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2.25 화요일
흐림
서울 5˚C
맑음
부산 7˚C
맑음
대구 10˚C
흐림
인천 5˚C
흐림
광주 3˚C
흐림
대전 3˚C
흐림
울산 5˚C
흐림
강릉 4˚C
흐림
제주 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MIMO'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KT-에릭슨, 저대역 주파수 활용 6G 멀티무선 기지국 개발 협력
[이코노믹데일리] KT가 글로벌 통신 장비 제조사 에릭슨과 손잡고 6G 이동통신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핵심 기술 개발에 나선다. 양사는 저대역 주파수 대역에서 활용 가능한 멀티무선 다중입출력(MIMO) 기지국 기술 개발을 위해 협력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6G 네트워크의 안정적인 성능 확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저대역 주파수는 전파 도달 거리가 길어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하지만 고속 데이터 전송에는 한계가 있었다. 멀티무선 다중입출력 기지국 기술은 이러한 저대역 주파수의 단점을 극복하고 커버리지와 무선 용량을 동시에 증대시키는 핵심 기술로 꼽힌다. 이 기술은 다수의 안테나를 활용, 데이터 전송 속도를 혁신적으로 향상시키는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일 안테나에서 1.8GHz와 2.1GHz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지원하는 ‘듀얼밴드’ 기술 △무선 신호를 특정 방향으로 집중시켜 전송 효율을 높이는 ‘빔포밍’ 기술 △기지국 간 전파 간섭을 줄여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셀 간섭제어’ 기술 △다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 전송 속도를 극대화하는 ‘다중사용자 다중전송 (MU-MIMO)’ 기술 등이 적용된다. KT는 에릭슨과의 협력을 통해 개발한 FDD(주파수 분할 이중화) 기반 멀티무선 다중입출력 기지국 기술을 내년 3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더불어 양사는 저대역 주파수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추가 기술 연구와 6G 표준화를 위한 협력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멀티무선 주파수 공유 기술’과 같은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6G 국제 표준에 반영하기 위해 공동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양사의 협력은 KT 연구개발센터에서 진행된 업무협약 체결식과 ‘6G 비전 워크샵’ 개최를 통해 공식화되었다. KT는 이번 협력을 계기로 에릭슨과의 연구개발 공조를 더욱 강화, 6G 시대를 선도하는 기술 혁신을 이끌어 나간다는 전략이다. 이종식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장(전무)은 “에릭슨과의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AICT(AI,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반 미래 이동통신 기술 혁신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토마스 아플퀴스트 에릭슨 사장(Head of Customer Unit Korea)은 “세계 통신 시장의 중심인 한국에서 KT와 6G 기술 협력을 진행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KT와 함께 미래 네트워크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025-02-25 10:20:26
KT-노키아, 6G 핵심 '초고집적 안테나' 기술 검증 성공…MWC 2025서 공개
[이코노믹데일리] KT가 노키아와 손잡고 6G 이동통신 상용화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초고집적 안테나(Extreme massive MIMO)' 기술 검증에 성공하며 6G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양사는 6G 후보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인 7㎓ 대역에서 초고집적 안테나를 활용한 기지국 기술 검증을 완료했다고 16일 밝혔다. 7㎓ 대역은 5G 주파수 대역폭보다 4배 넓어 6G 시대의 초고속, 대용량 통신을 구현할 핵심 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주파수 특성상 대역이 높아질수록 전파 도달 거리가 짧아지는 단점이 있어 7㎓ 대역의 상용화에는 넓은 커버리지 확보가 중요한 과제였다. KT와 노키아가 이번에 검증한 초고집적 안테나 기술은 이 같은 7㎓ 대역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혁신 기술이다. 5G에 비해 월등히 많은 안테나 소자를 집적하여 전파를 특정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빔포밍 