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03 목요일
맑음
서울 15˚C
흐림
부산 14˚C
흐림
대구 13˚C
맑음
인천 12˚C
맑음
광주 15˚C
구름
대전 17˚C
흐림
울산 12˚C
구름
강릉 11˚C
흐림
제주 11˚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국방과학연구소'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3
건
한화에어로·한화시스템, 'IDEX 2025'서 한국형 다층 방공 솔루션 공개
[이코노믹데일리]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이 17일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서 열리는 아프리카·중동 지역 최대 규모의 '국제방산전시회(IDEX) 2025'에 참가해 한국형 통합 다층 방공 솔루션 핵심 기술을 선보였다. 양사는 '한국형 사드'로 꼽히는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시스템(L-SAM), '한국형 아이언돔'인 장사정포 요격체계(LAMD), '한국형 패트리엇'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M-SAM) 등 주요 구성 요소인 다기능레이더(MFR)와 유도탄, 발사대 등 첨단 대공방어 역량을 전시했다. 이번 전시에서 양사는 L-SAM 운용을 위한 핵심 기술인 다기능레이더(MFR), 발사대, 유도탄 등 '다층 방공 솔루션'의 핵심기술을 선보였다. L-SAM은 우리 군이 보유한 어떤 대공무기 체계보다도 먼 거리에서 날아오는 적의 미사일을 추적하고 조기에 파괴할 수 있는 지대공 방어체계다. 국방과학연구소(ADD)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함께 개발한 L-SAM 유도탄에는 공기 밀도가 낮은 성층권 고도에 도달하기 위해 단계별로 추진력을 내는 '다중 펄스 추진기관' 기술과 공기가 희박한 고고도에서도 미세한 가스 분출로 자세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위치자세제어장치(DACS)'가 적용된다. 한화시스템은 이번 전시에서도 중동 수출 주역인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M-SAM·천궁)의 다기능레이더 수출형 모델, L-SAM 다기능레이더 등의 다계층 대공방어 시스템 역량을 과시했다. 한화시스템은 또한 자체 개발한 해상도 0.25m급 소형 합성게구레이터(SAR) 위성을 중동 시장에 최초로 공개했다. 지구 관측 위성 중 하나인 SAR 위성은 레이더파를 사용함으로써 광학 위성으로는 관찰이 쉽지 않은 야간 또는 구름 낀 날씨에도 고해상도 영상을 찍을 수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국산 엔진을 탑재한 K9 자주포 실물을 전시했다. 1000마력 디젤 엔진을 장착한 K9 자주포는 최근 이집트의 내구성 테스트를 통과했다. 올 하반기 이집트 현지에서 본격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2025-02-17 14:22:43
두산에너빌리티, 국방과학연구소와 고온화 연소기 시제작 '맞손'
경남 창원시에 위치한 두산에너빌리티 본사 전경[사진=두산에너빌리티] [이코노믹데일리] 두산에너빌리티가 항공기 엔진 핵심 구성품 고온화 연소기 개발에 나섰다. 두산에너빌리티는 국방과학연구소와 '연소기·시험리그 제작' 과제 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두산에너빌리티는 국방과학연구소가 추진하는 고온화 연소기 개발의 일환인 고온화 연소기 시제작 및 리그 시험에 함께한다. 이는 국방과학연구소의 미래도전 국방기술 과제로 2027년 4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리그는 개발된 엔진 구성품 단위의 성능을 시험·검증하기 위해 엔진 형상을 모사해 만든 장치다. 국방과학연구소와 두산에너빌리티는 과제를 통해 우수한 성능과 신뢰를 갖춘 연소기를 개발해 연소기 리그 시험을 수행한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발전용 가스터빈 분야에서 축적한 고온부품 관련 첨단 기술을 이용, 첨단 적층 제조(AM) 기법을 적용한 제작기술을 활용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두산에너빌리티는 본 연소기 시험이 진행될 국방과학연구소 시험장의 설비개선공사를 진행 중이며 과제 간 연계를 통해 항공엔진 개발 완성도를 더욱 높일 것으로 보인다. 손승우 두산에너빌리티 파워서비스BG장은 "두산에너빌리티가 항공엔진 연소기 제작·시험 분야에서 뛰어난 경쟁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수주가 될 것"이라며 "첨단제조기술과 시험역량 등 노하우를 바탕으로 항공용 가스터빈 개발에 도움줄 것"이라고 말했다.
2025-01-15 11:21:21
KAI, 정찰위성 3호기 발사 성공…한국형 3축 체계의 '눈' 강화
[이코노믹데일리]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개발에 참여한 정찰위성 3호기가 21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 X사의 '팰컨 9' 발사체를 통해 발사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정찰위성 3호기는 총 5기의 정찰위성을 띄우는 일명 ‘425 사업’의 일환이다. 지난해 12월 발사된 고성능 광학/적외선(EO/IR) 카메라를 탑재한 광학위성 1호기와 지난 4월 발사에 성공한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 1호기에 이은 세 번째 위성이자 SAR 위성 2호기다. SAR 위성은 전자기파를 사용해 기존 가시광선을 사용하는 EO 위성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벗어나 기상 조건 및 주야를 가리지 않고 전천후 촬영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425사업이 완료되면 우리 군은 주요 관심 지역의 관측자료를 수 시간 내 수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이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효과적으로 억제·대응하기 위해 우리 군이 수립한 한국형 3축 체계(킬체인, 한국형미사일방어, 대량응징보복)의 한 축인 킬체인의 눈을 담당한다. 아울러 KAI는 지난해 5월 국방과학연구소와 체결한 초소형 SAR검증위성 개발 사업을 통해 향후 초소형 위성 양산 및 군집 운영으로 주요 관심 지역을 24시간 빈틈없이 들여다보는 감시 체계 구축에 기여할 예정이다. 강구영 KAI 사장은 “425사업 3호 위성의 발사 성공은 그간 국가 우주 발전을 위해 개발에 성실히 참여해 얻은 성과로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기술 향상을 통해 국가 우주 개발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2024-12-23 18:24:13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챗GPT '지브리풍' 그림 열풍, 저작권·차별 논란 확산
2
배달앱 두잇, '토스뱅크 성공 주역' 김지웅 CSO 영입
3
"만우절 이벤트 대방출"…웃음+할인 쏟아낸다
4
풀 밸류체인으로 한국 시장 공략하는 BYD…결론은 소비자 '선택'에 달렸다
5
탄산음료에서 시작했던 '저당 트렌드' 식품업계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
6
현대차그룹, 210억 달러 美 투자에 숨은 전략…'수소 생태계' 선점 노린다
7
[안서희의 제약바이오] 온코닉테라퓨틱스, 자큐보 중국 기술이전 마일스톤 150만 달러 청구 외
8
"끝나지 않는 배민과 쿠팡이츠의 전쟁"…권역 확대에 포장 수수료 무료까지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