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5 토요일
흐림
서울 8˚C
맑음
부산 8˚C
맑음
대구 7˚C
흐림
인천 7˚C
흐림
광주 7˚C
흐림
대전 7˚C
흐림
울산 8˚C
맑음
강릉 8˚C
흐림
제주 1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구인회'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韓에 '스타게이트'급 AI 데이터센터 세운다...주인공은 'LG 창업주 손자'
[이코노믹데일리] 미국의 한 투자 그룹이 한국에 최대 350억 달러(약 50조 원)를 투자해 세계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건설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해당 데이터센터의 규모는 3기가와트(GW)로 이는 미국에서 오픈AI와 소프트뱅크가 추진 중인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의 일부인 텍사스 데이터센터보다 약 3배 큰 규모다. 1기가와트는 75만~100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과 비슷하며 이 이상의 전력을 보유한 데이터센터는 전 세계적으로도 드물다. 이번 데이터센터 건설을 주도하는 곳은 미국의 투자 그룹 '스톡 팜 로드'다. WSJ에 따르면 스톡 팜 로드의 공동 창립자는 구인회 LG 창업주의 손자인 브라이언 구(Brian Koo)와 아민 바드르엘딘 BADR 인베스트먼트 최고경영자(CEO)다. BADR 인베스트먼트는 런던과 요르단에 기반을 둔 투자사다. WSJ는 이번 데이터센터가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남서부 지역"에 건설될 예정이며 올해 초 공사를 시작해 2028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고 보도했다. 최근 투자자들은 전력과 수자원 확보를 위해 전라남도와 협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WSJ는 데이터센터 건설을 위한 공급망 부족 문제와 엔비디아의 AI 칩 공급난이 지속되면서 글로벌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지연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한국 프로젝트도 2028년 이후로 미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스톡 팜 로드는 초기 투자금으로 100억 달러를 투입한 뒤 상황에 따라 최대 350억 달러까지 투자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브라이언 구는 "한국의 데이터센터는 주로 국내 수요를 맞추고 있지만 한국은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운영할 수 있는 충분한 요건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WSJ는 한국의 대규모 데이터센터 건설이 AI 열풍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AI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미국·유럽·중동을 중심으로 대규모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활발히 추진되는 가운데, 아시아에서도 저렴한 토지와 인건비를 바탕으로 데이터센터 단지가 빠르게 조성되고 있다. 한국뿐만 아니라 말레이시아·태국·인도 등에서도 데이터센터 건설이 활발하다. 데이터센터 관련 리서치 업체 DC바이트의 징웬 옹 아시아·태평양 지역 담당 연구 매니저는 "비용을 절감하고 빠르게 건설할 수 있다면, 한국 데이터센터도 충분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평가했다.
2025-02-19 09:07:24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5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인천대공원 벚꽃축제 취소… 공원 관람은 가능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정치' 없었던 윤석열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