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총 5건
-
2025년엔 초고령사회…노인 증가에 치매보험 출시 '속속'
[이코노믹데일리] 국내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둔 가운데 보험사들도 치매·간병 등 시니어 고객을 위한 맞춤형 상품 출시에 나서고 있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총인구 5156만명 중 950만명으로 18.4%를 차지했다. 이런 추세라면 오는 2030년에는 5120만명 중 1306만명(25.5%), 2040년에는 5019만명 중 1724만명(34.4%)으로 늘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결과 국내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꾸준히 증가해 지난달 31일 기준으로 1002만4468명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주민등록 인구(5126만5238명)의 약 19.6%로 국내 인구 5명 중 1명은 고령자인 셈이다. 국내 치매 환자도 증가할 전망이다. 중앙치매센터는 지난해 기준 65세 이상 치매 추정 환자는 98만명(추정 유병률 10.41%)으로 올해 1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이후 2030년 142만명, 2040년 226만명, 2050년 315만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베이비붐 세대 은퇴가 본격화하면 기대수명 연장으로 관련 보험 수요도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보험사들은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노인 인구 비율을 감안해 시니어 세대의 다양한 요구와 기대를 충족하기 위한 맞춤형 상품들을 선보이는 추세다. 가입 연령 제한을 완화하고, 기존 심사 단계에서 보험 가입이 거절되거나 제한적 조건의 상품만 가입할 수 있었던 고령자 및 유병자도 손쉽게 가입 가능한 간편심사보험을 출시하는 게 대표적이다. 여기에 고령층 돌봄에 대한 보장 공백을 해소하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보장체계를 강화한 상품도 판매 중이다. 먼저 악사(AXA)손해보험은 암보험 가입이 쉽지 않은 시니어 세대도 가입 가능한 '(무)AXA나를지켜주는암보험(갱신형)'을 내놨다. 해당 상품은 암 진단부터 회복까지 전 과정에 걸쳐 고객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보장들로 구성돼 있다. 암 진단 시 기본으로 보장받는 진단금에 더해 별도 특약 가입 시 항암방사선 치료비 및 약물 치료비, 수술비까지 지원해 고객을 위한 실질적인 보장 체계를 마련했다. 삼성화재와 현대해상, DB손해보험도 일반 보험 가입에 어려움을 겪는 고연령층이나 유병자도 쉽게 가입할 수 있도록 가입 문턱을 낮춘 간편심사 보험상품을 선보였다. 삼성화재의 '무배당 간편보험 새로고침 100세'와 현대해상의 '간편한311건강보험', DB손보의 '무배당 나에게맞춘간편건강보험2404' 상품은 해당 특약에 가입 시 진단, 치료 및 수술 등 다양한 상황에 종합적으로 보상받을 수 있다. NH농협생명의 '백세시대 NH치매보험'은 유병자도 가입할 수 있고, 가장 낮은 치매 단계인 경도부터 중증까지 보장 범위가 넓다. 또 치매 진단 시 영상자료를 요구하지 않아 소비자가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다. 삼성생명은 업계 최초로 경도인지장애를 포함해 치매의 단계별 보장이 가능한 '삼성 치매보험'을 판매하고 있다. 다양한 특약으로 치매 검사, 치료, 통원 등 치료 과정을 폭넓게 보장한다. 메트라이프생명은 올해 1월 생활비 보장을 비롯해 단계적 치매 진단비, 요양급여, 입·통원비를 보장하는 '360치매간병보험'을 출시했다. 17개의 다양한 치매 관련 특약으로 개인별 상황에 맞게 선택해 보장받을 수 있다.
