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3건
-
최수연 네이버 대표, 파리 AI 정상회의 참석…글로벌 AI 리더십 강화 나선다
[이코노믹데일리]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인공지능(AI) 행동 정상회의'에 참석하며 글로벌 AI 무대에서 네이버의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할 전망이다. 네이버는 이번 회의 참석을 통해 3년 연속 AI 정상회의에 참여하는 유일한 국내 기업으로서 책임 있는 AI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국제적 논의를 주도하고, 글로벌 IT 기업들과의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오는 10일부터 이틀간 프랑스 파리 그랑 팔레에서 개최되는 AI 행동 정상회의는 AI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대두되는 윤리적 문제, 안전성 확보, 글로벌 거버넌스 구축 등 다양한 과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을 논의하는 자리다. 올해 회의에는 각국 정부 대표, 기업 CEO, 학계 전문가, 시민사회 관계자 등 1000여 명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되며 AI 분야의 미래를 좌우할 주요 의제들이 심도 있게 논의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회의에는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J.D. 밴스 미국 부통령 등 국가 정상급 인사와 샘 올트먼 오픈AI CEO, 다리오 아모데이 앤스로픽 CEO, 아르튀르 멘슈 미스트랄 AI 공동창업자 등 글로벌 AI 기술 혁신을 이끄는 거물들이 대거 참석한다. 최수연 대표는 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네이버가 보유한 AI 기술력과 비전을 국제 사회에 알리고 글로벌 AI 생태계 확장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는 이번 정상회의에서 △혁신과 문화, △일자리의 미래, △AI에 대한 신뢰 구축, △공익을 위한 AI 활용, △글로벌 AI 거버넌스 수립 등 5가지 주요 의제에 대한 논의에 적극 참여할 예정이다. 특히 네이버는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와 AI 윤리 준수를 최우선 가치로 삼고 AI 기술을 개발해 온 만큼 'AI에 대한 신뢰 구축' 및 '글로벌 AI 거버넌스 수립' 분야에서 심도 있는 논의를 펼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네이버는 AI 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난제를 해결하고 공익에 기여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할 것으로 보인다. 최수연 대표의 이번 AI 정상회의 참석은 네이버가 글로벌 AI 기술 경쟁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네이버는 '서치GPT'를 비롯한 다양한 AI 기반 서비스를 통해 국내 AI 기술 발전을 선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체 개발한 대규모 언어 모델 'HyperCLOVA X'를 공개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이번 회의를 통해 네이버는 글로벌 AI 기술 트렌드를 파악하고 해외 유력 기업들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AI 기술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네이버는 이미 지난 두 차례의 AI 정상회의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왔다. 2023년 영국 런던에서 열린 첫 번째 회의에는 하정우 AI이노베이션 센터장이 참석했으며 지난해 서울에서 개최된 2차 회의에는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직접 참석하여 네이버의 AI 기술 비전을 공유하고 글로벌 협력을 모색했다. 이처럼 네이버는 AI 정상회의에 꾸준히 참여하며 글로벌 AI 기술 논의를 주도하고 책임 있는 AI 생태계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
2025-02-06 14:21:31
-
-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로 이미지·음성 처리 기술 공개
[이코노믹데일리] 네이버가 오는 27일 자사의 대화형 AI 에이전트 클로바X(CLOVA X)에 시각 정보 처리 기능을 새롭게 추가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업데이트로 사용자는 클로바X 대화창에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해당 이미지에서 추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AI와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된다.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X(HyperCLOVA X)를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음성까지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멀티모달(Multimodal)' AI로 고도화하며, 생성형 AI 기술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클로바X는 사진 속 상황을 묘사하거나, 표·그래프 등 복잡한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업로드한 수학 도형 문제를 AI가 이해하고, 풀이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러한 기능 확장은 클로바X의 활용 범위를 넓혀, 개인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X의 우수한 문서 처리 및 문자 인식 기술과 다양한 지식을 갖춘 거대 언어 모델(LLM)을 결합해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네이버는 이미 대한민국 초·중·고등학교 검정고시 문제 1,480개를 AI에 이미지 형태로 입력해 84%의 정답률을 기록하며, 오픈AI GPT-4의 78%를 능가하는 성과를 보였다. 네이버는 또한 20일, 자사 기술 블로그를 통해 하이퍼클로바X 기반의 음성 멀티모달 기술도 공개했다. 기존 음성 인식과 음성 합성 기술을 뛰어넘어, LLM의 문맥 이해 능력을 활용한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해졌다. 이 기술은 발음 정확도와 감정 표현까지 더해져 사용자와의 대화 경험을 더욱 향상시킨다. 네이버는 이미 클로바노트, 클로바 케어콜, 클로바더빙 등 다양한 음성 AI 서비스로 기술력을 입증했으며, 이번 멀티모달 LLM 기술로 더 편리하고 진보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실시간 음성 번역, 언어 학습, 상담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바 있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기술 총괄은 "하이퍼클로바X는 이미지와 음성까지 이해하는 거대 시각 언어 모델로 발전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네이버의 다양한 서비스에 새로운 사용자 가치를 창출하고, 기업용 AI 솔루션으로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X의 멀티모달 기능을 고도화하는 과정에서도 'AI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 6월 발표한 '네이버 ASF(AI Safety Framework)'를 바탕으로 AI 시스템의 잠재적 위험을 평가하고, 특히 음성 AI 기술의 경우 다각적인 검토를 통해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2024-08-22 08:2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