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3건
-
-
NHN페이코, 기업복지 솔루션 '페이코 비즈' 30% 폭풍 성장…B2B 시장 주도
[이코노믹데일리] NHN페이코가 기업복지 시장의 강자로 자리매김하며 B2B 솔루션 사업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기록했다. 11일, NHN페이코는 자사의 기업복지 솔루션 '페이코 비즈(PAYCO BIZ)'의 2024년 연간 거래액이 2200억 원을 돌파하며 전년 대비 30% 성장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기업들의 복지 시스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추세 속에서 페이코 비즈가 △모바일 식권 △복지포인트 △상품권 등 다양한 솔루션을 앞세워 시장을 효과적으로 공략한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페이코 비즈는 폭넓은 사용처와 기업 맞춤형 서비스, 간편한 운영 시스템을 강점으로 내세워 기업 고객과 임직원 모두의 만족도를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페이코 비즈는 국내 2200개 기업, 28만 명 이상의 임직원에게 복지 혜택을 제공하며 B2B 시장의 핵심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했다. 성장을 이끈 주요 동력은 '페이코 식권'과 '페이코 복지포인트' 서비스다. 페이코 식권은 7만여 개에 달하는 풍부한 사용처를 확보하며 모바일 식권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직장인들이 자주 찾는 식당은 물론 편의점, 카페, 배달앱(요기요), 프랜차이즈 앱(샐러디, BBQ) 등 다양한 온·오프라인 채널에서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편의성에 힘입어 페이코 식권의 2024년 연간 거래액은 전년 대비 26% 증가했으며 이용자 수는 56%나 급증했다. 대한항공, 삼성메디슨 등 대기업을 비롯한 다양한 기업들이 페이코 식권을 도입했으며 맥도날드 M오더(4월), 스타벅스 전국 매장(10월) 등과의 제휴 확대를 통해 사용 편의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페이코 복지포인트 역시 뛰어난 범용성을 자랑한다. 60만 개 이상의 페이코 온·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며 특히 복지포인트 전용 실물 카드를 통해 가맹점 제약 없이 자유로운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점이 특징이다. 넥슨, 네오위즈, 위메이드 등 IT 기업은 물론 한국장학재단, 한양대학교 병원 등 공공기관 및 병원까지 600여 개 기업 및 기관, 5만 7000여 명의 직원이 페이코 복지포인트를 이용하고 있다. 페이코 복지포인트 서비스는 2024년 연간 거래액과 이용자 수 모두 전년 대비 각각 44%, 46% 증가하며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NHN페이코 관계자는 "페이코 기업복지 솔루션은 기업과 임직원에게 실질적인 복지 혜택을 제공하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페이코 비즈의 기술력과 서비스 노하우를 바탕으로 기업과 임직원 모두 만족하는 최적의 복지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NHN페이코는 2025년에도 기업 맞춤형 복지 솔루션 개발과 서비스 확대를 통해 B2B 시장 공략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2025-02-11 17:38:57
-
또다시 '체크카드' 열풍…20·30 '요노족'의 선택은
※ '알쓸보카'는 '알'아두면 '쓸'데있는 '보'험 및 '카'드 업계의 머리말을 합성한 것으로, 한 주간 주요 보험·카드 업계의 따끈따끈한 이슈, 혹은 이제 막 시장에 나온 신상품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마음이 포근해지는 주말을 맞아 알뜰 생활 정보 챙겨 보세요! [편집자 주] 자료사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코노믹데일리] 최근 20·30 세대의 소비트렌드는 '요노(YONO)'로 불린다. 요노는 'You Only Need One(필요한 건 하나뿐)'의 약자로 욜로(YOLO·You Only Live Once, 인생은 오직 한 번뿐)와 상반되는 합리적 소비트렌드 지향을 의미한다. 실제 '요노족'은 체크카드 사용을 늘리는 추세다. 고물가 영향도 있지만 해외여행 특화카드인 '트래블카드'의 인기 때문인데, 신용·체크카드 둘 다 운영이 돼도 연회비 없는 체크카드를 선택하고 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8개 카드사(신한·KB국민·현대·삼성·롯데·하나·우리·BC)에서 신규 발급된 체크카드는 총 1억2389만장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1억2271만장)보다 118만장 늘어난 수치다. 다시 돌아온 체크카드 붐에 맞춰 요노족을 위한 알짜 체크카드를 모아봤다. 26일 카드 비교 플랫폼 카드 고릴라에 따르면 꼭 필요한 것만 구매하는 요노족에겐 생활비 절약 체크카드로 엔에이치엔페이코 'PAYCO 포인트 카드'를 추천한다. 국내 어디서나 온라인 1%, 오프라인 0.5% 무한 적립해주기 때문이다. 여기에 매월 바뀌는 브랜드에서 추가로 적립 혜택을 제공, 실적이나 연회비 등 조건이 없어서 혜택을 받기 수월한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신한 '신한카드 딥드림 체크'도 어디서나 0.2% 무제한 적립되는 카드로 편의성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 카드다. 마트, 편의점, 영화, 통신, 커피 등 주요 생활비(DREAM영역)에서는 기본의 3배, 그중 가장 많이 쓴 곳은 5배까지 적립해 줘 오랜 기간 사랑받고 있다. KB국민 '노리2 체크카드'는 커피, 편의점,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통신,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등 다양한 생활 지출에서 5~10% 할인 또는 1000~4000원 할인을 제공한다. 여기에 KB Pay로 결제하면 2% 할인을 더해준다. 전월실적 기준이 20만원이지만 실적을 채우지 못해도 커피 10% 할인은 제공된다. 실적 20만원에 맞춰 쓴다면 한 달에 2만원까지 할인받는 가성비 최고의 체크카드다. KB국민 '노리체크카드'도 교통, 통신, 영화, 편의점 등 다양한 생활 지출 영역에서 할인되는데 아웃백, 빕스, 스타벅스 등 할인 니즈가 큰 외식·커피 브랜드에서 20% 할인을 제공하는 점이 매력 포인트다. 케이뱅크 'ONE 체크카드'는 3가지 캐시백 중 1가지를 택할 수 있다. 어디서나 쓰고 싶다면 '모두 다 캐시백'으로 오프라인 0.7%, 온라인 1.2% 캐시백을 받으면 된다. 지출이 명확하다면 자주 쓰는 브랜드에서 7% 캐시백을, 아니면 3번 결제할 때마다 '1000원 즉시 캐시백'을 택할 수도 있다. KB국민 '트래블러스 체크카드'는 해외결제 수수료 면제와 함께 국내 철도, 맛집, 커피 등에서 할인을 제공해 다른 트래블카드와 달리 여행과 일상의 혜택을 모두 챙길 수 있다. 우리 '우리 K-패스(쿠키 체크)'는 뚜벅이 요노족에게 필수인 K-패스와 주요 생활비 캐시백 혜택을 탑재했다. KG모빌리언스 '모빌리언스카드'는 무제한 오프라인 0.5%, 온라인 1% 즉시 페이백을 바탕으로 휴대폰결제 충전으로도 사용 가능하고, 어디서나 결제 가능하다. MG새마을금고 '더나은 체크카드'는 최근 재테크 유튜버·블로거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카드다. 9만원을 지출하면 1만8000원까지 캐시백 받을 수 있다. KB국민 '청춘대로 싱글 체크카드'는 자취하는 요노족의 체크카드로 적합하다. 편의점, 다이소, 쿠팡에서 5% 할인되는데, 매월 싱글데이에는 할인율을 2배로 높여준다.
2024-10-26 06: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