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5건
-
유진투자증권, '2025년에도 ETF는 유진에서!' 이벤트 실시
[이코노믹데일리] 유진투자증권이 '2025년에도 ETF는 유진에서!'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14일 밝혔다. 유진투자증권은 오는 3월 31일까지 비대면 종합계좌를 최초 신규 개설하고 이벤트를 신청한 고객에게 국내 상장지수펀드(ETF)를 1주 제공한다. 추가로 해당 고객이 이벤트 신청 당월에 1000만원 이상 국내 주식을 거래하고, 월말 기준 50만원 이상 국내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면 ETF 3주를 지급한다. 이달 지급되는 추천 ETF에는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KODEX 미국S&P500데일리커버드콜OTM', 'SOL 미국S&P500엔화노출(H)', 'KoAct 미국천연가스인프라액티브' 등이 포함됐다. 다음으로 'ETF 순매수 이벤트'도 운영한다. 오는 2월 28일까지 각 기간에 4회 걸쳐 지정된 자산운용사의 ETF를 순매수할 경우 1044명에게 경품을 제공한다. 1차시(1월 2일부터 15일까지)와 3차시(2월 3일부터 14일까지)에는 미래에셋자산운용(TIGER)을 2차시(1월 16일부터 31일)와 4차시(2월 17일부터 28일까지)에는 한국투자신탁운용(ACE) ETF 전 종목을 순매수하면 백화점 상품권을 지급한다. 유진투자증권은 '추천 ETF 거래 이벤트'도 실시한다. 이벤트 기간 중 제휴된 자산운용사의 이벤트 대상 신규상장 ETF를 거래한 뒤, 일별 3억원 이상 거래 조건을 충족한 거래금액 상위 5명 또는 10명에게 매일 5만원 문화상품권을 지급한다. 종목별로 일 3억원 이상 거래 조건을 충족한 모든 고객에 1만원 문화상품권을 증정한다. 마지막으로 오는 3월 31일까지 '중개형 ISA 및 연금저축계좌 ETF 이벤트'도 진행된다. 삼성자산운용(KODEX), 미래에셋자산운용(TIGER), KB자산운용(RISE)의 이벤트 ETF 종목을 중개형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및 연금저축계좌로 순매수하면 문화상품권이 제공된다. 이벤트 관련 자세한 내용은 유진투자증권 홈페이지, 홈트레이딩시스템(HTS),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고객만족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5-01-14 10:50:08
-
-
중개형 ISA에서 ETF 매수 시 상품권!…유진·한투, ETF 이벤트 개시
※ 고금리·고환율·고물가 삼중고로 한푼 두푼 아끼는 것이 간절한 지금, '김광미의 光테크'에서 여러분의 재테크가 빛날 수 있도록 투자 방법을 알차게 모았습니다. 한 주 동안 전해진 알짜배기 중에서도 알짜배기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편집자주] [이코노믹데일리] 유진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 중개형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계좌에서 상장지수펀드(ETF) 순매수한 고객을 대상으로 상품권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개최한다. 24일 유진투자증권은 오는 12월 31일까지 'ETF는 유진에서! 중개형ISA, 연금저축 ETF 이벤트'를 실시한다. 중개형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계좌를 신규 개설한 고객이 이벤트 기간 동안 1만원 순입금(입금액-출금액)하면 1만원 신세계상품권을 제공한다. 유진투자증권 계좌를 기존에 보유하고 있어도 참여할 수 있고 연말까지 순입금액을 유지해야 한다. 또 중개형 ISA 계좌 순입금액별로 투자지원금을 지급한다. 이벤트 기간 순입금액별 △100만원 이상 1만원 △500만원 이상 3만원 △1000만원 이상 5만원 △2000만원 이상 10만원 △4000만원 이상 20만원 △8000만원 이상 50만원을 지원한다. 다만 이벤트 기간까지 100만원 이상 국내 주식을 거래해야 하고 내년 6월 30일까지 순입금액을 유지해야 혜택이 적용된다. 추가로 '중개형ISA 계좌 ETF 이벤트'와 '연금저축 계좌 ETF 이벤트'도 운영한다. 먼저 삼성자산운용(KODEX), 미래에셋자산운용(TIGER), KB자산운용(RISE)의 상장지수펀드(ETF)를 순매수하면 문화상품권을 선착순으로 증정한다. 순매수 금액에 따라 △1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은 5000원 △3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은 1만원 △500만원 이상은 2만원을 주며 브랜드별 중복 참여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유진투자증권에서 연금저축 계좌를 신설하고 KODEX와 TIGER의 ETF 종목을 50만원 이상 순매수 시 문화상품권 5000원을 제공한다. 선착순 500명에 포함될 경우 최대 3만원이, 합산 순매수액이 50만원 이상일 경우 5000원을 추가로 증정한다. 이벤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유진투자증권 홈페이지나 고객만족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내년 1월 31일까지 뱅키스 고객을 대상으로 ETF 이벤트를 진행한다. 뱅키스는 비대면 또는 시중은행에서 개설한 온라인 전용 계좌·거래 서비스다. 개인형 퇴직연금(IRP), 중개형 ISA, 개인연금계좌에서 5개 운용사(한국투자신탁·삼성·미래에셋·KB·한화자산운용) ETF를 투자하면 순매수 금액별로 모바일 문화상품권을 제공한다. 운용사에 따라 참가 조건은 상이하며, 운용사별 중복 참여가 가능해 최대 5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적립식 자동매수 이벤트도 병행한다. 해당 서비스로 ETF에 투자 시 실제 주문 체결 횟수에 따라 최대 2장의 커피 쿠폰을 받을 수 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의 경우 이벤트 조건을 충족하면 고객 전원에 경품을 제공하며, 그 외 운용사는 추첨을 통해 경품을 지급한다. 이벤트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참가 신청이 필수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투자증권 홈페이지나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한국투자'에서 확인 가능하다.
