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22 금요일
구름
서울 27˚C
구름
부산 25˚C
맑음
대구 27˚C
구름
인천 27˚C
구름
광주 26˚C
흐림
대전 27˚C
흐림
울산 27˚C
흐림
강릉 29˚C
맑음
제주 2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국민소득'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 약 3만6000 달러...원화 가치 하락으로 1.2% 성장 그쳐
[이코노믹데일리]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1% 가량 증가해 약 3만6600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와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는 속보치와 같은 0.1%, 2%였다. 5일 한국은행의 ‘2024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 통계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6624 달러로 전년 동기(3만6194 달러)보다 1.2% 늘었다. 원화로 계산했을 때는 4995만5000원으로 전년 동기(4724만8000원) 대비 5.7% 많았다. 지난해 명목 GDP는 달러 기준 1조8689억 달러. 원화 기준 2549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 1.6%, 6.2% 증가했다.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한 원화 가치 하락으로 GNI·명목 GDP 달러 환산 기준 성장률은 원화 기준보다 낮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달러 기준 1인당 GNI는 지난 2014년 3만789 달러로 처음 3만 달러에 진입한 뒤 계속 증가해 2021년 3만7898 달러를 기록했지만 2022년 급격한 원화 절하로 3만5000 달러대로 하락했다. 이후 2023년, 지난해에 각 2.7%, 1.2% 올랐지만 여전히 3만6000 달러대인 상황이다.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눠 전반적 물가 수준을 반영하는 거시경제 지표인 GDP디플레이터는 2024년 기준 전년보다 4.1% 상승했다. 지난해 연간 실질 GDP 성장률 잠정치는 2%로 지난 1월 발표된 속보치와 같았다. 4분기 성장률도 전 분기 대비 0.1%로 동일했다. 다만 속보치에 포함되지 못한 지난해 12월 경제 통계 반영으로 4분기 부문별 성장률에서 변동이 있었다. 수출(0.8%)과 정부 소비(0.7%), 수입(0.1%)은 속보치보다 각 0.5%p, 0.2%p, 0.2%p 증가했지만 건설투자(-4.5%)와 설비투자(1.2%)는 각 1.3%p, 0.4%p 하향했다. 업종별 성장률은 △제조업 0.2% △서비스업 0.4% △건설업 –4.1% △농림어업 –3.4% 등으로 집계됐다.
2025-03-05 13:51:35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대통령 지시에도…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는 법적 근거 없다
2
이재명 대통령 "산재 사망사고 직보"…건설사 옥죄는 정부, 구조 개선은 뒷전
3
AI가 키운 전력 수요…해법은 '에너지 고속도로'
4
"미국선 웃고 중국선 울었다"...삼성전자 반도체 매출 '희비'
5
스페이스X 스타링크, 장비 인증 통과…'우주 인터넷' 드디어 한국 온다.
6
은행권, 핀테크·유통업권과 '경쟁→협업'…플랫폼 동맹 가속
7
5대 생보사 상반기 희비…삼성·신한 웃고, 한화·교보·NH농협 울었다
8
빌 게이츠, '유퀴즈' 출연 확정…유재석과 만난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위고비, 치료제지 미용이 아니다...의료계 주객전도 되지 말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