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5.20 화요일
흐림
서울 17˚C
비
부산 17˚C
흐림
대구 19˚C
흐림
인천 15˚C
흐림
광주 19˚C
구름
대전 16˚C
흐림
울산 20˚C
비
강릉 20˚C
흐림
제주 2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국민소득'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 약 3만6000 달러...원화 가치 하락으로 1.2% 성장 그쳐
[이코노믹데일리]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1% 가량 증가해 약 3만6600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와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는 속보치와 같은 0.1%, 2%였다. 5일 한국은행의 ‘2024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 통계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6624 달러로 전년 동기(3만6194 달러)보다 1.2% 늘었다. 원화로 계산했을 때는 4995만5000원으로 전년 동기(4724만8000원) 대비 5.7% 많았다. 지난해 명목 GDP는 달러 기준 1조8689억 달러. 원화 기준 2549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 1.6%, 6.2% 증가했다.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한 원화 가치 하락으로 GNI·명목 GDP 달러 환산 기준 성장률은 원화 기준보다 낮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달러 기준 1인당 GNI는 지난 2014년 3만789 달러로 처음 3만 달러에 진입한 뒤 계속 증가해 2021년 3만7898 달러를 기록했지만 2022년 급격한 원화 절하로 3만5000 달러대로 하락했다. 이후 2023년, 지난해에 각 2.7%, 1.2% 올랐지만 여전히 3만6000 달러대인 상황이다.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눠 전반적 물가 수준을 반영하는 거시경제 지표인 GDP디플레이터는 2024년 기준 전년보다 4.1% 상승했다. 지난해 연간 실질 GDP 성장률 잠정치는 2%로 지난 1월 발표된 속보치와 같았다. 4분기 성장률도 전 분기 대비 0.1%로 동일했다. 다만 속보치에 포함되지 못한 지난해 12월 경제 통계 반영으로 4분기 부문별 성장률에서 변동이 있었다. 수출(0.8%)과 정부 소비(0.7%), 수입(0.1%)은 속보치보다 각 0.5%p, 0.2%p, 0.2%p 증가했지만 건설투자(-4.5%)와 설비투자(1.2%)는 각 1.3%p, 0.4%p 하향했다. 업종별 성장률은 △제조업 0.2% △서비스업 0.4% △건설업 –4.1% △농림어업 –3.4% 등으로 집계됐다.
2025-03-05 13:51:35
한국 여성 고용률 61.4%‥20년째 OECD 최하위권
[이코노믹데일리] 한국의 여성 고용률과 경제 활동 참가율 등 성평등 고용 지표가 지난 20년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하위권에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6일 OECD 38개 국가의 15∼64세 여성 고용 지표를 분석한 결과 2023년 기준 고용률은 61.4%, 경제 활동 참가율은 63.1%로 모두 31위였다. 2003년 27위에서 20년이 지난 2023년 오히려 31위로 4계단 떨어진 것이다. 그 사이 순위는 한 번도 하위권(26∼31위)을 벗어나지 못했다. 같은 기간 여성 경제 활동 참가율은 32위에서 1계단 오르는데 그쳤다. 특히 2021년 기준 한국에서 15세 미만 자녀를 둔 여성의 고용률은 56.2%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 규모와 인구가 비슷한 국민소득 3만 달러·인구 5000만명 이상 국가, '3050클럽' 7개국 중 가장 낮은 것이다. 한경협은 “한국은 육아·가사 부담이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를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선진국 수준으로 여성 고용을 확대하려면 여성들이 일·가정 양립 부담을 덜고 경제 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경협이 이들 7개국 중 여성 고용률이 70%를 넘는 상위권 국가인 독일·일본·영국과 한국의 고용 환경을 비교한 결과 유연한 근로 환경 조성과 가족 돌봄 지원 2가지 측면에서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평가했다. 한국은 근로 시간을 주 단위로 제한해 1주 연장근로를 최대 12시간으로 한 반면 독일, 일본, 영국은 월 단위 이상으로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한경협은 전했다. 또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족 정책 지출 비중(2020년 기준)은 1.5%로, 독일(2.4%), 영국(2.3%), 일본(2.0%) 등 3개국 평균 2.2%보다 낮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한국이 선진국처럼 여성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특히 자녀를 가진 여성인력 일자리 유지와 확대가 중요하다"며 "근로 시간 유연화,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대 등 일과 가정을 병행할 수 있는 근로 환경 조성과 가족 돌봄 지원을 강화해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를 적극적으로 촉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2025-01-06 15:15:48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백종원 '빽다방' 상표권, 더본코리아 아닌 개인회사 소유…투자자들은 몰랐다
2
삼성전자, 2조4000억원 들여 데이터센터 HVAC 선점하는 이유
3
"7시간 만에 1위" 넷마블 신작 '세나 리버스' 대박 터졌다…흥행 비결은
4
[단독] 中 배달 플랫폼 헝그리판다, 한국 배달시장 진출…불법체류자 모집 논란
5
가덕도신공항 좌초 위기…현대건설 철수에 후속 대안도 불투명
6
SKT 해킹 파문 확산…악성코드 25종·추가 서버 감염…개인정보 유출 우려↑
7
韓 ·美, 통신해킹 공동대응·R&D 협력 강화…美 핵심기관 연쇄 회동
8
[르포] 대한항공, AWS 서밋 서울 2025서 '생성형 AI 콜센터' 시연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할 수도 없고 안 할 수도 없는 투자의 딜레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