2024-11-24 06:00:00
-
KB금융, 3분기 호실적에 밸류업까지…'리딩금융' 굳힌다
[이코노믹데일리] KB금융그룹은 올해 3분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지분 순이익 기준) 1조6140억원을 기록하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1조3689억원) 대비 17.9% 성장했다고 밝혔다. 실적 발표와 동시에 주주환원 계획이 담긴 '지속가능한 Value-up(밸류업) 방안'을 결의하고, '주당가치 성장'으로 주주환원의 프레임 전환을 선언했다. 24일 KB금융은 실적발표를 통해 올해 1~3분기 누적 순이익은 4조3953억원으로 역대 최대 수치를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3분기 당기순이익(1조6140억원)도 전 분기(1조7322억원)보단 6.8% 줄었지만, 3분기 기준으로는 창립 이래 최대 규모다. KB금융 관계자는 "전 분기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보상 관련 충당부채 환입 등의 기저효과로 인해 당기순이익이 전 분기 대비 감소했지만, 이런 일회성 요인을 제외한 경상적 기준으로는 전 분기와 유사한 실적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순이자마진(NIM) 축소, 경기둔화 등 비우호적인 영업환경에서도 비은행 계열사의 양호한 성과와 건전성 관리 노력에 힘입어 전년 동기와 유사한 실적을 기록했다. 주요 경영지표 가운데 3분기 누적 그룹 영업이익경비율(CIR·Cost Income Ratio)은 36.5%로 양호한 수준을 이어갔다. 견조한 핵심이익 성장과 지속적인 비용 효율화 노력이 바탕이 됐다. 3분기 그룹 및 은행 NIM(Net Interest Margin, 순이자 마진)은 각각 1.95%p, 1.71%p로 전 분기 대비 13bp(1bp=0.01%p) 하락했다. 이는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대출자산 수익률 리프라이싱 가속화, 주택담보대출 급증 등 NIM 하방 압력 요인이 3분기에 집중됐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3분기 누적 그룹 대손충당금전입비율(CCR)은 전년 동기 대비 11bp 개선된 0.41%를 기록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이 안정화되면서 일부 환입이 발생하는 등 안정적인 리스크관리 역량을 입증했다. 지난달 말 기준 보통주자본(CET1)비율과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은 각각 13.85%, 16.75%를 기록하며 업계 최고 수준의 자본적정성을 유지했다. 계열사별 3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핵심 자회사인 KB국민은행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2조6179억원으로 올 1분기 ELS 손실 관련 대규모 충당부채 전입의 영향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8.3% 감소했다. 3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1120억원을 기록해 전 분기 대비 0.4% 소폭 감소했다. KB증권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546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4% 증가했다. 이는 자산관리(WM) 및 트레이딩부문 수익성 개선과 영업외손실 감소에 주로 기인했다. 3분기 당기순이익은 1707억원으로 주식시장 거래대금 감소 영향에 따른 브로커리지 수익 정체로 전 분기보다 4.2% 감소했다. KB손해보험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7400억원으로 장기 인보험 매출 확대 등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8.8% 증가했다. 3분기 당기순이익은 1680억원으로 희망퇴직 비용 및 화재사고로 인한 손실 발생 등 일회성 요인으로 보험영업손익이 감소해 전 분기 대비 40.0% 하락했다. KB라이프생명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개별기준)은 276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억원 감소했고, 3분기 당기순이익은 745억원으로 원·달러 환율 하락으로 인해 투자손익이 감소하면서 전 분기 대비 244억원 줄었다. KB국민카드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3704억원으로 카드 이용금액 증가 및 모집·마케팅비용 효율화 덕분에 전년 동기 대비 36.0% 증가했다. 3분기 당기순이익은 1147억원으로 직전 분기 채권매각 기저효과 탓에 전 분기보다 1.6% 감소했다. 그밖에 KB자산운용(247억원), KB캐피탈(585억원), KB부동산신탁(197억원)의 3분기 당기순이익은 각각 94.5%, 9.3%, 42.8% 증가했다. 반면 KB저축은행(-25억원)은 적자를 기록했다. 아울러 이날 KB금융지주는 3분기 실적과 함께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방안도 전했다. KB금융은 내년부터 보통주자본(CET1)비율 13% 초과 잉여자본을 주주에게 환원할 계획이며, 총주주환원율도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올 연말 CET1비율 13%가 넘는 잉여자본은 내년 1차 주주환원의 재원으로, 내년 중 13.5%를 초과하는 잉여자본은 하반기 자사주·매입 소각 재원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CET1비율과 연계한 주주환원은 JP모건과 같은 글로벌 선도 금융사의 주주환원 방식으로 CET1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총주주환원율도 증가한다. 또 연평균 주당순이익(EPS) 성장률 10%, 자사주 매입·소각 연평균 1000만주 이상, 위험가중자산(RWA) 성장률 6.1%(과거 10년 평균) 이하 관리 등 방향성도 드러냈다. KB금융 이사회는 이날 1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추가 매입·소각 계획과 함께 주당배당금을 전 분기(784원) 대비 상향된 795원으로 결의했다. KB금융 재무담당임원은 "올해 총 8200억원의 자사주 매입·소각은 업계 최대 규모이며, 주주 및 기업가치 제고를 최우선으로 하는 당사 이사회와 경영진의 의지를 다시 한 번 표명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4-10-24 17:4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