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데일리 - 정확한 뉴스와 깊이 있는 분석
금융
산업
생활경제
IT
ESG
건설
정책
피플
국제
이슈
K-Wave
전체기사
검색
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네이버블로그
2025.11.02 일요일
천둥/번개
서울 11˚C
맑음
부산 11˚C
맑음
대구 12˚C
구름
인천 11˚C
맑음
광주 10˚C
흐림
대전 12˚C
맑음
울산 10˚C
맑음
강릉 12˚C
흐림
제주 17˚C
검색
검색 버튼
검색
'냉동고'
검색결과
기간검색
1주일
1개월
6개월
직접입력
시작 날짜
~
마지막 날짜
검색영역
제목
내용
제목+내용
키워드
기자명
전체
검색어
검색
검색
검색결과 총
2
건
LG전자, 프리미엄 빌트인 가전 전시관 'SKS 서울' 오픈
[이코노믹데일리] LG전자가 초(超)프리미엄 빌트인 가전 브랜드 ‘SKS’의 새로운 전시관 ‘SKS 서울’을 열고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LG전자는 14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에 ‘SKS 서울’을 공식 개관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관은 2017년부터 운영해온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SIGNATURE KITCHEN SUITE)’ 논현 쇼룸을 전면 리뉴얼한 공간으로 브랜드 리브랜딩에 맞춰 새롭게 단장했다. 지하 1층부터 지상 5층까지 연면적 1918㎡ 규모로 조성된 전시관은 10개의 전시존으로 구성됐다. 공간마다 다른 분위기의 인테리어와 ‘SKS’ 빌트인 가전을 조화롭게 배치해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차별화된 사용 경험을 강조했다. 특히 골프 리조트 ‘아난티 남해’, ‘세이지우드 골프&리조트’ 등으로 유명한 민성진 건축가가 설계를 맡아 건축물은 본연의 기능과 목적을 수행하는 것을 넘어 영감의 원천이 되어야 한다는 건축 철학을 녹여냈다. 전시관에는 ▲몰테니앤씨 ▲아크리니아 등 이탈리아 명품 가구 브랜드와 협업한 5개의 전용 전시 공간이 마련됐다. 방문객은 △컬럼 냉장·냉동고 △와인셀러 △오븐 △식기세척기 △인덕션 등 주요 제품을 직접 체험할 수 있으며 상담을 통해 맞춤형 주방 설계 솔루션도 받을 수 있다. 또한 ‘LG 디오스 오브제컬렉션’과 ‘핏 앤 맥스’ 등 LG전자의 프리미엄 생활가전도 함께 전시돼 있다. ‘핏 앤 맥스’는 제로 클리어런스 힌지 기술을 적용해 제품과 벽 간격을 4㎜로 줄여 완성도 높은 인테리어를 구현했다. 4층은 ‘SKS’ 빌트인 제품으로 구성된 다이닝 공간으로 LG전자 멤버십 고객에게 프리미엄 미식 경험을 제공한다. 5층은 요리 강연 및 쿠킹 클래스가 열리는 프라이빗 스튜디오로 운영될 예정이다. 한편 LG전자는 올해 초 기존 브랜드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를 ‘SKS’로 리브랜딩하며 글로벌 빌트인 가전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브랜드 철학인 ‘True to Food(요리에 진정성을 담는다)’는 유지하되 명칭을 간결하고 직관적인 ‘SKS’로 바꿨다. 2016년 첫선을 보인 ‘SKS’는 북미와 유럽 등지에서 프리미엄 빌트인 전문 브랜드로 입지를 구축했다. 현재 뉴욕·캘리포니아 나파밸리·이탈리아 밀라노에 이어 서울 전시관을 더하며 글로벌 거점을 확장했다. 김영락 LG전자 한국영업본부장은 “SKS 서울은 초프리미엄 키친 라이프를 감각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이라며 “주방을 예술적 영역으로 확장하는 ‘SKS’만의 가치를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2025-10-15 10:46:33
관세청, 한미 품목번호 연계표 공개...냉장고·세탁기 11개 추가
[이코노믹데일리] 관세청은 한-미 품목번호 연계표에 냉장·냉동고, 식기세척기, 세탁기, 건조기 등 11개 품목을 추가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이같은 조치는 미국이 지난 12일 철강 관세 대상 품목을 추가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향후 해당 품목들은 제품에 포함된 철강 함량 가치에 대해서는 무역확장법 제232조에 따른 50% 관세를, 나머지 비함량 부분에 대해서는 상호관세를 적용받는다. 세계관세기구(WCO)에서 관장하는 국제표준 품목번호(HS코드)는 6단위까지 전 세계 공통으로 적용되나 7단위 이후로는 각국이 자국 실정에 따라 달리 운영한다. 동일한 물품이더라도 국내 기업이 수출신고서에 사용하는 우리나라 품목번호와 미국 수입자가 수입신고서에 사용하는 미국 품목번호는 일치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관세청은 "미국이 공개한 미국품목번호(HTS) 품목을 한국품목번호(HSK) 10단위 품목으로 연계함으로써 대미 수출기업이 수출신고 품목번호(HSK)를 기준으로 관세부과대상 품목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2025-06-17 18:38:52
처음
이전
1
다음
끝
많이 본 뉴스
1
마이크로소프트 애저·365 서비스, 전 세계적 접속 장애…'클라우드 대란' 현실화
2
삼성바이오에피스, ADC 인투셀 '픽'한 이유는…차세대 성장동력 선점 전략
3
[단독] 토스증권, 출범 이후 약 4년간 본점 정보 공시 누락
4
[데스크 칼럼] '카카오 무죄'가 남긴 질문… 검찰의 칼끝은 무엇을 겨눴나
5
롯데·HD현대 석화 구조조정 빅딜 성사...구조조정·개편 '꿈틀'
6
[2025APEC] 젠슨 황이 들고 올 '선물'은 무엇…15년 만의 방한에 韓 반도체 업계 '들썩'
7
[2025국감] 산자위 국감, 남정운 "정상적 M&A 과정" vs 조용수 "한화솔루션, 과정·결과 불법"
8
광주 화정아이파크 또 사고… HDC현대산업개발 '안전 불감증' 논란 재점화
영상
Youtube 바로가기
오피니언
[데스크칼럼] 배달앱 '이중가격제', 소비자의 눈 가린 편리함의 그림자