기술을 통해 전파 도달 거리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빔을 방사하는 공간 다중화 기술을 통해 전송 속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이번 기술 검증 결과 KT는 초고집적 안테나를 통해 7㎓ 대역에서도 기존 3.5㎓ 대역 5G와 유사한 수준의 넓은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7㎓ 대역이 가진 넓은 대역폭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안정적인 서비스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기술 검증은 노키아 본사가 위치한 핀란드 에스푸 시에서 진행됐다.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파장이 짧아져 동일 면적에 더 많은 안테나 소자를 집적할 수 있다는 물리적 특성도 초고집적 안테나 기술의 성능 향상에 기여했다. 7㎓ 대역에서는 3.5㎓ 대역 대비 안테나 집적도를 4배까지 늘려 기지국 성능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KT는 이미 지난해 서울 관악구에 실측 사이트를 구축하고 7㎓ 대역의 전파 특성을 분석하는 등 6G 주파수 대역 연구에 선제적으로 나서왔다. KT는 이번 초고집적 안테나 기지국 기술 검증 결과를 오는 2025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MWC(Mobile World Congress) 2025에서 노키아와 공동으로 전시하며 6G 기술 선도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할 계획이다. 이종식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장(전무)은 "무선 통신 기술은 세대가 진화할수록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활용하는 만큼,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라며 "KT는 고객들이 체감할 수 있는 품질 향상을 위해 6G 핵심 기술 확보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2-16 13:03:49
아모레퍼시픽도 다이소 입점…'잘파 세대' 업고 흥행할까
[이코노믹데일리] 아모레퍼시픽이 ‘뷰티 성지’로 떠오른 다이소에 입점했다.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앞세운 세컨드 브랜드로 잘파(Z세대+알파) 세대를 겨냥하겠다는 목표다. 9일 화장품 업계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은 새로운 스킨케어 브랜드 ‘미모 바이 마몽드(MIMO by MAMONDE)’를 출시하고 다이소에서 판매를 시작했다. 미모 바이 마몽드는 마몽드의 세컨드 브랜드다. 다이소에서 토너, 클렌징 폼, 앰플 등 총 8종의 제품을 판매 중이며 가격대는 1000원~5000원 사이로 구성됐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마몽드가 잘파 세대를 위한 세컨 브랜드를 출시했는데 다이소가 입점하기 적합한 채널이라고 판단했다”며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지만 함께 사용하기 좋은 제품으로 설계했다”고 말했다. 아모레퍼시픽과 뷰티 양대산맥으로 꼽히는 LG생활건강도 지난 7월 다이소 전용 라인 ‘케어존’을 출시한 바 있다. 케어존은 LG생활건강이 1997년 론칭한 더마코스메틱 브랜드다. 다이소 전용 제품은 총 6종으로 가격은 스팟 트리트먼트 3000원, 이외 제품 5000원 등으로 책정됐다. 일각에서는 다이소가 뷰티 격전지로 떠오를 것이라고 보고 있다. 최근 3년간 다이소의 화장품 매출액이 성장을 이뤄내면서다. 다이소 화장품 매출의 연간성장률은 지난 2021년 52%에서 지난해 85%로 증가했다. 올해(1~7월)에도 기초 화장품·색조 화장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17% 늘었다. 다이소는 홈뷰티 시장의 성장에 따라 고객들이 가성비 있게 브랜드 화장품을 즐길 수 있도록 2022년부터 브랜드 화장품의 입점을 늘려왔다. 지난 4월 기준 애경산업, 토니모리, 닥터지 등 34개 뷰티 브랜드가 입점했다.
2024-09-09 15:43:5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르포] 세미콘 코리아 2025, 얼어붙는 채용 시장에도 반도체 업계 채용 설명회 '북적'…"취준생들 기회 잡는다"
2
크래프톤, '탑뷰 배그' '펍지: 블라인드스팟' 스팀 넥스트 페스트 데모 체험 시작
3
현대차, 앨라배마 법인세 면제 20년 만료 임박?…대응 방안 시나리오는
4
[파워피플] 조욱제 대표, 유한양행 100주년 앞두고 글로벌 50대 제약사 도약 이끈다
5
'그록3' 이어 '뮤즈'까지 출격…불 붙는 AI 게임 개발 전쟁
6
대체거래소 출범 임박에 소수 증권사만 홍보 나서
7
오픈AI, AI 비서 '오퍼레이터' 한국 상륙…카카오톡·야놀자 연동
8
삼성전자, 中기술 추격에 반도체 위기..."R&D·美빅테크 협력 필수"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이건희의 '배반', 배반당한 유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