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2.21 금요일
맑음
서울 -9˚C
맑음
부산 -3˚C
맑음
대구 -3˚C
맑음
인천 -4˚C
흐림
광주 -4˚C
흐림
대전 -5˚C
흐림
울산 -3˚C
맑음
강릉 -5˚C
흐림
제주 3˚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HPE'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엔비디아, 주가 3% 상승...'딥시크 쇼크' 회복
[이코노믹데일리] 엔비디아의 주가가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고효율 생성형 AI를 시장에 내놓으면서 생겼던 '딥시크 쇼크'로부터 회복하는 모양새다. 엔비디아 주가는 1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증시에서 전날보다 3.13% 상승한 135.29 달러(19만525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장 초반에는 4.09% 오른 136.50 달러까지 치솟기도 했다. 앞선 이틀 동안 소폭 하락한 주가를 다시 끌어올린 것이다. 이는 딥시크 쇼크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딥시크의 AI 모델 'R1'이 시장에 모습을 드러낸 직후 엔비디아 주가는 지난 달 27일 118.42 달러를 기록하며 직전 거래일에 비해 17% 급락한 바 있다. 엔비디아의 최신 AI 칩 '블랙웰'이 기업 서버에 본격적으로 탑재되면서 이번 반등에 성공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HPE)는 이날 엔비디아의 'GB200 NVL72' 시스템으로 구성된 AI 서버를 첫 출하했다고 발표했다. HPE는 서버·정보기술(IT) 인프라 등 기업을 대상으로 IT 솔루션을 제공하는 미국 기업으로 세계 최대의 서버 기업간거래(B2B)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 시스템은 블랙웰을 기반으로 하며 데이터센터와 기업용 AI 서버에 탑재돼 대규모 AI 모델을 학습·추론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서버 제조업체 슈퍼마이크로컴퓨터 역시 지난 5일 블랙웰을 활용한 AI 데이터센터용 서버를 본격적으로 생산하기 시작했다고 언급한 바 있다. 또한 저가 매수 유입과 더불어 메타·구글·마이크로소프트(MS)·아마존 등 미국 대표 빅테크 기업들이 AI 인프라 구축에 대한 막대한 자금 투입 계획을 발표하면서 엔비디아 주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올해 이들 기업이 AI 인프라에 투자할 자본 지출 규모는 총 3200억 달러(약 466조원)로 지난해보다 40% 증가한 수치다. 도널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관세를 예고한 것은 불안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다만 시행 명령이 오는 4월로 연기되면서 협상의 여지가 생긴 것은 긍정적인 부분이다.
2025-02-14 09:00:48
리벨리온, 서버 안정성 인증 잇달아 획득… AI 데이터센터 시장 본격 공략
[이코노믹데일리] 리벨리온이 글로벌 서버 제조사들로부터 AI반도체 ‘아톰(ATOM)’의 안정성 인증을 잇달아 획득하며 AI 데이터센터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특히 멀티카드 환경에서의 검증을 통해 대규모 언어모델(LLM) 구동 능력을 입증했다. 리벨리온은 최근 델 테크놀로지스(Dell Technologies), HPE, 슈퍼마이크로(Supermicro), 레노버(Lenovo), 기가바이트(Gigabyte) 등 다수의 글로벌 서버 제조사로부터 ‘아톰’의 안정성 인증을 획득했다. 국내에서는 이슬림코리아를 비롯한 4개 업체로부터 검증을 마쳤다. 이는 서버 내에서 AI반도체가 문제없이 구동되는지 확인하는 중요한 과정으로 기술적 최적화를 거쳐 서버와 칩 간 호환성을 확보했다. 리벨리온은 특히 멀티카드 환경에서의 검증을 통해 LLM, 특히 ‘라마(Llama) 3.1 70B’와 같은 대규모 언어모델을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AI 데이터센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대규모 AI 추론이 필요한 하이퍼스케일러와 국가 데이터센터 등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공략을 준비하고 있다. 리벨리온은 각 서버사와 협력해 통신 프로토콜 호환성 및 펌웨어 최적화를 진행, 다양한 서버 환경에서 안정적인 운용을 보장받았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리벨리온의 NPU 기반 솔루션을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서버 업체로부터 전 범위의 기술 지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리벨리온은 앞으로도 각 서버 제조사 및 총판사와 협력해 AI 데이터센터를 위한 사업 모델과 솔루션 개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다수의 서버를 탑재한 랙(Rack) 솔루션도 선보여 초고용량의 AI 추론 트래픽이 요구되는 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이다.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는 “AI 반도체 기술을 넘어 서버와 데이터센터까지 아우르는 사업 모델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며 “다양한 글로벌 서버 제조사로부터 정식 인증을 받음으로써 리벨리온의 기술적 우수성을 입증했다. 이를 통해 AI 인프라 사업자로서 입지를 확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4-10-09 16:36:0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트럼프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재추진… 한국 참여 검토
2
티웨이항공,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수혜… '제2의 아시아나' 될까
3
진양곤 회장, HLB바이오스텝·이노베이션 주식 대거 매수
4
[파워피플] 조욱제 대표, 유한양행 100주년 앞두고 글로벌 50대 제약사 도약 이끈다
5
SK하이닉스, HBM 질주로 현금흐름 개선…재고는 오히려 감소
6
[르포] 삼성전자가 '세미콘 코리아 2025'서 방문한 '이 기업'
7
[르포] 세미콘 코리아 2025, 얼어붙는 채용 시장에도 반도체 업계 채용 설명회 '북적'…"취준생들 기회 잡는다"
8
삼성, 레거시 D램 축소·선단공정 전환…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 유효할까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우리 51번째 주(州)나 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