2024-08-29 06:00:00
-
KT, AI 융합으로 '디지털 혁신 파트너' 도약 나서
[이코노믹데일리] 김영섭 KT 대표는 오는 30일로 취임 1주년을 맞이한다. 실용주의를 표방하며 등장한 김 대표는 지난 1년간 AICT(AI+ICT·인공지능+정보통신기술) 기업으로의 전환을 핵심 비전으로 제시하며 KT의 체질 개선과 미래 경쟁력 강화에 주력해왔다. 특히 인공지능(AI) 역량 강화에 집중하며 통신 기업을 넘어 '디지털 혁신 파트너'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 실질 중심의 경영 철학 확립...AICT 기업 전환 비전 제시 김 대표는 지난해 8월 30일 임시주주총회에서 대표이사로 선임됐다. 취임 직후부터 그는 과도한 의전과 보여주기식 행사를 과감히 없애고 실질적 이익을 창출하는 조직 문화 정립에 주력했다. 이는 KT가 직면한 경영 환경의 변화와 미래 도전 과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 김 대표는 유럽 지역 마이크로소프트(MS) 소버린 AI·클라우드 구축 현장을 방문하고 돌아와 하반기 경영 구상에 몰두하고 있다. 이는 글로벌 기술 트렌드를 직접 확인하고 KT의 미래 전략에 반영하려는 의지로 해석된다. 김 대표는 지난 2월 'AICT 기업' 전환 비전을 공식적으로 제시했다. 이는 KT의 기존 통신 역량에 IT와 AI를 융합해 새로운 고객 가치를 제공하는 '디지털 혁신 파트너'로 거듭나겠다는 선언이었다. 이를 위해 KT는 MS와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소버린 AI·클라우드 시장 공략을 준비하고 있다. 내부적으로는 비효율 사업을 과감히 정리·개편하고 있다. 로봇, 르완다 사업 등 수익성이 낮거나 미래 전략과 맞지 않는 사업들을 정리하고, AI와 미디어·콘텐츠 사업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조직을 재편하고 있다. 동시에 AI 해커톤과 숨은 고수 발굴 등 임직원의 AI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KT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김 대표 취임 후 최저점에서 약 20% 상승했다, 이는 시장의 기대감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AI와 통신 역량을 결합한 '킬러 서비스'가 아직 뚜렷하게 자리 잡지 않았다는 점에서 여전히 과제가 남아있다. 특히,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AI 기술을 활용한 실질적인 수익 창출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 조직 슬림화와 AI 인재 확보 전략 KT는 '조용한 조직 개편'을 통해 체질 개선을 추진 중이다. KT 상반기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KT 직원 수는 1만9370명으로 지난해 말(1만9737명) 대비 367명(1.9%) 감소했다. 작년 6월 말(2만117명)과 비교하면 1년 새 747명(3.71%)이 줄어든 수치다. 최근 10년간의 사업보고서·반기보고서를 종합하면 KT 직원 수는 2014~2018년 증감을 반복하며 2만3000명대를 유지하다가 2018년 말 2만3835명을 정점으로 매 반기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2014년 6월 이후 10년간의 감소폭은 18.8%에 달한다. 직원 감소의 주된 요인으로는 고연령자의 자연 퇴직이 지목된다. KT는 향후 5~6년간 정년 퇴직자가 1000여명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KT의 인력 감축은 인위적인 구조 조정이 아닌 자연스러운 인력 감소를 통해 이루어졌다. 김 대표는 취임 초기 "대규모의 인위적 구조 조정을 감행할 필요는 없다"고 밝힌 바 있지만, 실제로는 신규 채용을 줄이고 퇴직 인원을 통한 자연스러운 인력 감축을 추진해왔다. 이러한 전략은 KT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면서도 조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퇴직 인원에 미치지 못하는 신규 채용 인원도 직원 감소세를 가속화하고 있다. KT의 신규 채용 직원은 2020년 273명, 2021년 357명, 2022년 669명, 지난해 254명으로 집계됐다. 김 대표는 지난해 9월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대규모의 인위적 구조조정을 감행해야 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자연 감소를 통한 점진적인 인력 조정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KT의 인력 감축 기조는 AI 인력을 적극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올해 초 전 직급 채용공고를 통해 '초거대 AI 기술개발' 등 R&D(연구개발) 분야 인력을 모집하면서, 디지털 패러다임 전환 사업에 즉시 투입할 수 있는 경력 사원의 비중을 높이는 전략을 구사했다. 이는 AI 역량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전문 인력을 확보하고, 미래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다. ◆ 킬러 서비스 발굴과 ICT 생태계 활성화 KT가 직면한 가장 큰 과제는 '김영섭표' AI 서비스의 개발이다. 통신과 AI 역량을 결합한 킬러 서비스를 발굴해 실질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핵심 과제로 꼽힌다. KT는 오는 10월 MS와의 구체적인 협업 성과물을 선보일 계획이다. MS와의 협력은 KT의 글로벌 기술 AI 역량 확보를 위한 전략이지만, 일각에서는 외산 기술 의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자체 기술력 확보와 국내 AI 생태계 육성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KT 관계자는 "MS 클라우드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역할이며, 플랫폼 위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앱)과 솔루션은 현재의 생태계 전략과 동일하게 파트너들과 함께 개발할 것"이라며 "3만원대 5G 요금제를 가장 먼저 출시한 사례처럼 정부 정책에도 적극 협조하며 국민기업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통신 분야에서는 기존 KT 임원을 중용했지만, AI·클라우드, 대외협력·법무 등 신규 사업 분야에서는 외부 인력을 적극 등용했다. 이에 따라 내부 화합과 소통 문화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근 발생한 유선전화 장애와 같은 통신망·인프라 문제는 국가 기간통신망을 관리하는 KT의 책임을 다시 한번 상기시켰다. 따라서 미래 사업 확장과 함께 기존 통신 인프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투자와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KT는 김영섭 대표의 리더십 아래 AI와 통신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MS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AI 기반 클라우드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은 이러한 전략의 일환이다. KT는 오는 10월 MS와의 협업 성과물을 발표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실질적인 수익 창출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내부 화합과 소통이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김 대표는 통신 분야에서는 기존 KT 임원을 중용하면서도, AI·클라우드, 대외협력·법무 등 분야에서는 외부 인력을 적극 등용해왔다. 이는 KT가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인력 운영의 일환이지만, 내부적인 화합과 소통 문화를 다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김 대표의 공식 임기는 2026년 3월까지다. 업계에서는 김 대표가 남은 임기 동안 AI 분야에서 가시적인 수익 창출 성과를 내는 데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기업 체질 개선과 수익성 실현이 본 궤도에 오를 경우, 연임에 대한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KT는 국내 통신 3사(SK텔레콤, LG유플러스) 중 유일하게 대표이사 임기를 3년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동통신 시장이 전 세계적으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KT의 미래 전략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 주목된다.
