경쟁은 좋은 것"이라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민감한 이슈는 교묘하게 피해 갔다. 인앱결제 강제, 게임사 리베이트 제공 등 불공정 행위 의혹에 대해 "규제 당국과 논의 중"이라며 즉답을 피하는 대신 '구글 스타트업 캠퍼스'와 '창구 프로그램' 등 국내 스타트업 지원 성과를 부각했다. 이는 부정적 이슈를 희석하고 한국 생태계의 '기여자'라는 긍정적 이미지를 강화하려는 전형적인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전략이다. 화이트 부사장의 이번 인터뷰는 한국 시장에 보내는 구글의 다층적이고 고도화된 메시지였다. AI 시장의 성장을 함께하겠다는 협력 제스처 이면에는 자사에 유리한 사업 환경과 규제 질서를 관철하려는 강력한 의지가 깔려있다. '글로벌 AI 3강'을 목표로 내건 한국 정부가 빅테크의 영향력과 어떻게 균형을 맞추며 실질적인 AI 주권을 확보해 나갈지 중요한 시험대에 올랐다.
2025-07-03 08:20:4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美 인텔, 경영 정상화 행보…첨단 18A 공정 가동 발표
2
중국, AI·반도체 관련 '희토류 기술·수출규제' 강화
3
3분기 국내 시총 331조↑...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증시 견인
4
글로벌 불확실성 속 금값 랠리…KRX금현물 ETF '주목'
5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중고'…1조4000억 이혼소송·자사주 소각 의무화
6
'전세대란 재현 조짐'…대출 규제·공급부족에 월세까지 폭등
7
[2025국감] 과방위 국감 13일 시작…'역대급' 과방위 국감, '해킹·갑질' 정조준
8
[김다경의 전자사전] AI 시대의 숨은 인프라, '데이터센터'...차세대 성장 엔진으로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추석 상차림보다 비싼 '분양가 상차림'... 건설사들의 이중적 행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