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믹데일리] ◆HK이노엔,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 인도 공식 출시
HK이노엔은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이 인도에서 ‘피캡(PCAB) 50mg’이라는 이름으로 공식 출시됐다고 17일 밝혔다. 현지 영업과 마케팅은 글로벌 제약사 닥터레디가 맡는다.
케이캡은 지난 5월 인도에서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위궤양 치료에 대해 허가를 받았다.
HK이노엔은 지난 2022년 닥터레디와 인도와 신흥국 6개국에 케이캡정 완제품 수출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인도 소화성 궤양용제 시장은 2024년 기준 약 1조5200억원 규모로 세계 4위이며 인구의 38%가 위식도역류질환을 앓는 것으로 알려져 치료제 수요가 높다.
닥터레디는 “이번 피캡 출시는 위식도역류질환 분야에서 혁신적인 치료 옵션을 제공하기 위한 닥터레디 노력의 결실”이라며 “케이캡 출시로 현지 시장 패러다임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곽달원 HK이노엔의 대표는 “인도 제품명 ‘PCAB’처럼 앞으로 케이캡이 P-CAB 계열을 대표하는 글로벌 혁신 신약으로 자리매김해 인도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케이캡은 해외 53개국과 기술수출 또는 완제수출 계약을 체결했으며 국내를 포함해 중국·중남미 등 18개국에 출시돼 있다.

◆광동제약, 망막색소변성증 치료제 후보물질 ‘OCU400’ 국내 독점 라이선스 계약 체결
광동제약이 미국의 바이오 기업 오큐젠과 망막색소변성증(RP) 치료를 위한 차세대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 ‘OCU400’의 국내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현재 OCU400은 글로벌 임상 3상 단계에서 평가 중이며 2026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 신청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광동제약은 글로벌 임상 결과와 허가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인허가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광동제약 관계자는 “임상이 완료되는 대로 조속히 치료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동제약은 노안 치료제 후보물질 브리모콜, 소아근시 신약 후보물질 NVK002, 안과 희귀질환 치료제 락손 등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확보하며 안과 분야를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있다.

◆셀트리온제약, BD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글로벌 PFS CMO 사업 확대
셀트리온제약은 지난 16일 글로벌 시린지 제조기업 벡톤디킨슨(BD) 및 BD코리아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셀트리온제약의 프리필드시린지(PFS) 위탁생산(CMO) 역량과 BD의 글로벌 고객 네트워크를 결합해 해외 시장 공략에 나선다.
특히 BD가 운영하는 CMO 파트너십 프로그램(BD&CMO Partnership Program)을 적극 활용해 BD의 주요 글로벌 고객사들에게 셀트리온제약의자사 생산 능력을 홍보하고, 신규 고객 확보를 추진할 계획이다.
셀트리온제약은 생산 확대도 진행 중이다. PFS 사업 성장에 따른 수요 증가 대응을 위해 청주공장 생산 라인 증설에도 나섰다. 연간 최대 1600만개 시린지 생산이 가능한 청주공장을 2030년까지 증설을 통해 생산 능력을 약 3배로 늘릴 예정이다.
현재 청주공장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SC’와 ‘유플라이마’를 비롯해 오토인젝터(AI), 프리필드시린지, 안전장치형 PFS 등 다양한 제형을 생산하고 있다.
셀트리온제약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BD의 글로벌 고객 네트워크를 활용해 회사의 PFS CMO사업을 세계 시장으로 확장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셀트리온제약만의 차별화된 PFS 생산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면서 글로벌 CMO 사업 경쟁력을 높여 신규 고객 확보를 더욱 가속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