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05.13 화요일
흐림
서울 20˚C
흐림
부산 16˚C
흐림
대구 20˚C
흐림
인천 16˚C
흐림
광주 20˚C
흐림
대전 21˚C
구름
울산 21˚C
흐림
강릉 23˚C
구름
제주 24˚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금융AX'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1
건
LG CNS, 신한은행에 챗GPT 기반 AI 서비스 구축…금융 AX 선도
[이코노믹데일리] 인공지능 전환(AX) 전문기업 LG CNS가 신한은행 직원과 고객을 위한 챗GPT 기반의 기업용 AI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구축하며 금융권 AX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번 서비스는 지난해 11월 금융위원회가 지정한 10개 생성형 AI 활용 혁신금융서비스 가운데 가장 먼저 상용화된 사례다. LG CNS는 신한은행 직원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생성형 AI 금융지식 Q&A 서비스’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서비스는 기존 키워드 검색 방식의 챗봇을 챗GPT와 검색증강생성(RAG) 기술 등으로 고도화한 것이다. 신한은행의 업무지식, 상품설명서 등 10만건이 넘는 방대한 금융 지식을 학습해 직원의 질문에 즉각적으로 답변함으로써 업무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신한은행 발행 대출상품’, ‘A 저축상품 가입 시 필요 서류’ 등을 질문하면 바로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정확한 답변 생성을 위해 LG CNS는 복잡한 금융 문서를 구조화하는 파싱 엔진, 검색 정확도를 높이는 청킹 기반 하이브리드 검색기, 비정형 데이터 관리 자동화 체계 등을 개발 적용했다. 고객 서비스도 챗GPT를 통해 한층 고도화했다. 신한은행의 대고객 서비스 ‘AI 브랜치’에 탑재된 AI 은행원은 입출금 계좌 및 체크카드 신규 발급, 외화 환전, 금융 문의 등 다양한 창구 업무를 실제 은행원처럼 처리한다. 챗GPT로 성능이 강화된 AI 은행원은 창구 업무 중 발생하는 고객 문의에 더욱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응대가 가능하다. 이 서비스는 올해 상반기 내 서소문 지점을 시작으로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보안 문제에도 만전을 기했다. 챗GPT 도입에 따른 보안 인프라 강화를 위해 LG CNS는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보안 전문 솔루션 ‘시큐엑스퍼(SecuXper) AI’를 적용했다. 이 솔루션은 생성형 AI 서비스에 입력되는 이상 행위를 실시간으로 탐지해 직원 및 고객의 개인정보가 챗GPT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챗GPT에 대한 외부 공격이나 비윤리적인 질문을 사전에 차단해 서비스 안전성을 높였다. 이외에도 LG CNS는 금융권 망 분리 규제 대응을 위한 클라우드 아키텍처 구축, 생성형 AI 서비스 구축 컨설팅 등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김태훈 LG CNS AI클라우드사업부장 전무는 “이번 서비스는 금융 AX 강자로 자리매김한 LG CNS의 기술 역량과 신한은행의 금융 업무 노하우를 결합한 성과”라며 “금융권 차세대 사업에 생성형 AI 도입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LG CNS의 사업 경쟁력을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2025-05-12 14:15:10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SKT, 유심 인증키 미암호화 논란…SK쉴더스 前 부회장 사임 맞물려 파장
2
[이번 주 美 주요 일정] CPI·파월 연설…기업 실적 발표로 시장 변동성 예상
3
SKT, '유심 복제' 막는 '유심 재설정' 내일 전격 도입…"유심 교체와 보안 효과 동일"(종합)
4
SKT 이어 CJ까지…CJ올리브네트웍스 인증서도 해킹… 악성코드 유포에 악용
5
NH투자증권, 지난해 소송 리스크 '최다'…3984억원 규모 70건 진행 중
6
[김인규의 기분상승] 26조원 체코 원전 수주 행방은 어떻게
7
[도전인가 무리수인가] ① 롯데칠성음료는 왜 빅썸바이오를 인수했나
8
첫 미국 출신 교황 탄생…레오 14세, 통합과 변화의 상징으로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 칼럼] '흥국'에 드리운 복귀의 망령…'금융 농락' 이호진 전 회장에게 경영을 또 맡기겠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