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5.15 목요일
흐림
서울 19˚C
흐림
부산 15˚C
흐림
대구 15˚C
흐림
인천 16˚C
흐림
광주 17˚C
비
대전 18˚C
흐림
울산 14˚C
흐림
강릉 17˚C
흐림
제주 2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게임신작'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위메이드, 1분기 영업손실 113억… 신작·블록체인으로 반등 노린다(종합)
[이코노믹데일리] 위메이드가 올해 1분기 11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전 분기 대비 적자 전환했다고 14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418억원, 당기순손실은 206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12%, 전 분기 대비 약 14% 감소했다. 이번 실적 악화는 지난해 말 자회사로 편입된 개발사 매드엔진 관련 인건비 및 감가상각비 증가와 ‘레전드 오브 이미르’ 등 신작 출시를 위한 마케팅 비용 확대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다만 게임 사업 부문 매출은 지난 2월 국내 출시한 ‘레전드 오브 이미르’의 성과에 힘입어 전 분기보다 약 26% 증가한 1394억원을 기록했다. 위메이드는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실적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3분기 ‘미르M’의 중국 시장 진출을 시작으로 하반기 중 ‘미드나잇워커스’ 글로벌 출시, 4분기에는 고도화된 토크노믹스를 적용한 ‘레전드 오브 이미르’ 글로벌 버전을 선보일 계획이다. 이외에도 ‘미르5’, ‘블랙 벌처스: 프레이 오브 그리드’, ‘나이트 크로우2(가제)’ 등 다수의 신작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레전드 오브 이미르’ 글로벌 버전은 국내 버전과 다른 사업 모델(BM)과 콘텐츠를 선보인다. 박관호 위메이드 대표는 이날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글로벌 이미르는 위믹스가 들어가면서 국내 이미르와 콘텐츠 및 비즈니스모델(BM)에서 차이가 생겼다. 한국에서는 소위 리니지 라이크 BM방식을 적용했었는데 글로벌에서는 전면 개편해서 새로운 BM을 선보일 예정이다”고 소개했다. 그는 또한 “위믹스를 직접 채굴하는 방식”이라며 “게임 이용자들이 거래 혹은 채굴을 통해 위믹스를 직접 획득할 수 있는 토크노믹스를 구축했다”고 덧붙였다. 박 대표는 국내 버전 성과에 대해 “매출은 기대에 못미친 부분도 있지만 콘텐츠 면에서는 만족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 시장 공략의 첨병이 될 ‘미르M’에 대해서도 박 대표는 강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1년반 동안 미르M을 새로 만들다시피 했다”며 “그래픽은 기존 미르M과 비슷하지만 콘텐츠 측면에서 중국에서 선호하는 전기(미르의 전설) 시리즈의 장점들을 모아 제작했다. BM도 중국 스타일로 바꿨고 서버 당 전담 운영 등 중국 현지에서 요청 기능을 다 개발했다”고 말했다. 한편 위메이드는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들의 위믹스 상장폐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블록체인 사업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박 대표는 “국내 유저들은 (위믹스 사용 게임의) 대상이 아니었기 때문에 게임 사업하고 (국내 거래소의 위믹스 상장폐지)는 전혀 연관이 없다”며 “글로벌 게임의 해외 사업 전략은 바뀐 게 없다. 글로벌 유저들이 거래하는 거래소는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위메이드는 지난 9일 DAXA(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 소속 거래소들의 위믹스 상장폐지 결정에 대해 서울중앙지방법원에 효력정지 가처분을 신청한 상태다. 박 대표는 “새로운 정부에서 분명히 블록체인 육성 또는 현재의 잘못된 관행에 대한 정책이 나오리라고 기대하고 있다”며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 결정에 대한 불편한 심기도 드러냈다.
2025-05-14 17:40:0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이번 주 美 주요 일정] CPI·파월 연설…기업 실적 발표로 시장 변동성 예상
2
백종원 '빽다방' 상표권, 더본코리아 아닌 개인회사 소유…투자자들은 몰랐다
3
SKT, 유심 인증키 미암호화 논란…SK쉴더스 前 부회장 사임 맞물려 파장
4
[도전인가 무리수인가] ① 롯데칠성음료는 왜 빅썸바이오를 인수했나
5
불황에 재무부담 커진 에쓰오일...'샤힌 프로젝트' 감당 가능할까
6
NH투자증권, 지난해 소송 리스크 '최다'…3984억원 규모 70건 진행 중
7
SKT, '유심 복제' 막는 '유심 재설정' 내일 전격 도입…"유심 교체와 보안 효과 동일"(종합)
8
'부동산 PF' 향한 온도차…대형사 '질주', 중소형사 '위축'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흥국'에 드리운 복귀의 망령…'금융 농락' 이호진 전 회장에게 경영을 또 맡기겠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