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요일
흐림 서울 30˚C
구름 부산 31˚C
구름 대구 34˚C
맑음 인천 29˚C
흐림 광주 29˚C
흐림 대전 31˚C
흐림 울산 31˚C
흐림 강릉 31˚C
흐림 제주 30˚C
산업

"미국선 웃고 중국선 울었다"...삼성전자 반도체 매출 '희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지영 기자
2025-08-17 15:57:11

中 수출 전년比 11%↓...이구환신 둔화·전방 산업 위축 등 영향

美 SSI 매출은 28.2%↑...빅테크 AI 투자 증대가 원인

삼성전자 서초사옥 간판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 서초사옥 간판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올해 상반기 삼성전자 중국 매출이 미국발 대(對)중국 제재와 중국 전방 수요 둔화 등으로 감소했지만 미국 매출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삼성전자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수출액은 28조791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상반기(32조3452억원) 보다 11% 감소한 수치다.

삼성전자가 중국에 판매 및 수출하는 반도체는 저전력더블데이터레이트(LPDDR), 낸드, 이미지센서, 디스플레이 구동 칩(DDI) 등 모바일용 제품과 고대역폭메모리(HBM2)·HBM2E 등도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생산 및 판매법인의 실적도 줄었다. 중국 시안에서 운영 중인 낸드 플래시 생산법인 삼성 차이나 반도체(SCS)의 올해 상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4조4146억원, 5336억원을 기록했는데 이는 지난해 동기 매출(6조214억원)과 영업이익(6444억원)보다 감소한 수치다.

상하이 삼성 반도체(SSS)의 매출도 15조8779억원에서 12조3457억원으로 감소했다.

업계는 올해 상반기 이구환신(낡은 제품을 새 것으로 바꾸는 중국 정책) 효과가 둔화하고 중국 경기 회복 지연에 따른 전방 산업의 위축 등이 영향을 끼친 것이 부진 이유라고 보고 있다.

이와 함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재집권하면서 대중국 제재가 더욱 강화한 것도 이유로 보고 있다.

반면 미국 생산·판매법인의 매출은 증가했다.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 있는 생산법인(파운드리) 삼성 오스틴 반도체(SAS)는 올해 상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조2968억원, 4238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1226억원, 영업이익은 1674억원 늘었다.

미국 반도체 판매법인 삼성 반도체(SSI)의 매출은 같은 기간 17조7267억원에서 22조7204억원으로 28.2% 증가했다.

이는 빅테크를 중심으로 생산과 판매·영업을 확대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빅테크들이 인공지능(AI) 서버·데이터센터 투자를 늘리면서 AI 반도체 수요 급증으로 인한 수혜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고객 확보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미래에셋자산운용
KB금융그룹_1
NH농협
KB금융그룹_3
kb_2
IBK
여신금융협회
농협
농협
KB_1
우리은행_1
한화
삼성자산운용
롯데
종근당
부영그룹
kb
kb_3
KB
우리은행_2
KB금융그룹_2
하나금융그룹
국민카드
신한금융
한미그룹
넷마블
메리츠증권
SK증권
신한은행
동국제약
신한투자증권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