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5 토요일
안개
서울 8˚C
맑음
부산 6˚C
맑음
대구 8˚C
비
인천 8˚C
흐림
광주 10˚C
흐림
대전 9˚C
흐림
울산 10˚C
비
강릉 10˚C
흐림
제주 1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고속 통신'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KT·KAI, 6G·저궤도 위성 사업 협력 체결...글로벌 경쟁력 강화
[이코노믹데일리] KT가 KT SAT, KAI와 함께 6G 및 저궤도 위성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지상과 위성을 아우르는 6G 통신망 확장에 따라, 한국 기업들이 협력해 글로벌 6G 저궤도 위성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취지에서 이뤄졌다. KT는 이번 협력을 통해 통신위성 핵심 기술 개발과 생태계 조성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현재 저궤도 위성 산업은 글로벌 시장에서 스페이스X와 아마존의 카이퍼 시스템즈 등 자본과 기술력이 풍부한 기업들이 선도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은 각사의 강점을 바탕으로 국내외 시장 공략에 집중할 계획이다. 저궤도 위성은 지상에서 약 500~1,200km 고도에 위치해 기존 정지궤도 위성(GEO) 대비 데이터 전송 지연이 적고 고속 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KT와 KT SAT, KAI는 통신망의 커버리지를 지상에서 우주까지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KT는 저궤도 위성 통신과 지상의 무선 네트워크를 원활하게 연동할 수 있는 기술을 우선적으로 개발한다. KT SAT은 수십 년간 정지궤도 위성 운용 경험을 기반으로 저궤도 위성 운영 노하우를 쌓아 향후 정지궤도 위성과 저궤도 위성을 결합한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발굴할 계획이다. KAI는 저궤도 위성 시스템과 유무인복합체계 개발을 담당하며 이를 통해 군사 및 민간 영역에서의 위성 통신망 구축을 주도할 예정이다. KAI 강구영 사장은 "우주항공청 개청에 맞춰 민간 주도의 우주 사업화를 실현하고 위성 영상과 통신 서비스 시장에 진입하겠다"며 "KT그룹과 협력해 6G 저궤도 위성 기반 유무인복합체계와 위성 수출 사업화에도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KT는 이미 2015년 남극 기지에 위성 기반의 초소형 기지국인 펨토셀을 구축해 운영 중이며 최근에는 위성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재난안전통신망을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저궤도 위성 확보 이후에는 이를 기반으로 한 통신 기술 확장에 지속적으로 집중할 계획이다. 김영섭 KT 대표는 "6G 시대에는 지상 네트워크와 위성 네트워크가 공존해야 한다"며 "KT는 이동통신과 위성통신을 대표하는 기업 간 협력을 통해 국내 6G 저궤도 위성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영수 KT SAT 대표 역시 “KT SAT은 이번 협력을 통해 대한민국 6G 위성망의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차별화된 위성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2024-11-03 09:38:26
한화시스템, 위성간 레이저 통신기술 시험 성공적 완료
[이코노믹데일리] 한화시스템은 지난 8~10일 사흘간 광주과학기술원(GIST)에서 수행한 '저궤도 위성용 위성간 레이저 통신(ISL) 장비의 첫 중거리 통신 성능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15일 밝혔다. ISL은 저궤도 위성에 탑재돼 위성 대(對) 위성의 데이터를 '레이저'로 주고 받으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비다. 이는 지상 통신망의 도움없이 언제, 어디서나 LTE∙5G 수준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인 초고속 '우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세대 저궤도 위성통신의 핵심 기술로 꼽힌다. 이번 시험은 우주 공간에 비해 통신 장애 요소와 날씨 및 지형 변수가 많은 지상 시험을 바탕으로 1Gbps(초당 기가비트) 전송 속도의 인터넷 원거리 접속에 성공함으로써 레이저 통신 운용성을 1차 검증했다. 저궤도 위성간 통신이 실현되면 지상 기지국 1곳 만으로도 세계 어디에서나 국경을 넘어 고속통신이 가능해진다. 여기에 기존 지상 통신이 갖고 있던 산악, 밀림, 해양, 극지대 등 오지 곳곳과 전쟁 시 통신단절 등의 문제도 대폭 해소할 수 있다. 특히 ISL 기술이 적용된 저궤도 위성은 스마트폰 무선통신에 쓰이는 전파가 아닌 빛의 영역인 ‘레이저’를 이용해 통신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데이터를 지연이나 끊김 없이 처리할 수 있다. ISL 기술은 현재 미국, 독일, 일본 등 일부 국가들만 확보하고 있으며 스페이스X∙아마존 등 글로벌 항공우주기업을 중심으로 우주 인터넷 실현을 위한 'ISL 탑재 저궤도 위성 통신망' 구축이 시도되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연내 광주과학기술원 부설 고등광기술연구소, 스위스 베른대학교 응용물리연구소와 협업을 통해 우주 환경과 보다 유사한 해발 4000m 이상 산악 고지대에서 추가 ISL 성능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화시스템은 "성능시험을 통해 대한민국 저궤도 위성통신 분야에서 독점적 지위를 확보하고 향후 미주, 유럽 등 해외 시장에도 적극 진출하겠다"고 말했다.
2024-10-15 10:33:4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5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인천대공원 벚꽃축제 취소… 공원 관람은 가능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정치' 없었던 윤석열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