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4.12 토요일
맑음
서울 20˚C
맑음
부산 16˚C
맑음
대구 18˚C
맑음
인천 20˚C
흐림
광주 19˚C
흐림
대전 22˚C
흐림
울산 17˚C
흐림
강릉 20˚C
흐림
제주 18˚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국토표준화'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화…데이터 국가표준 16종 제정
[이코노믹데일리] 국토 공간정보를 디지털로 구현한 위치 기반 솔루션 '디지털 트윈국토' 데이터 16종의 새 국가표준이 마련됐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31일 디지털 트윈국토 데이터 16종의 새로운 국가표준을 이같이 제정 고시한다고 28일 밝혔다.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은 실내공간, 지하공간, 지형모형, 교통 분야로 나뉘어 있다. 각각 데이터 모델과 품질, 메타데이터와 제품 사양을 포함하고 있다. 디지털 트윈국토에 대한 국가표준을 별도로 제정한 것은 한국이 처음이다. 새로운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이 적용되면 서로 다른 지역과 기관에서 만든 정보를 보다 쉽게 연동할 수 있다. 데이터들이 하나의 형식으로 저장·공유될 수 있어 별도 변환 없이 다양한 기관과 시스템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인접 지자체에서 각각 디지털 트윈국토를 만들어도 도시 간 교통량과 도시 열섬 현상, 바람길 등 종합적인 분석이 가능해진다. 국토부는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은 GML(Geography Markup Language)를 인코딩 모델로 사용해 개방된 스키마로 표준화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했다. 박건수 국토부 국토정보정책관은 "정부는 이번 표준 제정으로 데이터의 통합과 상호 운용성을 높여 디지털 기반의 미래형 국토를 만들기 위한 기틀을 다질 것"이라며 "디지털 트윈국토 표준화는 공간정보의 연계 활용을 위한 핵심인 만큼 앞으로도 필요한 표준을 지속적으로 발굴·개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2024-10-28 14:13:16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배터리는 재활용하는데, 석유화학 제품은 매립지로…엇갈리는 업계 행보
2
국내외 화이트햇 해커·보안 전문가 집결… '닷핵 2025' 컨퍼런스, 성황리 개최
3
국내 4대 그룹, '피지컬 AI'로 간다…로봇 투자 전면전 돌입
4
트럼프발 '관세 태풍'에…울고 웃는 韓 화장품·의류 OEM·ODM 기업들
5
트럼프 관세 유예에 美 증시 '역사적 반등'…S&P 500 하루 9.5% 급등
6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붕괴…작업자 2명 연락 두절, 지상도로까지 파손
7
아이폰17 프로, 전작과 비슷..."소비자 수요 감소할 것"
8
LG화학, 분리막 사업 흔들리나…'철수설' 도는 배경은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공매도 재개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의 대거 이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