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6 일요일
안개
서울 7˚C
맑음
부산 7˚C
맑음
대구 5˚C
안개
인천 5˚C
맑음
광주 3˚C
맑음
대전 3˚C
맑음
울산 5˚C
흐림
강릉 8˚C
맑음
제주 6˚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FHD'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SK하이닉스, 세계 최초 HBM4 12단 샘플 출하…AI 메모리 초격차 가속
[이코노믹데일리] SK하이닉스가 인공지능(AI)용 초고성능 D램 신제품인 HBM4 12단 샘플을 세계 최초로 주요 고객사들에 제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에 샘플로 제공한 HBM4 12단 제품은 AI 메모리가 갖춰야 할 세계 최고 수준의 속도를 갖췄다. 12단 기준으로 용량도 세계 최고 수준이다. 우선 이 제품은 처음으로 초당 2TB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대역폭을 구현했다. 이는 FHD급 영화 400편 이상 분량의 데이터를 1초 만에 처리하는 수준으로 전세대(HBM3E) 대비 60% 이상 빠른 수준이다. SK하이닉스는 “HBM 시장을 이끌어온 기술 경쟁력과 생산 경험을 바탕으로 당초 계획보다 조기에 HBM4 12단 샘플을 출하해 고객사들과 인증 절차를 시작한다”며 “양산 준비 또한 하반기 내로 마무리해, 차세대 AI 메모리 시장에서의 입지를 굳건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SK하이닉스는 앞선 세대를 통해 경쟁력이 입증된 어드밴스드 MR-MUF 공정을 적용해 HBM 12단 기준 최고 용량인 36GB를 구현했다. 이 공정을 통해 칩의 휨 현상을 제어하고 방열 성능도 높여 제품의 안정성을 극대화했다는 설명이다. 김주선 SK하이닉스 AI 인프라 사장은 “당사는 고객들의 요구에 맞춰 꾸준히 기술 한계를 극복하며 AI 생태계 혁신의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했다”며 “업계 최대 HBM 공급 경험에 기반해 앞으로 성능 검증과 양산 준비도 순조롭게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3-19 16:13:37
삼성전자, 스마트 모니터 '무빙스타일' 판매 급증… 전체의 80% 차지
[이코노믹데일리] 삼성전자는 스마트 모니터 5대 중 4대가 무빙스타일로 판매됐다고 19일 밝혔다. 특히 무빙스타일이 출시된 2023년 4분기와 비교하면 판매 비중이 약 5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빙스타일은 별도의 기기 없이 인터넷만 연결되면 모니터에서 OTT와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삼성전자 스마트 모니터에 무빙스탠드를 결합한 제품이다. 무빙스타일은 4K 해상도의 M8·M7·M1부터 FHD 해상도의 M5까지 4개 라인업이 있으며 43형∙32형∙27형 등 다양한 화면 크기로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제품을 조합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무빙스타일의 인기 요인으로 편리한 이동성에 더해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에 맞게 조합해서 구매할 수 있는 점을 꼽았다. 무빙스타일은 어디에서나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어 1인 가구나 신혼부부 등 젊은 세대들이 선호하는 제품이다. 삼성전자는 소비자들이 더욱 쉽게 무빙스타일을 조합해 구매할 수 있는 전용 페이지를 삼성닷컴에 오픈했다. 소비자는 '내 마음대로 조합하는 무빙스타일' 페이지에서는 소비자들이 화면의 해상도와 크기는 물론 컬러와 스탠드 타입까지 다양한 옵션을 한눈에 비교하고 선택할 수 있다. 또 모니터와 스탠드 모두 화이트와 블랙 두 가지 색상으로 출시돼 취향과 인테리어에 어울리는 색상 선택이 가능하다. 여기에 스피커를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 거치대가 포함된 스탠드부터 기본형까지 스탠드 타입도 고를 수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자신의 취향과 라이프 스타일에 맞게 제품을 선택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무빙스타일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고객들의 취향과 사용성에 맞는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2025-02-19 09:41:56
KT, 5G NTN 단점 극복 성공…이제 '3차원 항공 영역' 넘본다
[이코노믹데일리] KT는 로데슈바르즈코리아, 비아비솔루션즈코리아와 협업해 기존의 단점을 극복한 5G 비지상망(NTN) 통신 기술을 확보하고 시연에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2022년 완성된 5G NTN은 지상에 구축된 기지국 대신 위성을 활용해 5G 서비스의 범위를 획기적으로 확장하는 기술로 이동통신 기술 표준화 기구 연합(3GPP)이 개발한 17번째 표준 기술이다. 기존 지상망(TN) 환경에서는 무선 신호가 다양한 장애물로 인해 산란·회절·반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신기에 도달한 신호는 서로 다른 진폭·위상 등의 간섭을 받으며 '다중 경로 페이딩' 현상이 일어나 신호 세기가 일시적으로 감소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하이브리드 자동반복요청) 기법을 활용한 재전송이 필요하다. 그러나 NTN 환경에서는 위성과 단말기 간 통신이 이뤄지므로 전파의 산란·회절·반사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HARQ 기법의 효과가 미미하며 위성과 단말기 간 거리가 일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HARQ 프로세스의 개수 제한으로 전송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KT는 지난해 9월 무궁화위성 6호에 5G NTN 표준을 적용한 연동 실험을 세계 최초로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당시 실험에서 지상의 단말기와 위성 고도 간 거리 변화가 일정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전송 효율이 급격히 저하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후 후속 연구를 지속한 KT는 이번 테스트에서 위성과 단말기 간 자유공간 전파 환경을 고려해 HARQ 기법을 사용하지 않는(HARQ-less) 방식을 채택했다. 이를 통해 거리 변화에 따른 경로 손실을 정확히 계산하는 방식을 적용했다. 그 결과 정지궤도(GEO) 위성과 단말기 간 거리가 약 3만5800km에 달했음에도 불구하고 약 10Mbps의 전송 속도를 달성, FHD(Full HD) 영상 전송에 성공했다. KT는 이번 연구 성과를 오는 3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KT는 NTN 기술을 통해 통신 커버리지를 3차원 항공 영역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3GPP NTN 표준이 지원하는 저궤도(LEO) 위성, 고고도 통신 플랫폼(HAPS) 등 다양한 비지상 통신 플랫폼과 연동하는 NTN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방침이다. 김태훈 로데슈바르즈코리아 대표이사는 "이번 KT와의 선행 연구 협업은 5G, NTN 등 이동통신 기술의 엄격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유연한 활용이 가능한 R&S의 CMX500 플랫폼을 기반으로 이뤄졌다"며 "이를 통해 최신 기술을 확보하고 심화된 구현을 검증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서범석 비아비솔루션즈코리아 한국지사장은 "HARQ-less 기술을 통해 원거리 위성통신에서 전송 효율을 10Mbps 이상 달성했다"며 "이 기술은 재난 방송과 같은 비상 상황뿐만 아니라 다양한 응용 서비스로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종식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장(전무)은 "NTN은 6G 시대 유비쿼터스 연결성을 위한 필수 기술"이라며 "KT는 지상이라는 한계를 넘어 6G 시대를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2-12 10:40:2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5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인천대공원 벚꽃축제 취소… 공원 관람은 가능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정치' 없었던 윤석열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