2024-08-22 05:00:00
-
-
은행 퇴직연금 '20조' 쑥…KB국민銀, 개인형 수익률 선두
[이코노믹데일리] 은행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가 1년 새 20조원 증가했다.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로 퇴직연금 시장이 매년 커지고 있는 데다 주식시장 성장에 수익률도 우상향을 그리고 있어서다. 그 가운데 KB국민은행이 개인형 퇴직연금(IRP :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실적배당 상품의 최근 1년간 운용 수익률 부문에서 시중은행 1위를 달성했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2분기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 퇴직연금 적립금은 141조9338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121조1897억원)보다 20조7441억원 늘었다. 4대 은행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지난해 말 134조5898억원, 올 1분기 138조1592억원 등 확대되고 있다. 올해 2분기 적립금은 △신한은행 42조2031억원 △국민은행 38조9360억원 △하나은행 36조1297억원 △우리은행 24조6650억원 순이었다. 퇴직연금은 크게 확정기여형(DC), 확정급여형(DB), IRP로 나뉜다. DC형은 기업 부담금이 사전에 확정되며, 매년 1회 이상 해당 부담금(연간 임금총액의 12분의 1)을 근로자에게 지급한다. 이렇게 납입된 부담금은 근로자가 직접 운용한다. DB형은 퇴직 시점에 받을 퇴직급여의 수준이 사전에 결정되고, 기업의 부담금은 적립금 운용 결과에 따라 변동된다. 운용의 책임은 기업에 있으므로 근로자는 퇴직금의 투자나 관리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아도 된다. 최근 수요가 커진 IRP는 근로자가 직접 선택에 따라 납입한 부담금을 적립·운용하기 위해 설정한 퇴직연금제도로서 급여의 수준이나 부담금의 수준이 확정되지 않은 제도다. 4대 은행의 올 2분기 말 기준 최근 1년간 퇴직연금 원리금 보장 평균 운용 수익률은 △DC형 3.73% △DB형 4.07% △IRP 3.54%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원리금 비보장 평균 운용 수익률은 △DC형 13.60% △DB형 8.16% △IRP 12.96%였다. 이 중에서 국민은행의 IRP 실적배당 상품 수익률이 13.62%로 시중은행 중 가장 높았다. 또 DC형과 DB형의 수익률도 각 13.73%, 9.42%를 기록해 2위로 상위권에 위치했다. 은행연합회 퇴직연금 비교 공시를 살펴보면, 국민은행 퇴직연금 DC형은 17년 연속(2007~2023년·12월 말 기준), IRP는 14년 연속(2010~2023년·12월 말 기준) 적립금 규모 1위라는 성과를 냈다. 국민은행의 올 2분기 말 퇴직연금 총적립금은 DC형이 13조2000억원, IRP 14조3000억원으로 전 사업자 중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경쟁력 있는 퇴직연금 상품과 세심한 자산관리로 퇴직연금 고객의 만족을 이끌어 냈다"며 "앞으로도 고객의 행복한 노후를 돕는 국민의 평생 금융 파트너로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은행권 퇴직연금 시장은 고령화 영향으로 노후 대비를 위해 퇴직연금 투자자들이 늘면서 점차 확대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퇴직연금 시장이 연평균 약 9.4% 성장하면서 10년 후에는 약 2.5배 커진 940조원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IRP는 76조원에서 288조원까지 증가해 시장의 약 31%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석진 한투운용 외부위탁운용관리(OCIO) 컨설팅부장은 "국내 60세 이상 인구가 현재 1370만명에서 10년 후에는 1870만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퇴직연금 시장에 대한 니즈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며 "고연령대 이직자와 은퇴자 비중이 늘어나 상대적으로 IRP 시장이 빠르게 확장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퇴직연금 시장이 점차 커지면서 은행들의 마케팅 경쟁도 치열한 모습이다. 국민은행은 지난 1월 연금사업 추진력 강화 차원으로 기존 연금사업본부를 독립본부로 전환했다. 신한은행은 하반기에 퇴직연금 일임형 로드어드바이저 서비스를 도입한다. 하나은행은 1억원 이상 연금자산을 보유한 VIP 고객을 위한 상담센터인 '연금 더 드림 라운지'를 수도권에 추가로 열 계획이다. 우리은행은 이달 중 원리금과 비원리금 상품을 결합한 저위험 신포트폴리오를 출시할 예정이다.
2024-07-23 06:0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