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4 금요일
안개
서울 6˚C
맑음
부산 4˚C
맑음
대구 4˚C
안개
인천 6˚C
맑음
광주 5˚C
흐림
대전 7˚C
구름
울산 5˚C
흐림
강릉 7˚C
흐림
제주 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국민소득'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 약 3만6000 달러...원화 가치 하락으로 1.2% 성장 그쳐
[이코노믹데일리]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1% 가량 증가해 약 3만6600 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와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는 속보치와 같은 0.1%, 2%였다. 5일 한국은행의 ‘2024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 통계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6624 달러로 전년 동기(3만6194 달러)보다 1.2% 늘었다. 원화로 계산했을 때는 4995만5000원으로 전년 동기(4724만8000원) 대비 5.7% 많았다. 지난해 명목 GDP는 달러 기준 1조8689억 달러. 원화 기준 2549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 1.6%, 6.2% 증가했다.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한 원화 가치 하락으로 GNI·명목 GDP 달러 환산 기준 성장률은 원화 기준보다 낮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달러 기준 1인당 GNI는 지난 2014년 3만789 달러로 처음 3만 달러에 진입한 뒤 계속 증가해 2021년 3만7898 달러를 기록했지만 2022년 급격한 원화 절하로 3만5000 달러대로 하락했다. 이후 2023년, 지난해에 각 2.7%, 1.2% 올랐지만 여전히 3만6000 달러대인 상황이다.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눠 전반적 물가 수준을 반영하는 거시경제 지표인 GDP디플레이터는 2024년 기준 전년보다 4.1% 상승했다. 지난해 연간 실질 GDP 성장률 잠정치는 2%로 지난 1월 발표된 속보치와 같았다. 4분기 성장률도 전 분기 대비 0.1%로 동일했다. 다만 속보치에 포함되지 못한 지난해 12월 경제 통계 반영으로 4분기 부문별 성장률에서 변동이 있었다. 수출(0.8%)과 정부 소비(0.7%), 수입(0.1%)은 속보치보다 각 0.5%p, 0.2%p, 0.2%p 증가했지만 건설투자(-4.5%)와 설비투자(1.2%)는 각 1.3%p, 0.4%p 하향했다. 업종별 성장률은 △제조업 0.2% △서비스업 0.4% △건설업 –4.1% △농림어업 –3.4% 등으로 집계됐다.
2025-03-05 13:51:35
한국 여성 고용률 61.4%‥20년째 OECD 최하위권
[이코노믹데일리] 한국의 여성 고용률과 경제 활동 참가율 등 성평등 고용 지표가 지난 20년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하위권에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6일 OECD 38개 국가의 15∼64세 여성 고용 지표를 분석한 결과 2023년 기준 고용률은 61.4%, 경제 활동 참가율은 63.1%로 모두 31위였다. 2003년 27위에서 20년이 지난 2023년 오히려 31위로 4계단 떨어진 것이다. 그 사이 순위는 한 번도 하위권(26∼31위)을 벗어나지 못했다. 같은 기간 여성 경제 활동 참가율은 32위에서 1계단 오르는데 그쳤다. 특히 2021년 기준 한국에서 15세 미만 자녀를 둔 여성의 고용률은 56.2%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 규모와 인구가 비슷한 국민소득 3만 달러·인구 5000만명 이상 국가, '3050클럽' 7개국 중 가장 낮은 것이다. 한경협은 “한국은 육아·가사 부담이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를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선진국 수준으로 여성 고용을 확대하려면 여성들이 일·가정 양립 부담을 덜고 경제 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경협이 이들 7개국 중 여성 고용률이 70%를 넘는 상위권 국가인 독일·일본·영국과 한국의 고용 환경을 비교한 결과 유연한 근로 환경 조성과 가족 돌봄 지원 2가지 측면에서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평가했다. 한국은 근로 시간을 주 단위로 제한해 1주 연장근로를 최대 12시간으로 한 반면 독일, 일본, 영국은 월 단위 이상으로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한경협은 전했다. 또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족 정책 지출 비중(2020년 기준)은 1.5%로, 독일(2.4%), 영국(2.3%), 일본(2.0%) 등 3개국 평균 2.2%보다 낮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한국이 선진국처럼 여성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특히 자녀를 가진 여성인력 일자리 유지와 확대가 중요하다"며 "근로 시간 유연화,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확대 등 일과 가정을 병행할 수 있는 근로 환경 조성과 가족 돌봄 지원을 강화해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를 적극적으로 촉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2025-01-06 15:15:48
'인도를 잡아라'…포스코·현대차 너도나도 진출
[이코노믹데일리] 포스코홀딩스는 지난달 30일 개최한 기업설명회(IR)에서 올해 3분기 실적 발표에 앞서 그룹 차원의 인도 진출 전략부터 소개했다. 정기섭 전략기획총괄 사장은 “포스코그룹은 인도 1위 철강사 JSW그룹과 전략적 제휴를 맺어 철강 분야에서 인도 내 500만t 이상의 합작 회사 설립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고급 자동차 강판 위주로 (생산이)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인도 시장을 주목한 건 포스코 뿐만이 아니다. 이미 현대자동차는 지난달 22일 해외법인 중 최초로 인도에서 기업공개(IPO)를 진행해 33억 달러(약 4조500억원)를 조달했다. LG전자도 인도법인 IPO를 추진 중이다. 이순철 부산외대 인도지역통상학과 교수는 4일 “많은 인도 사람들이 자동차를 타고 싶어하지 현재처럼 오토바이를 타려고 하지 않는다”면서 “1인당 국민소득 3000달러 돌파를 앞둔 인도 시장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업들이 인도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는 이유는 인도 시장 성장 잠재력만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인구 14억명의 인도는 그 동안 생산과 소비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췄음에도 구매력을 지닌 소비자가 부족해 중국에 비해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상황이 달라졌다. 지난해 인도의 1인당 국민소득은 약 2600달러, 1인당 구매력 기준 국민소득(PPP) 9200달러를 기록했다. 1인당 국민소득이 3000달러를 넘어서면 인도가 소비 시장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의 설명이다. 1990년대 중반 인도 시장을 진출한 삼성전자와 LG전자의 매출에도 최근 이 같은 변화가 반영되고 있다. 지난해 삼성전자 인도법인의 매출과 순이익은 각각 15조2163억원, 1조1533억원이었다. 순이익은 전년(5095억원)보다 2배 이상 뛰었다. LG전자 인도법인 매출 역시 최근 3년새 약 1.5배 증가했다. 인도는 중국을 대체할 글로벌 생산기지로도 주목받고 있다. 지난달 24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인도 서북부에 위치한 구자라트주에 건설 중인 1GW(기가와트) 규모의 데이터센터에 엔비디아의 최신 블랙웰 칩이 탑재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이미 인도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 미국 본사 다음으로 큰 규모다. 이 교수는 “기업들 입장에서 미국 대선 결과에 상관 없이 중국과의 관계가 묘연해졌다”며 “글로벌 시장이 포화 상태로 가고 있는데 중국으로는 갈 수 없으니 이제는 인도로 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4-11-04 18:00:0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5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6
태영건설, 순이익 431억원 기록... PF 구조조정은 여전히 부담
7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8
[안서희의 제약바이오] 온코닉테라퓨틱스, 자큐보 중국 기술이전 마일스톤 150만 달러 청구 외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