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1 토요일
맑음 서울 17˚C
맑음 부산 19˚C
맑음 대구 19˚C
맑음 인천 16˚C
맑음 광주 16˚C
맑음 대전 16˚C
맑음 울산 17˚C
맑음 강릉 16˚C
흐림 제주 18˚C
금융

1분기 ELS 발행액 15% 감소…'박스권' 장세 영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승현 기자
2019-06-27 17:00:13

ELS 유형별 발행 현황[사진=금융감독원]

 올 1분기 국내외 증시가 '박스권' 흐름을 보이면서 주가연계증권(ELS) 발행액이 크게 줄었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1분기 ELS 발행액은 19조8000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15.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27일 밝혔다. 전기 대비 18.5% 줄어든 수준이다.

발행액 감소 원인으로는 국내외 증시의 변동성이 축소되면서 ELS 제시 수익률이 낮아지자 투자 매력이 떨어진 것이 꼽힌다.

유형별로는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지수형 ELS가 17조7000억원 발행되면서 전체의 89.4%를 차지했다. 종목형 발행액은 1조9000억원으로 9.6%에 그쳤다. 다만 지수형 ELS는 국내외 지수의 변동성 축소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1조원 (18.8%) 감소했다.

지수형 ELS를 기초자산별로 보면 유로스톡스50(EuroStoxx50)이 14조8000억원이었고 홍콩H지수(HSCEI) 12조4000억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11조1000억원, 니케이225 7조1000억원, 코스피200 4조7000억원 등 순이었다. 2개 이상의 기초자산을 편입한 ELS의 경우 각각의 기초자산에 포함했다.

3개 이상의 기초자산을 편입한 ELS의 발행 비율은 81.3%로, 작년 1분기 79.5%보다 2%포인트가량 늘었다.

이는 발행사들이 제시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기초자산의 수를 늘려 상품의 변동성을 증가시키려 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1분기 중 ELS 상환액은 17조7000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5.3% 감소했다. 이에 따라 1분기말 현재 ELS 잔액은 74조4000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2.1% 늘었다.

한편 기타파생결합증권(DLS)은 올해 1분기 6조3천억원이 발행돼 작년 동기보다 발행액이 24.1% 감소했다. 특히 원금보장형 DLS 발행액이 지난해 1분기 4조원에서 올해 1분기 2조2000억원으로 크게 줄었다.

1분기 중 DLS 상환액은 5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15.2% 줄었다. 이에 따라 DLS 잔액은 39조3천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1.0% 증가했다.

올해 1분기 파생결합증권 투자자의 투자이익은 7000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000억원 늘었다. ELS 투자수익률은 평균 3.6%이고 DLS 투자수익률은 평균 2.6%로 집계됐다.

올해 1분기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이익은 2632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28.5% 줄었다.

1분기 말 현재 원금손실구간에 도달한 ELS와 DLS 잔액은 각각 3579억원과 105억원으로 각각 전체 원금 비보장형 잔액의 0.6%, 0.1%를 차지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NH투자증
롯데캐슬
삼성전자
신한금융지주
DB손해보험
삼성화재
신한은행
우리은행
db
한화투자증권
하나금융그룹
NH
SC제일은행
신한투자증권
삼성증권
KB국민은행
한국투자증권
카카오
한화
포스코
씨티
스마일게이트
교촌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