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25 화요일
안개
서울 4˚C
맑음
부산 7˚C
맑음
대구 3˚C
안개
인천 8˚C
흐림
광주 8˚C
흐림
대전 8˚C
맑음
울산 9˚C
흐림
강릉 8˚C
흐림
제주 1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Bloomberg'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두나무-네이버파이낸셜 '20조 빅딜' 임박… 합병 후 나스닥 직행한다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의 운영사 두나무가 네이버파이낸셜과의 초대형 합병을 발판으로 미국 나스닥(Nasdaq) 상장에 도전한다. 이번 합병이 단순한 국내 시장 재편을 넘어, 한국 핀테크·가상자산 기업의 글로벌 자본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빅픽처'임이 주요 외신을 통해 확인됐다.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과 아그라뉴스(AggrNews) 등 주요 외신은 업계 소식통을 인용해 "업비트가 네이버파이낸셜과의 중대한 합병 이후 나스닥 IPO(기업공개)를 준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번 딜은 네이버파이낸셜이 두나무를 인수하는 주식 교환(Stock-swap) 방식으로 진행된다. 거래 규모는 약 20조 원(약 145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두나무의 기업가치를 국내 장외 시장 평가액보다 높게 책정한 것으로 양사의 결합이 가져올 시너지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수치다. ◆ "목표는 코인베이스"…합병 법인 가치, 상장 후 47조원 전망 외신은 이번 합병과 나스닥행의 목표가 명확하다고 분석했다. 업비트를 미국 최대 거래소인 '코인베이스(Coinbase)'와 나란히 하는 글로벌 플레이어로 도약시키겠다는 것이다. 블룸버그는 합병된 법인의 초기 기업가치를 약 138억~145억 달러(약 19조~20조원) 수준으로 예상했다. 특히 나스닥 상장에 성공할 경우 기업가치는 340억 달러(약 47조원) 이상으로 치솟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는 국내 핀테크 역사상 전례 없는 규모로 단숨에 '데카콘(기업가치 100억 달러 이상 스타트업)' 대열에 합류하게 된다. 이번 딜은 한국의 핵심 기업들이 디지털 금융의 글로벌 경쟁 격화에 대응해 가상자산과 전통 핀테크의 경계를 허무는 전략적 선택을 했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업비트는 현재 국내 디지털 자산 시장의 약 70%를 점유하고 있다. 여기에 네이버의 강력한 기술력과 핀테크 인프라가 결합된다면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도 충분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려있다. ◆ 이번 주 이사회 결의…규제 당국 심사가 관건 구체적인 일정 윤곽도 드러났다. 외신은 "이번 주 예정된 이사회 회의 이후 며칠 내로 합병이 승인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앞서 국내 업계에서 관측된 26일 이사회, 27일 기자회견 일정과 일치하는 대목이다. 다만 최종 성사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있다. 금융감독원과 공정거래위원회의 규제 심사다. 블룸버그는 "규제 당국이 주요 결제 사업자(네이버파이낸셜)와 가상자산 거래소(업비트)의 합병에 따른 시스템 리스크와 경쟁 제한 이슈를 평가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만약 규제 당국의 승인이 순조롭게 이뤄진다면 통합 법인은 시장 상황에 따라 빠르면 2026년 나스닥 입성을 목표로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번 합병은 한국의 디지털 자산 시장과 글로벌 핀테크 지형을 연결하는 강력한 고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라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통해 국내 규제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나스닥'이라는 무대에서 기업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겠다는 두나무의 전략이 과연 성공할 수 있을지 전 세계 금융 시장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2025-11-25 00:22:57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단독]한화에너지·한화솔루션 '집안 싸움'...법원, 강제조정 돌입
2
상법 개정에 롯데'표정관리'·금호석화 '지지'·LG화학 '무관심'
3
[크래프톤 심층해부 ①] '1조 클럽'의 역설…왜 개인 투자자는 크래프톤을 떠나는가
4
"안일했다" 고개 숙인 엔씨…'아이온2', 첫날부터 무너진 '완전판'의 약속
5
기준금리 4차례 연속 동결 예상…집값·대출·환율 '3중고'
6
포스코 포항제철소서 청소업체 직원 3명 쓰러져 병원 이송...화학물질 흡입
7
삼성전자, D램 1위 탈환…SK하이닉스 다시 제쳤다
8
10년째 표류하는 GBC, 현대건설의 '침묵 리스크'가 실적을 옥죈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최 부장의 소비와 취향사이] 초저가 경쟁 "누가 웃고, 울게 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