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8.21 목요일
흐림
서울 30˚C
구름
부산 29˚C
구름
대구 30˚C
흐림
인천 29˚C
맑음
광주 30˚C
맑음
대전 31˚C
맑음
울산 31˚C
맑음
강릉 31˚C
구름
제주 30˚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글로벌 CBT'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넷마블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 게임스컴서 CBT 발표… 글로벌 공략 본격화
[이코노믹데일리] 넷마블이 신작 오픈월드 액션 RPG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의 신규 영상을 공개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넷마블은 독일 쾰른에서 열린 '게임스컴 2025' 전야제 쇼케이스 '오프닝 나이트 라이브(ONL)'를 통해 게임의 핵심 콘텐츠를 선보이고 전 세계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비공개 테스트(CBT) 소식을 발표했다. 넷마블이 세계 3대 게임쇼 중 하나인 게임스컴의 메인 무대 ONL에 참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에 공개된 영상은 원작 애니메이션의 주인공 '멜리오다스'가 직접 게임을 소개하는 방식으로 구성돼 팬들의 몰입감을 높였다. 특히 원작 성우인 카지 유우키의 목소리가 수록되어 생동감을 더했다. 영상에는 하늘과 물속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탐험할 수 있는 광활한 '브리타니아' 대륙의 모습이 담겼다. 이용자는 공중 탈것을 타고 이동하거나 낚시, 퍼즐 등 다양한 생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강력한 적과 맞서는 박진감 넘치는 전투 장면도 포함돼 게임의 액션성을 과시했다. 넷마블에프앤씨가 개발 중인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은 전 세계 누적 판매 5500만부를 돌파한 인기 IP '일곱 개의 대죄'를 기반으로 한다. 이 게임은 원작의 세계관을 멀티버스 설정으로 확장해 '일곱 개의 대죄'와 '묵시록의 4기사' 캐릭터는 물론 게임만의 오리지널 캐릭터가 등장하는 새로운 스토리를 선보인다. 이를 위해 원작자 스즈키 나카바와 직접 협업하며 세계관의 깊이를 더했다. 게임의 핵심은 높은 자유도와 전략적인 전투 시스템이다. 이용자는 위기 상황에서 영웅을 실시간으로 교체하는 '태그 전투'와 영웅들의 강력한 '합기'를 활용해 전투를 유리하게 이끌 수 있다. 또한 무기와 영웅의 조합에 따라 무한히 변화하는 액션을 통해 자신만의 전투 스타일을 만들어가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넷마블은 영상 말미에 글로벌 CBT 참가자 모집 소식을 깜짝 발표했다. 테스트 참여 신청은 공식 브랜드 사이트에서 가능하며 구체적인 일정은 추후 공개될 예정이다. 넷마블 관계자는 “'일곱 개의 대죄: Origin'은 원작 팬과 새로운 이용자 모두가 즐길 수 있도록 오픈월드의 자유도와 전략적인 전투 그리고 독창적인 스토리를 결합한 작품”이라며 “많은 분들이 이번 테스트에 참여해 주셔서 소중한 의견을 남겨주시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은 올해 안에 콘솔, PC, 모바일 플랫폼에 동시 출시된다. 콘솔은 플레이스테이션5, PC는 글로벌 게임 유통 플랫폼 스팀을 통해 선보이며 현재 각 스토어에서 위시리스트 등록이 가능하다.
2025-08-20 11:11:21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대통령 지시에도… 포스코이앤씨 '면허취소'는 법적 근거 없다
2
이재명 대통령 "산재 사망사고 직보"…건설사 옥죄는 정부, 구조 개선은 뒷전
3
"미국선 웃고 중국선 울었다"...삼성전자 반도체 매출 '희비'
4
[김지영의 전대미문] 전력한계 극복 일등공신…ESS의 A-Z 알아보기
5
스페이스X 스타링크, 장비 인증 통과…'우주 인터넷' 드디어 한국 온다.
6
은행권, 핀테크·유통업권과 '경쟁→협업'…플랫폼 동맹 가속
7
AI가 키운 전력 수요…해법은 '에너지 고속도로'
8
5대 생보사 상반기 희비…삼성·신한 웃고, 한화·교보·NH농협 울었다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기자수첩] 위고비, 치료제지 미용이 아니다...의료계 주객전도 되지 말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